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1885년 갑신정변 직후 조선의 국제정세와 외교 입장2025.11.151. 갑신정변과 그 결과 1884년 12월 4일 김옥균 등 급진 개화파가 일으킨 갑신정변은 3일 만에 실패로 끝났다. 정변 과정에서 온건 개화파 인사들이 살해되었고, 고종은 개화를 반역으로 규정하여 개화 정책을 중단했다. 개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심화되었으며, 개화 세력이 위축되고 수구 세력이 반동했다. 정변 참여자들에게는 적몰가산과 연좌법이 적용되었고, 사망자 44명, 일본 망명자 9명이 발생했다. 2. 1885년 동아시아 국제조약과 협약 한성조약(1885)은 갑신정변 후 일본이 피해 보상과 세력 회복을 위해 체결했다. 톈진조약...2025.11.15
-
1885년 갑신정변 직후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조선의 입장2025.11.121. 갑신정변 1884년 조선 후기에 김옥균, 홍영식, 박영호, 서재필 등 급진 개화파가 일본의 지원을 받아 개화 정부 수립을 위해 일으킨 정변. 청불전쟁 직후 청국군 1,500명이 철수한 기회를 이용하여 10월 17일 우정총국 축하연에서 발동했으나 청국군의 무력에 의해 3일 만에 진압되어 삼일천하라 불림. 서양 문물 수용과 청국으로부터의 독립을 목표로 했으며 14개 정강을 발의했으나 당시 사회 분위기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음. 2. 갑신정변 이후 동아시아 국제정세 갑신정변 직후 청의 위안스카이는 조선에서 더 큰 권력을 행사하며 내정간...2025.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