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8개
-
성인) 진단검사2025.01.161. WBC(White Blood Cell) WBC(White Blood Cell)는 4.0-11.0(× 103/㎣) 범위가 정상입니다. 감소는 혈액 질환 감염증(Influenza, typoid etc.), 악성 빈혈 등에서 나타나고, 증가는 적혈구 증가증, 탈수 등에서 나타납니다. 2. RBC(Red Blood Cell), Hb(Hemoglobin), Hct(Hematocrit), MCV(Mean corpuscular volume), MCH(Mean corpuscular Hb), RDW(Red cell Distribution wi...2025.01.16
-
[성인간호학 자료, 신규간호사 자료] 순환기계 진단검사 목적 및 방법, 검사 전&후 간호2025.05.111. 혈액 검사 일반적으로 혈액 표본 내의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색소와 헤마토클트의 절대적 수나 양을 검사한다. 각가의 수치는 전체 백혈구 수에 대한 비율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감염과 감염의 잠재성을 평가하고 백혈병의 다양한 형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2. 혈액 채취 방법 정맥 또는 피부를 천자하여 채취한다. 보라색 마개의 진공채혈관을 사용하여 채혈한다. 대상자에게 시술에 대한 설명을 하고 교육한다. 말초혈관 천자 시 피부의 병소, 부종, 피부온도를 사정하여 따뜻하고 병소나 부종이 없는 부위를 선정한다. 정맥 천자 시...2025.05.11
-
(간호학과 케이스 스터디에 필요한) 혈액검사 정상수치, 임상적 의의 총정리본2025.05.021. CBC (Complete Blood Count) CBC는 백혈구(WBC), 적혈구(RBC), 혈색소(Hb), 헤마토크릿(Hct), 평균적혈구용적(MCV), 평균적혈구혈색소량(MCH),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MCHC), 적혈구분포폭(RDW), 혈소판(Plt), 혈소판용적지수(MPV), 혈소판분포폭(PDW) 등을 포함하는 검사입니다. 각 항목의 정상범위와 임상적 의의를 정리하였습니다. 2. 요검사 (Urinalysis) 요검사에는 색깔, 탁도, 비중, pH, 단백질, 포도당, 케톤체, 빌리루빈, 잠혈 등의 항목이 포함됩니다. 각 항...2025.05.02
-
임상 기본 LAB종류와 의미2025.01.141. LAB 검사 종류와 의미 LAB 검사 항목의 종류와 각 검사 항목의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WBC, CK, Hb, CK-MB, PLT, TnT, Neut, p-BNP, HbA1c, Uric acid, Glucose, LDH, CRP, Amylase, ESR, Lipase, AST, Phosp, ALT, TG, T-Bilirubin, Cholesterol, D-Bilirubin, Na, K, T-Protein, Albumin, Cl, BUN, D-dimer, Creatinine, ammonia, eGFR 등 다양한 LA...2025.01.14
-
혈액검사 정상수치와 임상적 의의(Urine도 같이 있음)2025.01.161. 일반검사의 정상수치와 임상적 의의 lab검사 결과와 urine 결과의 임상적 의의가 전부 빠짐없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Hematology, 혈액응고검사, Urinalysis, 24hr Urine Collection, Blood Chemistry,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 SAA, CRP(정량) 등의 정상범주와 검사결과에 따른 임상적 의의가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1. 일반검사의 정상수치와 임상적 의의 일반검사는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질병을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상 ...2025.01.16
-
전해질 수치2025.01.171. 저나트륨혈증 저나트륨혈증은 구토 등에 의한 나트륨 소실이나 수분 과다 섭취로 인해 나타날 수 있고, 신부전이나 이뇨제로 인한 나트륨 배설 증가, 애디슨병, SIADH에 의해 나타나기도 한다. 저나트륨혈증일 경우 혈액의 삼투압이 낮아져 세포 내 수분이 혈관으로 이동하고 전체적인 혈장량이 증가하게 되어 부종이 나타날 수 있고, 뇌세포로 수분이 이동하여 두개내압이 상승하면서 두통 및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고 악화될 경우 뇌 탈출이나 혼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저나트륨혈증의 교정에서는 나트륨을 보충하고 수분을 제한하는 것이 기본적...2025.01.17
-
[간호]성인간호실습 총담관결석증(CBD stone) 케이스2025.01.171. 총담관결석증 총담관결석증은 담관 내에 결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우상복부 통증, 발열, 전신 무력감, 오한 등이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와 영상검사(ERCP)가 필요하며, 치료로는 항생제, 해열제, 이담제 등의 약물 치료와 ERCP를 통한 결석 제거 등이 이루어집니다. 간호 중재로는 통증 관리, 체온 관리, 혈당 관리, 합병증 예방 등이 필요합니다. 2. 간호과정 이 환자의 간호과정에서는 급성 통증, 고체온, 불안정한 혈당 수치 등의 간호진단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단기 및 장기 목표를 설정하였습니다. ...2025.01.17
-
[A+아동간호학실습] 사전학습 (아동 활력징후, 검사, 고체온, 폐렴, 세기관지염 등)2025.01.121. 아동의 활력징후 측정 아동의 활력징후는 크게 혈압, 맥박, 호흡수, 체온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혈압의 정상범위는 연령대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맥박은 연령이 어릴수록 더 빠르고 수면 중일 때 더 낮게 측정될 수 있다. 호흡수는 연령이 어릴수록 더 빠르며, 체온은 측정 부위와 방법에 따라 정상범위가 다르다. 활력징후 측정은 아동의 신체적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2. Hematology, blood chemistry 검사 Hematology 검사에는 WBC, RBC, Hb, Hct, MCV, MCH, M...2025.01.12
-
성인간호학실습 A+ 급성췌장염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2025.04.301. 급성 췌장염 급성 췌장염은 췌장효소에 의해 췌장 분비샘이 파괴되거나 췌장에 국소적 혹은 전체적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주요 증상은 복부 통증, 오심, 구토이며, 진단을 위해 혈액 검사와 영상 검사가 필요하다. 치료는 금식, 수액 공급, 진통제 투여 등이며, 간호 중재로는 통증 관리, 영양 공급, 합병증 예방 등이 포함된다. 예후는 대부분 양호하지만 중증의 경우 사망률이 높은 편이다. 1. 급성 췌장염 급성 췌장염은 췌장의 급격한 염증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과도한 알코올 섭취, 담석,...2025.04.30
-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과정2025.05.061. 고체온 간호 대상자의 고체온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를 수행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활력징후 측정, 혈액검사 시행, 피부 및 오한 사정, 얼음주머니 적용, 수분섭취 교육, 환경관리, 증상 및 합병증 교육, 약물 투여 등이 포함되었다. 1. 고체온 간호 고체온 간호는 환자의 체온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 높은 경우 이를 관리하고 정상 수준으로 낮추는 중요한 간호 활동입니다. 고체온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신속히 발견하고 적절한 중재를 통해 체온을 낮추는 것이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