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A/B/C형 간염 보고서2025.01.081. A형 바이러스 간염 A형 바이러스 간염은 장바이러스계열의 RNA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며, 주요 감염경로는 분변에 오염된 식수나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전파되는 경구 감염입니다. 감염력은 증상이 나타나기 2주 전부터 증상이 나타난 8일 후까지이며, 황달이 사라진 후 1주일 후에 소실됩니다. 병태생리적으로는 감염 즉시 IgM anti-HAV가 생성되며, 3~6주 안에 사라집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 관리, 식수 공급 관리, 식당 관리, 동물 돌보기, 능동면역(백신), 수동면역(면역글로불린)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2. B...2025.01.08
-
간염 종류별 (진단학적, 전파경로, 예방, 치료 및 간호) 정리2025.01.231. A형 간염 A형 간염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사람이 많은 곳과 위생 상태가 불량한 곳에서 많이 발생한다. 감염 후 평균 4주 내외에 항체가 나타나며, 대변-구강경로로 전파된다. 개인위생 관리, 식수공급 관리, 동물 격리, 능동면역(백신) 및 수동면역(면역글로불린) 등으로 예방할 수 있다. 2. B형 간염 B형 간염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우리나라 만성 간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혈청 접촉이 주요 감염 경로이며, 의료인, 수혈 환자, 동성연애자, 약물 중독자, 모자 간 주산기 수직전파 등이 위험 요인이다. 혈액, 혈액...2025.01.23
-
간암 케이스 CASE2025.01.291. 간암의 병태생리 및 원인 간암은 간세포나 담관 또는 양측에 모두 생길 수 있으며, 간의 혈관조직에 침범하여 출혈을 유발하고 혈액순환을 차단하여 간조직에 괴사를 일으킨다. 전이성 간암은 원발성 간암보다 더 흔하며, 간은 혈류가 많고 모세혈관망이 광범위하여 전이가 쉽다. 간암의 주요 원인은 B형 간염바이러스 감염, C형 간염바이러스 감염, 장기간 음주 등이다. 1. 간암의 병태생리 및 원인 간암은 간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악성 종양입니다. 간암의 주요 원인으로는 만성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알코올 ...2025.01.29
-
Viral Hepatitis(A~C형 원인,진단,감염경로,치료방법, 예방접종/D,E형 정의)2025.01.231. A형 간염 A형 간염은 유행성 간염이라고도 불리며, 원인균은 피막이 없는 RNA 바이러스(장 바이러스)입니다. A형 간염은 다른 형의 간염들과 달리 만성화되지 않습니다. 주된 감염경로는 분변-경구 감염(fecal-oral transmission)으로, 감염자의 대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 등을 섭취하면서 구강을 통해 바이러스가 체내에 들어와 간에서 증식하고 다시 담즙을 통해 대변으로 배출되어 전파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0년대 초까지 위생상태가 좋지 않아 대부분 어렸을 때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되어 간염 증상 없이 면역...2025.01.23
-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 문헌고찰2025.01.281.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은 간염 바이러스 및 단핵구증, 거대세포 바이러스 등과 같은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어 간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대부분 6개월 이내에 치료되며 환자의 90% 이상이 정상적으로 회복된다. 원인 바이러스로는 A형, B형, C형, D형, E형, G형 간염 바이러스, Epstein-barr 바이러스, 거대세포 바이러스가 있다. 감염되면 잠복기를 거쳐 발열, 구토, 복통,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의 환자는 치료를 통해 회복되지만 만성 간 질환이 있거나 면역력이 약할 경우 간부전이 ...2025.01.28
-
간암 케이스 문헌고찰2024.12.311. 간암 간암은 간에서 일차적으로 발생한 악성 종양을 의미합니다. 간세포에서 생긴 악성 세포가 무한정 증식하여 간 전체 또는 간 밖으로 퍼져 생명을 위협하는 악성 질환입니다. 간암의 주요 원인 및 위험 요인으로는 만성 B형 또는 C형 간염, 간경변증, 알코올성 간질환, 비만이나 당뇨와 관련된 지방성 간질환, 아플라톡신 B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간암 환자의 대부분은 B형 간염바이러스나 C형 간염바이러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간경변증이 심할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남자에게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1. 간암 간암은 매우 심각한 질병으로...2024.12.31
-
간호관리학 의료사고 보고서 A+2025.01.161.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으로 인한 집단 C형 간염 일회용 주사기 등을 재사용해 병원에 내원한 환자 수십 명을 C형 간염에 걸리게 한 사례가 있었다. 이는 의료법 제4조 6항을 위반한 것이며, 간호사의 법적 의무인 주의의 의무와 확인의 의무를 위반한 것이다. 또한 이로 인해 환자에게 해를 끼친 것은 한국 간호사 윤리 지침 제2장 제5조를 위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비윤리적인 의료행위를 막기 위해서는 정부의 금전적 지원을 통한 기능성 주사기 보급, 새로운 기능성 주사기 개발, 그리고 간호사 개인의 양심과 윤리의식 제고가 필요...2025.01.16
-
주사바늘 자상과 혈액매개성 감염질환2025.01.241. 혈액매개성 감염질환의 정의와 종류 혈액매개성 감염질환은 오염된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이 의료진의 경피나 점막을 통해 전파되어 감염되는 질환을 말한다. 이에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 20여 종의 질병이 포함되며, 특히 B형 간염, C형 간염, 매독 등이 주요 대상이 된다. 2. 주사바늘 자상에 의한 감염 경로 주사바늘 자상이 가장 일반적이고 흔한 혈액매개성 감염 경로로, 의료진의 82%가 이를 통해 노출된다. 그 외에도 점막 노출(14%), 손상된 피부 노출(3%), 환자에게 물리는 경우(1%) 등이 있다. 3. 주사바늘...2025.01.24
-
2020 노벨 생리의학상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발견2025.01.291.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발견 하비 올터는 미국 국립 보건원에서 근무하며 수혈 후 간염에 걸리는 환자들의 혈액 샘플을 모은 후 확인한 결과 기존의 혈액을 통해 감염되는 B형 바이러스로 설명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테스트하기로 결정하였다. 마이클 휴튼은 NANB의 간염원을 찾기 위해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였고, HCV 유전체를 확인하였다. 찰스 라이스는 HCV 유전물질을 확인하던 중 바이러스 게놈 말단에 지금까지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던 부분을 발견하였고, 해당 부분을 비활성화한 RNA 변이체를 생성하여 침팬지에 주입시켰더니 C형 ...2025.01.29
-
간염 질병보고서 및 간호진단, 간호중재 보고서2025.01.211. 간염의 종류와 특징 간염은 간세포 및 간 조직에 염증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A형, B형, C형 간염의 원인, 증상, 진단 방법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A형 간염은 급성으로 나타나며 대부분 자연 회복되지만, B형과 C형 간염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타나며 만성화될 경우 간경화와 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 2. 간염의 치료와 예방 A형 간염은 대증요법이 주된 치료이며, 개인위생 관리와 예방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다. B형 간염은 항바이러스제와 인터페론 치료를 하며, 예방접종으로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C형 간염은 경구용...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