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3개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예비보고서2025.01.171. 전원의 출력저항 측정 전원의 출력저항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 제작, 측정하여 부하효과(Loading effect)를 이해한다. 이를 위해 건전지, DC Power Supply, Digital Multimeter 등의 기본 장비와 부품을 사용한다. 2. DMM의 입력저항 측정 DMM의 입력저항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 제작, 측정하여 부하효과(Loading effect)를 이해한다. 이를 위해 리드저항, Pushbutton switch 등의 부품과 기본 장비를 사용한다. 3. DC Power Supply 사용법 익히기 DC P...2025.01.17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12025.01.171. Ohm의 법칙 이 실험에서는 Ohm의 법칙을 이용하여 전압, 전류,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DMM을 사용하여 고정저항과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2-wire 측정법과 4-wire 측정법의 차이를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DC power supply를 이용하여 전압을 공급하고 KVL, KCL 법칙을 적용하여 회로 내 전압과 전류를 분석하였습니다. 2. 저항(Resistor) 이 실험에서는 10kΩ, 5% 고정저항 10개를 측정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습니다. 또한 10kΩ, 1/4W, 5% 저항 10개를 병렬...2025.01.17
-
전원, DMM의 내부저항 측정장치 설계 결과보고서 (보고서 점수 만점/A+)2025.04.251. 건전지 내부저항 측정 이번 실습에서는 건전지의 내부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건전지와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도록 회로를 구성하고 DMM을 저항에 병렬 연결하여 저항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건전지도 내부저항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저항 측정 방식 비교 실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저항값 측정 시 2-wire 방식 보다는 4-wire 방식을 이용하였다. 2-wire 방식에 비해 4-wire 방식이 더 정확한 결과를 보였다. 3. DC Power Supply 사용법 DC Power Supply의 ...2025.04.25
-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2025.05.131. 건전지 내부저항 측정 건전지의 전압 측정값은 6.479V가 나왔고 10Ω 저항값은 11.086Ω, 저항 10Ω에 걸리는 전압은 6.422V가 나왔다. 건전지의 내부저항이 1Ω을 넘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했는데 R_a = {RV} over {V_0} -R을 이용하여 건전지의 내부저항이 1.184Ω임을 알 수 있었다. 건전지의 경우 사용할수록 전압은 낮아지고 내부저항은 높아지는 특성을 갖고 있고, 온도에 따라 저항값의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이에 이번 내부저항의 실험값은 실제보다 커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2. DC Powe...2025.05.13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2025.01.171. 저항 측정 Digital Multimeter를 이용한 저항(2-wire 측정법, 4-wire 측정법)의 측정방법을 익히고 실습을 통해 확인한다. 회로도와 DMM의 조작방법을 작성한다. 2. 전압 측정 Digital Multimeter를 이용한 전압 측정방법을 익히고 실습을 통해 확인한다. 3. 전류 측정 Digital Multimeter를 이용한 전류 측정방법을 익히고 실습을 통해 확인한다. 4. DC Power Supply 사용법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히고 실습을 통해 확인한다. 1. 저항 측정 저항 측정...2025.01.17
-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2025.04.291. 저항 측정 실험을 통해 단일 고정 저항과 병렬 연결된 합성 저항의 측정값을 확인하였다. 단일 저항의 경우 오차율이 0.7% ~ 2.1% 이내로 나타났고, 병렬 연결 저항의 경우 오차율이 더 작아졌다. 이를 통해 저항 측정 시 허용오차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가변 저항 측정 가변 저항의 경우 가운데 단자와 양쪽 단자 사이의 저항값을 더하면 양쪽 단자 사이의 저항이 나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가변 저항의 동작 원리를 이해할 수 있었다. 3. 2-wire 측정법과 4-wire 측정법 비교 저항 값이 작...2025.04.29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결과보고서2025.01.171. 건전지의 출력저항 측정 이 실습에서는 건전지의 출력저항과 DMM의 입력저항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 제작, 측정하고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혔다. 실습 결과, 건전지의 내부저항은 약 1.58Ω으로 매우 작은 값이었다. 이는 실습 전에 예상했던 것과 비슷한 결과였으며, DMM으로 측정한 실제값을 대입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었다고 생각된다. 2. DMM의 입력저항 측정 이 실습에서는 건전지의 출력저항과 DMM의 입력저항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 제작, 측정하고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혔다. ...2025.01.17
-
전기회로설계실습 2장 결과보고서2025.01.201. 건전지 내부저항 측정 실험을 통해 6V 건전지의 내부저항을 1.538Ω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건전지의 내부저항은 생각보다 작은 편이어서 현실적인 회로에서 부하저항이 내부저항보다 훨씬 클 때에는 내부저항을 고려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값이었다. 2. DC Power Supply 최대 전류 설정 DC Power Supply의 최대 전류를 3A로 설정하고 10Ω 저항을 연결했을 때 전압은 1V, 전류는 0.101A가 나왔다. 최대 전류를 50mA로 변경하고 10Ω 저항을 연결했을 때는 전압은 0.5V, 전류는 0.05A로 표시되고 ...2025.01.20
-
실험 장비 사용법 및 Thevenin 등가회로_예비레포트2025.01.091. DC Power Supply 사용법 DC Power supply는 전력선에 의하여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만들어주는 기기입니다. 이상적인 Power supply는 출력되는 전류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출력 전류에 따라 출력 전압이 영향을 받습니다. Power supply의 전력선을 연결하고 전원을 켠 후, 케이블을 통해 구성한 회로에 전원을 연결합니다. Power supply의 Output ON/OFF 버튼으로 채널의 출력을 동작시키며 다이얼을 통해 해당 전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2....2025.01.09
-
전기회로설계실습 실습1 결과보고서2025.01.201. DMM을 이용한 저항 및 전압 측정 이 실험에서는 DMM을 이용해 고정저항 및 가변저항의 저항을 측정하였으며, 가변저항에서는 어떤 단자를 연결하는지에 따라 저항 변화 여부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점퍼선의 저항을 2-wire 측정법과 4-wire 측정법으로 측정함으로써 점퍼선 자체에 작은 저항이 존재함을 알고, 두 측정법 간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2. 건전지 전압 측정 건전지의 전압을 측정하였으며, 직렬과 병렬로 회로를 구성하여 직접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옴의 법칙이 성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DC Po...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