총 3개
-
엘킨드(Elkind, 1978)의 자아중심성과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2025.01.041. 엘킨드의 자아중심성 엘킨드는 청소년기 자아중심성을 두 가지 현상인 '상상 속의 청중'과 '개인적 우화'로 설명했다. 상상 속의 청중은 청소년들이 자신의 외모와 행동에 대해 타인의 관심을 과도하게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개인적 우화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경험과 감정이 특별하고 독특하다고 믿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아중심성은 청소년기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다.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은 인지적 도덕발달 단계를 6단계로 구분한다. 초기 단계에서는 처벌 회피나 욕구 충...2025.01.04
-
청소년의 사회인지발달 특성 중 자아중심성 2가지 설명2025.01.161. 상상적 관중 (Imaginary Audience) 청소년들은 자신이 타인에게 끊임없이 관찰되고 평가받고 있다고 믿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생각은 청소년들이 자신을 '상상적 관중'의 중심에 놓는 자아중심성의 한 형태입니다. 이로 인해 그들은 자신의 외모나 행동에 대해 과도하게 의식하게 되며, 작은 실수나 결점도 과장하여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2. 개인적 우화 (Personal Fable) 또 다른 자아중심성의 측면은 '개인적 우화'로, 청소년들은 자신이 특별하고 독특하다고 믿으며, 자신의 경험이 다른 사람들과는 근본적으로 ...2025.01.16
-
청소년기의 인지발달2025.01.161. 청소년기 사고의 특성 청소년기 사고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추상적 사고가 가능하다. 둘째, 가설적 · 연역적 사고가 가능하다. 셋째, 체계적이고 조합적인 사고가 가능하다. 넷째, 이상주의적 사고를 한다. 2. 청소년기의 자기중심성 청소년기의 자기중심성은 상상적 관중(imaginary audience)과 개인적 우화(personal fable)로 나타난다. 상상적 관중은 청소년이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 무대 위에 서 있는 것처럼 행동하고, 다른 사람들은 모두 구경꾼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개인적 우화는 자신의 감정과 사고가 ...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