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판소리는 전통적인 한국 민속악의 한 양식이다.2025.01.061. 신재효와 판소리 신재효는 조선 후기 판소리 연구가로, 판소리의 이론적 체계를 모색하여 《광대가》를 지어 인물·사설·득음(得音)·너름새라는 4대 법례를 마련하였다. 그는 판소리 여섯 마당을 골라 그 사설을 개작하여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구성을 갖추고 전아(典雅)하고 수식적인 문투를 활용하였다. 이로써 판소리가 신분을 넘어서 민족문학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2. 판소리의 발달과 문학적 성격 판소리는 전통적인 한국 민속악의 한 양식으로, 이야기를 노래로 부르는 형식이다. 판소리의 역사는 흔히 3시기로 구분되며, 19세...2025.01.06
-
교과서 속 한국민요 지역별 토리정리2025.01.091. 진경토리 진경토리는 솔-라-도-레-미 음계를 사용하며, 종지음은 솔입니다. 시김새는 5음계 구성음 중 생략되는 음이 없어 음을 떨 때 필요한 수직적 공간이 부족하여 떠는 음과 같은 시김새가 두드러지지 않습니다. 선율진행은 세마치와 같이 경쾌한 장단을 사용하며 빠르고 빈번하게 순차진행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발성은 음고가 높아 목소리를 굵지 않고 맑고 가늘게 내야 합니다. 가창방식은 메기고 받는 선후창 방식입니다. 2. 반경토리 반경토리는 라-도-레-미-솔 음계를 사용하며, 종지음은 라입니다. 시김새는 5음계 구성음 중 생략되는 ...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