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미혼부를 위한 법과 정책들, 현 출생등록제도 등2025.01.121. 미혼부 미혼부는 결혼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녀를 가진 남성을 의미한다. 통계청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미혼부는 45~49세 연령대가 23.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부의 숫자가 생각보다 높지만 한부모가족지원정책이나 시설은 주로 모자가족 중심으로 이루어져 부자가족에 대한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2. 미혼부 지원정책 미혼부를 위한 지원정책으로는 미혼모부자 거점기관을 통한 양육지원, 저소득 한부모가족 지원사업,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및 임대주택 지원, 취업성공패키지, 한부모가족 무료법률구조, 미혼부 자녀 출...2025.01.12
-
보건복지부 장관이 된다면 우리나라 아동을 위한 정책2025.01.131. 출생통보제도 본인이 보건복지부 장관이 된다면 우리나라 아동을 위해 현행 출생신고제도를 출생통보제도로 바꾸는 정책을 실시할 것이다. 출생통보제는 아동보호체계 공공성 강화를 통해 취약아동 보호를 강화하는 것으로, 출생 시부터 모든 아동이 공적으로 등록·보호받도록 하는 제도이다. 이를 통해 출생 아동이 실질적으로 의료, 복지 및 교육의 권리를 누릴 수 있게 하고, 신고 누락과 신고 지연으로 인한 영아 매매, 불법입양, 아동학대 등을 방지할 수 있다. 2. 출생자동등록제 출생통보제와 출생자동등록제는 다르다. 출생자동등록제는 의료기관에...2025.01.13
-
생활법률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출석수업과제물2025.01.261. 부부재산계약의 의의, 요건, 효과 부부재산계약은 혼인 성립 전에 부부가 혼인 후의 재산관계에 대해 미리 약정하는 계약을 의미한다. 이는 혼인 후 발생하는 재산의 소유, 관리, 분배에 대해 부부가 사전에 규율할 수 있도록 하여, 혼인 중 재산분쟁을 예방함으로써 원만한 부부생활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부부재산계약은 혼인 성립 전에 체결되어야 하며, 그 내용은 혼인 후에도 효력을 가지며, 정당한 사유가 있을 때는 법원의 허가를 통해 변경이 가능하다. 2. 사실혼의 의의와 효력 사실혼은 법적으로 혼인신고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실질...2025.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