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경비골 골절 및 ORIF 수술 사례2025.01.041. 경비골 골절 경비골 골절은 하퇴골(무릎 밑부터 발목까지의 다리뼈)에서 발생하는 골절로, 경골(정강이뼈)과 비골(가는 뼈)이 연속성을 잃은 상태를 말한다. 주로 외부의 강한 힘에 의해 발생하며, 통증, 부종, 변형, 신경 손상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X선 촬영, CT, MRI 등의 검사가 필요하며, 치료는 비수술적 방법(도수 정복, 고정)과 수술적 방법(외고정, 내고정)이 있다. 수술 후 합병증 예방과 재활 치료가 중요하다. 2. ORIF 수술 ORIF(Open Reduction with Internal Fixati...2025.01.04
-
ORIF 수술2025.01.151. 개방 정복술 개방정복술이란 피부 및 뼈를 둘러싼 연부조직을 절개하고 뼈를 노출시킨 후 골절 부위의 정렬을 맞추는 수술을 말하며, 대부분 개방정복술 시행 후 교정된 뼈의 정렬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해 다양한 나사, 금속판, 금속정 등을 이용하여 금속내고정술을 같이 시행합니다. 2. 내부 고정술 내부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뼈를 고정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3. ORIF 수술 적응증 ORIF 수술은 복잡하거나 큰 뼈의 골절, 관절 표면이 파열되는 등 관절 부위의 골절, 보통 캐스트만으로는 붙지 않는 큰 골절, 골절 주위 신경이나 혈관...2025.01.15
-
ORIF 수술 후 간호2025.01.281. ORIF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대상자의 통증 관리를 위해 V/S 모니터링, 통증 사정, 비약물적 중재와 처방된 진통제 투약 등을 실시한다. 통증이 효과적으로 조절되었는지 통증 재사정을 통해 확인한다. 2. 통증과 관련된 신체기동성 장애 기동성 저해 요소를 파악하고 보조기구 사용, 관절 운동과 등척성 운동 격려,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 등의 중재를 제공한다. 대상자가 장애의 제한 내에서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ORIF 수술과 관련된 불안 대상자의 불안 수준을 사정하고 불안 증상을 확인한다. 대상자가 불안...2025.01.28
-
중수골 골절 case study2025.04.281. 중수골 골절 중수골은 손가락뼈와 손목을 이어주는 다섯 개의 뼈를 의미한다. 넘어질 때 손 바닥으로 땅을 짚게 되면서 손등 쪽에 힘이 가해져 골절이 발생한다. 중수골 골절은 빙판길 낙상사고로도 나타나지만 권투나 펀치 기계를 사용할 때에도 많이 발생하는 골절이다. 특히,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손가락과 이어져있는 중수골 부위에 발생하는 골절은 권투 선수와 같은 운동선수에게 자주 발생하는 골절 유형으로 흔히 복서 골절이라고 한다. 중수골 경부의 골절은 수부 골절 중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가장 흔한 골절이며 전체 중수골 골절의 25...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