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감염관리 QI 활동 사례2025.01.031. 감염관리 순회활동 2019년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발생으로 인한 신종감염병의 주기적 대유행과 C형 간염 환자 발생 증가로 인해 감염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입원 환자의 의료감염 노출을 방지하고 안전한 치료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철저한 환경관리와 직원들의 감염 안전 문화 정착이 필요합니다. 2. 감염관리위원회 구성 감염관리위원회는 병원장을 위원장으로 하며, 감염관리실장, 진료부장, 정형외과, 간호부서장, 진단검사의학과장, 행정부서장, 감염관리팀장 등이 당연직 위원으로 구성됩니다. 또한 외부 전문가가 위촉위원으로...2025.01.03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과 감염관리 간호사 역할2025.01.221.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에 따르면 총무과장이 유해화학물질 총괄 담당자이며, 병원 내 유해화학물질 담당자는 목록 및 사용 부서 관리,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유해화학물질 사용 부서는 자체 목록 관리, MSDS 비치, 정기적 모니터링을 실시합니다. 신규 화학물질 구입 시 원무과에서 유해화학물질 여부를 확인하고 목록에 등재하며, MSDS를 비치합니다. 유해화학물질 목록은 연 1회 정기적으로 갱신하며, 신규 등재 시 수시로 갱신합니다. 유해화학물질은 별도 보관 공간에 보관하고, 관련 포...2025.01.22
-
국내 감염관리 관리체계 보고서2025.01.201. 국내 감염관리 규정 국내 감염관리를 규정하는 목적은 국민 건강에 위해가 되는 감염병의 발생과 유행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 건강의 증진 및 유지에 이바지하기 위함이다. 2020년 1월부터 감염병 분류체계가 제1군 ~ 제4군 전염병에서 제1급 ~ 제4급 감염병으로 개편되었으며, 법정감염병 86종에 대해 통일된 역학과 관리지침이 필요하다. 감염병 관리 방향은 효과적 감시체계 운영, 관리 강화, 예방전략 실행 등이다. 2. 감염관리간호사 및 감염관리실 현황 및 역할 감염관리간...2025.01.20
-
감염관리실의 기능과 감염관리간호사의 역할2025.01.221. 감염관리실의 기능 감염관리실은 원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감염관리업무를 총괄하는 부서로서 환자, 보호자, 직원, 방문객, 환경 등을 의료관련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감염감시, 유행조사, 감염관리 지침제정 및 개정, 직원 교육, 감염관리실과 감염관리위원회 운영을 포함한 행정과 기획업무를 담당하고 있고 감염병에 대한 예방조치 및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2. 감염관리간호사의 역할 감염관리간호사는 의료기관 내 감염을 상시 감시하는 역할을 하며, 각 부서의 손위생 준수 여부 점검, 병원 감염 발생 예방 및 발생 시...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