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4개
-
항상성과 몸의 조절-62025.05.081. 질병과 병원체 감염성 질병과 비감염성 질병을 구분할 수 있다. 병원체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병하는 중증 급성 호흡기 질병으로 주로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감염자가 발생하였으나 2015년에 우리나라에서도 감염자가 발생하였다. 어떻게 먼 중동에서 우리나라까지 바이러스가 퍼져 온 것일까? 2. 병원체의 종류 병원체에 감염되지 않아도 발병하는 질병으로 고혈압, 당뇨병 등이 있다. 감염성 질병: 세균, 바이러스, 원생생물, 곰팡이와 같은 병원체에 감염되어 발병하는 질병으로 ...2025.05.08
-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Human immunodeficiency virus)2025.05.061. AIDS와 HIV AIDS는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의 줄임말로, 후천성면역결핍증을 의미한다. HIV는 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 영어 머리글자로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를 뜻한다. HIV는 인체 내에 들어와 면역체계를 파괴시키는 바이러스이다. 2. HIV 분류 HIV는 레트로바이러스과의 렌티바이러스속에 속한다. 렌티바이러스는 많은 생물종을 감염시킬 수 있으며, 긴 잠복기를 가진 만성 질환의 원인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HIV-1, HIV-2, HIV-O 등 3...2025.05.06
-
폐렴 원인균 검사2025.01.291. Mycoplasma pneumoniae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은 비정형 폐렴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으로 늦가을(10월)~초봄(4월)에 많이 발생합니다.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청소년에게서 자주 발생하며, 잠복기는 2~3주이고 주로 기관지염이나 폐렴을 일으킵니다. 감염경로는 주로 호흡기 전염이며, 감염된 사람과 접촉으로 전파됩니다. 대표적인 증상은 감염 초기 발열, 두통, 콧물, 인후통이 나타나고 이어서 기증이 2주 이상 지속됩니다. 치료는 마크로라이드계, 테트라사이클린, 퀴놀론계 항생제 투약으로 이루어집니다. 2. Strepto...2025.01.29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기생충학 정리2025.04.261. 기생충의 감염경로 기생충의 감염경로는 크게 간접전파방법과 직접전파방법으로 나뉩니다. 간접전파방법에는 토양, 물, 식품 등을 통한 감염이 있으며, 직접전파방법에는 경구감염, 경피감염, 혈액감염, 모체감염 등이 있습니다. 토양을 통한 감염은 구충, 분선충의 사상유충 및 회충, 편충, 자충포장란 등이 있고, 물을 통한 감염은 원충의 포낭과 주혈흡충의 세르카리아 피부염 등이 있습니다. 식품을 통한 감염은 선충류, 자충포장란, 사상유충, 담수어의 흡충류, 해산어류의 Anisakis, 담수산 갑각류의 폐흡충 등이 있습니다. 2. 기생충의...2025.04.26
-
[병리학] 05 감염2025.01.231. 감염의 개념 감염은 병원미생물이 생체의 방어기전을 뚫고 체내로 침입하여 정착 또는 증식하는 것을 말한다.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미생물에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이 있으며, 감염으로 인해 생체에 염증반응을 동반한 각종 병태가 발생하는 것을 감염병이라고 한다. 감염은 증상감염(현성 감염)과 무증상감염(불현성 감염)으로 구분되며, 내인성감염과 외인성감염, 직접감염과 간접감염, 급성 감염과 만성 감염, 수평감염과 수직감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2. 병원미생물의 종류 병원미생물에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이...2025.01.23
-
호흡기계 감염병과 우리들의 생화2025.04.271. 인플루엔자 독감 인플루엔자 독감은 바이러스 중 한 종류가 폐와 기도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성 감염이다. 독감은 발열, 콧물, 인후통, 기침, 두통, 근육통 및 전반적으로 아픈 병감을 유발시킨다. 독감은 보통 감기보다 증상도 심각하고 전염력도 매우 강하다. 인플루엔자의 감염경로는 비말감염, 에어로졸 감염, 접촉 감염 등이 있다. 최근까지 독감에 관한 효과적인 특효약이 없기 때문에 백신에 의한 예방대책이 요구된다. 예방접종을 하면 60~90%가 예방해준다. 1. 인플루엔자 독감 인플루엔자 독감은 매우 심각한 질병으로, 매년 전 세계...2025.04.27
-
Viral Hepatitis(A~C형 원인,진단,감염경로,치료방법, 예방접종/D,E형 정의)2025.01.231. A형 간염 A형 간염은 유행성 간염이라고도 불리며, 원인균은 피막이 없는 RNA 바이러스(장 바이러스)입니다. A형 간염은 다른 형의 간염들과 달리 만성화되지 않습니다. 주된 감염경로는 분변-경구 감염(fecal-oral transmission)으로, 감염자의 대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 등을 섭취하면서 구강을 통해 바이러스가 체내에 들어와 간에서 증식하고 다시 담즙을 통해 대변으로 배출되어 전파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0년대 초까지 위생상태가 좋지 않아 대부분 어렸을 때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되어 간염 증상 없이 면역...2025.01.23
-
호흡기계 감염병과 우리들의 생활2025.01.221. 신종플루의 정의 신종플루는 A형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돼지를 통해 감염되는 수인성 감염병이다. 돼지를 매개로 감염돼서 처음에는 '돼지 독감'이라고 불렀다. 신종 플루가 처음 발겨노딘 것은 멕시코였고, 미국을 거쳐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이것이 세계적으로 유행한 것은 2009년의 일이다. 2. 신종플루 발생 원인 신종플루가 생긴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사람과 동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한 개체 내에서 이중 감염을 유발했고, 그 과정에서 유전자 재조합이 일어나서 기존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는 다른 새로운 인플루엔자 ...2025.01.22
-
코로나바이러스 19의 발생원인, 감염경로 및 예방대책2025.05.121. 코로나바이러스 19의 개념 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과 다양한 동물을 감염시킬 수 있는 바이러스이다.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등장한 뒤 전 세계로 확산됐다. 세계적인 대유행이 몇 년간 지속되면서 일상이 파괴되고 가정이 해체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슬픔을 겪고 있다. 그러나 백신과 의료진의 지속적인 개발, 국민들의 노력으로 치명적인 감염이었던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기세는 약해지고 있다. 2. 코로나바이러스 19의 발생원인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우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은 동물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2025.05.12
-
호흡기계 감염병과 우리들의 생활 중 우리 주변에서 가장 문제되고 있는 질환2025.05.131. 호흡기계 감염병의 개념 호흡기계 감염병은 "호흡기관으로 침입하여 호흡기관 점막상피세포에서 증식한 뒤, 기관 국부에 감염을 일으키거나 호흡기 외 조직 기관에 병변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호흡기 감염병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이라고 할 수 있다. 2. 호흡기계 감염병의 종류별 특징 호흡기계 감염병의 종류로는 디프테리아, 백일해, 홍역, 풍진, 유행성 이하선염, 독감, 결핵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관리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3. 코로나-19 바이러스감염증의 발생원인과 감염경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감염증은 20...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