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8개
-
A+ 졸업생의 PS 벌크중합 결과 레포트(14페이지)2025.01.161. PS 벌크중합 실험을 통해 AIBN 개시제의 양에 따라 중합속도와 분자량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직접 볼 수 있었다. AIBN을 상대적으로 적게 넣은 조는 중합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고, 분자량이 더 큰 (좀 더 딱딱한) 물질을 얻는 것을 볼 수 있었고, AIBN을 많이 넣은 조의 경우에는 중합이 빨리되었고, 좀더 말랑 말랑한(분자량이 작은)물질을 얻을 수 있었다. 2. IR 분석 IR Spectroscopy, DSC, TGA를 이용해 합성된 PS를 분석했을 때, 일반적인 PS의 IR Spectrum과 비슷한 Peak를 나타냈...2025.01.16
-
PVA(Polyvinyl alcohol) 중합 예비 및 결과 레포트2025.01.181. PVA(Polyvinyl alcohol) 역사 PVA(Polyvinyl alcohol)은 1924년에 Herrmann과 Haehnel이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PVAc)의 비누화 도중 처음 합성하였으며 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에서 비닐론 섬유용 레진으로 상업화되기 시작했다. PVA는 단위체의 중합 반응으로 만들지 않고 PVAc의 비누화로부터 제조되는 흰색의 분말상 고분자이다. 2. PVA의 특징 PVA는 생분해가 가능하고 물에 대하여 수용성이며 토양에서 발견되는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므로 환경 ...2025.01.18
-
숭실대 신소재공학실험1) 9주차 고분자 열적물성 결과보고서2025.01.051. 고분자 열적물성 이 실험에서는 DSC와 TGA를 이용하여 PVAc와 PLA 고분자 블렌드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DSC 분석 결과, PLA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리전이온도와 용융온도가 증가하였으며, 결정화 엔탈피가 감소하였다. 이는 PLA와 PVAc의 상용성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TGA 분석 결과, PLA가 PVAc보다 열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블렌드 조성에 따라 열분해 온도가 변화하였다. 실험 결과와 Fox 방정식을 통한 예측값 사이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DSC 측정 조건의 영향 및 고분자 물성 예측의...2025.01.05
-
열분석 보고서2025.01.231. 열분석 열분석 방법인 TGA, DSC, DTA를 이용하여 재료의 상변화와 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재료의 상태도를 작성하여 온도와 조성에 따른 상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2. 상태도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Pb-Sn 합금의 상태도를 작성하였다. 상태도를 통해 온도와 조성에 따른 액체상, 고체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3. 비표면적 분석 기공 크기와 비표면적 분석을 통해 재료의 미세구조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재료의 물성과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1. 열분석 열분석은 물질의 열적 특...2025.01.23
-
PET PBT 블렌딩 필름의 열적 특성 분석2025.01.281. PET/PBT 블렌딩 필름의 열적 특성 이 연구에서는 PET와 PBT를 다양한 비율로 블렌딩하여 핫프레스로 필름을 제조하고, DSC와 TGA 분석을 통해 열적 특성을 평가하였습니다. DSC 분석 결과, PET 비율이 높을수록 용융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0:60 비율에서는 두 개의 피크가 나타나 상용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TGA 분석에서는 PET 비율이 증가할수록 분해온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필름 제조 과정에서 일부 필름이 울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했지만, 물성 측정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2025.01.28
-
아주대 재료공학실험1 금속재료의 열물성 분석 보고서2025.01.181. 상과 상태도 상(Phase)이란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균일한 계의 균질한 부분이다. 모든 순수한 물질과 모든 용액(고체, 액체, 기체)도 상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온도, 압력, 조성을 변화시키면 상이 변하며 이를 상변태(Phase Transition)라 한다. 상태도는 합금의 온도, 압력, 조성에 따른 상평형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태도를 통해 상변태와 미세조직을 예측할 수 있으며 미세조직은 기계적 성질과 밀접한 관계를 가져 상태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2. 2원 상태도와 공정계 2원 상태도는 두 가지 성분...2025.01.18
-
[실험설계] DSC, TGA를 이용한 PE 및 PP의 열적 특성 분석2025.01.241. Impact behavior of Polypropylene & Polyethylene blends 이 실험에서는 DSC와 TGA를 사용하여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의 열적 특성(Tg, Tc, Tm)을 측정하였습니다. PE의 경우 Td는 402.33°C, Tm은 125°C, Tc는 100°C였고, PP의 경우 Td는 349.22°C, Tm은 164°C, Tc는 108°C였습니다. 시료의 양이 너무 적거나 많으면 데이터 측정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적절한 양의 시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TGA 측정 시 영점을 잡는 것이 ...2025.01.24
-
Exp 4. Phase Diagram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2025.01.241.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는 sample과 reference를 용해로에 넣고 일정한 heat flux를 적용하여 두 물질의 온도 상승 또는 하강을 서로 동일하게 유지하는 기술이다. sample이 상전이를 겪는 경우, 전이가 흡열인지 발열인지에 따라 열이 가해지거나 방출되며, DSC는 이러한 heat flux를 시간 또는 온도의 함수로 기록한다. 급격한 heat flux 변화는 상전이를 의미한다. 2. Indium, Naphthalene, p-DCB의 열적 특성 실험에서 Indi...2025.01.24
-
HPC 합성 결과레포트2025.01.231. 셀룰로스 유도체 천연에서 얻을 수 있는 고분자에는 셀룰로스, 리그닌, 키틴, 키토산 등이 있다. 이들은 화학적으로 치환기를 달아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중하나가 우리가 실험했던 HPC이다. 이는 셀룰로스에 하이드록시프로필기를 치환시켜 만든다. 이렇게 만든 HPC를 한번 더 화학적 반응에 의해 치환시키면 BPC를 만들 수 있다. 2. 액정 HPC는 열방성 액정으로써 콜레스테릭 상을 형성한다. 액정상은 고상의 3차원적 배열과, 액상의 무배열의 사이에서 2차원적 배열을 하기 때문에 고상, 액정상, 액상, 기상으로 나눌 수 있는 것이...2025.01.23
-
재결정과 녹는점 측정 실험보고서 A+ (영재고생)2025.05.051. 재결정 재결정법은 온도에 따라 용질의 용해도가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결정성 물질을 정제하는 방법이다. 정제하려고 하는 고체를 적당한 용매에 가열하여 용해하거나 농축한 후 서서히 냉각하면 용질의 용해도가 감소하여 다시 결정으로 석출된다. 이렇게 석출된 침전을 여과하여 결정을 얻는 것이 재결정 과정이다. 2. 녹는점과 순도 용질을 용매에 녹일 때 용액의 어는점(녹는점)은 일반적으로 순수한 용매보다 낮다. 이를 어는점 내림 현상이라고 하며, 용질의 존재가 액체 상태의 분자가 고체 상태로 돌아가는 속도를 느리게 하기 때문이다. 따라...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