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푸드테크 레포트2025.04.281. 푸드테크 푸드테크는 음식(food)과 기술(tech)이 결합된 단어로, 식자재를 기르는 것부터 음식이 소비자에게 들어갈 때까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을 의미한다. 푸드테크 시장이 확대되면서 식재료 개발, 생산부터 소비자 빅데이터 분석까지 음식과 과학 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고 있다. 2. 푸드 O2O 서비스 푸드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의 확산은 세계적인 흐름이다. 국내에서는 '요기요'를 서비스하고 있는 독일의 딜리버리 히어로나 중국의 배달업체 어러머 등이 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인 것으로 알...2025.04.28
-
당근마켓의 차별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사례2025.04.251. 당근마켓 플랫폼 소개 당근마켓은 2015년 판교 지역 직장인들의 직거래 플랫폼으로 시작하여 이후 지역 주민에서 전국 단위로 영역을 확장했다. 지역 동네 사람들끼리 중고 물품을 사고파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며,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 끝이 아닌 이웃 간의 지역 생활 커뮤니티의 역할을 한다. 나이에 상관없이 누구나 거래하기 쉬운 플랫폼의 이미지를 부각함으로써 많은 고객을 유치하는데 성공했으며, 현재 전국 6,577개 지역의 동네 주민을 연결하고 월 평균 1,800만 명이 사용하는 대한민국 1위 중고거래 플랫폼이 되었다. 2. 당...2025.04.25
-
O2O와 O4O 서비스 사례 분석2025.01.061. O2O 서비스 O2O(Online to Offline)은 오프라인 서비스를 온라인을 통해 주문, 예약, 구매하고 실제 서비스는 오프라인에서 제공받는 개념을 의미하는 전자상거래로, 배달의 민족, 요기요, 쿠팡이츠와 같은 음식 배달 서비스, 야놀자, 여기어때와 같은 숙박 앱, 카카오택시, 티맵택시, 카카오 대리운전, 파파를 부탁해와 같은 대리운전 앱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2. O4O 서비스 O4O(Online for Offline)는 온라인 채널이 가진 역량을 바탕으로 오프라인으로 영역을 확대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하는 것...2025.01.06
-
배달의 민족과 쿠팡이츠 비즈니스 모델 분석2025.01.281. 배달의 민족 비즈니스 모델 배달의 민족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주문자와 음식점 점주 두 고객층을 대상으로 주문자에게는 배달이 불가능한 음식을 배달해주고, 편의성을 제공하며, 점주에게는 더 많은 소비자에게 본인의 음식점을 노출시키고 판매함으로써 매출 증대라는 가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들은 고객과 소통하기 위해 매우 우수, 우수, 좋음으로 나뉘어진 위생등급제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음식점 점주는 가게 소개 페이지 상단에 식약처 인증 가게 배지를 달아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주고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들의 핵심 자원은 플랫폼 그 ...202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