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3개
-
실용한의학 요약2025.05.081. 음양 음양은 한의학의 핵심 개념으로, 모든 존재와 현상에 나타나는 상대적인 상반된 속성을 말한다. 음양의 조화가 깨지면 생리적 조절에 균형이 깨져 병적 현상이 생긴다. 지나친 것도 병이고 부족한 것도 병이다. 체온, 맥박 등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병적 현상이 된다. 음허양승은 음이 허하고 양이 승하는 상태이고, 양허음승은 양이 허하고 음이 승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음양의 불균형이 질병의 원인이 된다. 2. 심신상관 사람의 심리 상태와 감정의 발현은 생리적 변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분노와 비애 등 음양의 대조적인 심리 ...2025.05.08
-
속명의유안60권, 장창, 혈탈번조, 혈허발조, 기허혈열, 어혈범주, 어혈작통등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58페이지2025.01.271. 장창 장창은 분증이 30조로 분류되며 장자화가 한 남자가 곤장을 맞아 종기와 통증 화끈거림이 발생해 독기가 안으로 들어가 막아 놀란 침이 막아 어금니를 깨물고 입 벌리지 못하고 죽과 약이 연하되지 못한지 앞뒤로 1달정도로 모든 치료가 공로가 없어서 죽음을 달게 기꺼이 받아들였다. 먼저 삼성산으로 푸른 가래와 놀란 침을 대략 큰 장구 절반정도 토해냈고 다음에 이격환 100여알로 냄새나고 나쁜 건조한 대변을 또 한 큰 장군만큼 사하했다. 다시 통성산 몇돈을 달여 뜨겁게 복용하고 다시 시고 맵고 파와 식초탕으로 땀을 내었다. 매우 ...2025.01.27
-
인지적 학습이론을 통한 소비자 경험 사례2025.01.221. 인지적 학습이론 인지적 학습이론은 인간을 외부자극에 의한 수동적인 존재보다는 주변의 환경 정보를 능동적으로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로 간주합니다. 이는 단순한 자극-반응 관계가 아니라, 기존 지식과 정보가 결합되어 새로운 인식을 발생시키는 과정입니다. 저자는 애플워치와 한의학 치료 경험을 통해 인지적 학습이론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애플워치 사례 애플은 디지털웨어라는 생소한 제품군을 출시하면서 대규모 이벤트를 개최하여 제품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었습니다. 저자 또한 아이폰 사용자가 아니었지만, 광고와 주변 사용자들의 긍...2025.01.22
-
체질의학에 대한 고찰2025.04.251. 체질의학 체질이란 신체의 구조, 정신, 심리를 포괄하는 것으로 쉽게 변하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유형을 말한다. 체질의학의 치료는 약한 장기와 강한 장기가 균형을 회복하여 궁극적으로 질병이 치료되는 것이다. 체질론에 대한 반론으로는 이 세상에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데 어떻게 단지 8체질 혹은 4체질 안에 다 들어가느냐는 것이다. 이에 대한 체질론자들의 답변은 중요한 것은 개수가 아니라 기준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2. 병리적 진단 병리적 진단은 경과가 별로라도 체질이나 병증 진단처럼 다시 새롭게 진단할 필요가 ...2025.04.25
-
음양오행이 실생활에 적용된 사례연구2025.05.051. 한의학과 음양오행 한의학에서는 병을 진단하기 위해 몸속을 직접 들여다보는 것이 아니라 증상으로 유추하여 알아낸다. 이때 음양론과 오행론이 중요한 이론적 기반이 된다. 음양론은 세상에 항상 상반되는 두 가지 성질이 존재한다는 것을 설명하며, 오행론은 인체의 다섯 장기를 오행에 대응시켜 설명한다. 이러한 이론들은 자연을 오랫동안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립되었다. 2. 오장육부와 삼초 한의학에서는 인체의 다섯 장기(오장)와 여섯 부위(육부)를 중요하게 여긴다. 이 중 담(쓸개)은 청정한 액(담즙)을 저장하고 배설하여 소화 작용을 ...2025.05.05
-
본초품휘정요8권, 세신, 석곡, 파극천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8페이지2025.01.161. 세신 세신은 신농본초경에서 나오며 주로 기침 상역, 두통, 눈앞에 캄캄함어지럼, 모든 관절이 당기고 아픔, 풍습사기 저린통증, 오래 복용하면 눈을 밝게 하며 9구멍을 이롭게 하며 몸을 가볍게 하며 오래 살게 한다. 세신은 죽은 살갗을 치료하고 중초를 따뜻하게 하며 기를 내리고 가래를 없애고 수도를 잘 나가게 하며 가슴속을 열어서 후두의 마비와 코막힘을 제거하고, 풍성 간질, 미친질환을 제거하고 유방결절을 내리고 땀이 나오지 않음, 혈이 운행하지 않음, 오장을 편안하게 하며, 간담을 보익하고 정기를 통하게 한다. 2. 석곡 석곡...2025.01.16
-
본초품휘정요8권, 방풍, 포황, 향포2025.01.171. 방풍 방풍은 신농본초경 출전이며 대풍[한센병], 머리가 아찔한 통증, 바람을 싫어함, 풍사와 눈이 어두워 안 보임, 풍이 온 몸을 돌아다님, 골절이 아프고 마비, 화끈거리고 그득함, 오래 복용하면 몸을 가볍게 한다. 방풍은 옆구리 통증, 옆구리 풍증, 머리안면에 오고 감, 사지의 경련과 급함, 자식 낳아 기름, 금창상, 경련을 주치한다. 방풍잎은 중풍으로 열땀이 나오지 않음을 주치한다. 방풍은 족양명경, 태음경, 수태양경에 다닌다. 2. 포황 포황은 신농본초경 출전이며 심복부 방광의 오한발열을 주치하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2025.01.17
-
우리 역사 속 전염병과 방역의 역사2025.01.041. 전염병 치료와 방역의 역사 우리 역사 속에서 전염병에 대한 치료와 방역 방법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조상들은 민간요법과 한약재를 이용하여 병을 치료하였고, 특히 세종대왕, 정약용 등 역사적 인물들이 의학서를 편찬하여 백성들의 삶에 기여하였습니다. 또한 예로부터 전염병 발생 시 격리 조치를 취하는 등 현대와 유사한 방역 방식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오늘날 질병 예방과 치료에 많은 시사점을 줍니다. 1. 전염병 치료와 방역의 역사 전염병 치료와 방역의 역사는 인류가 직면해 온 가장 큰 ...2025.01.04
-
전 세계 주요 정체법 5가지 특성, 효능, 적용방법 요약2025.01.031. 한의학 한의학은 기와 혈액, 양양 등의 개념을 기반으로 침술, 한약, 체외 자극, 식이요법, 명상 등을 통해 질병의 근본 원인을 개선하여 건강을 유지하고자 한다. 서양 의학이 질병의 외부 원인 제거에 초점을 두는 것과 달리, 한의학은 사람의 기운이 허약해져 사기를 방어하지 못하는 것이 질병의 원인이라고 보고 정기를 강화하는 데 주력한다. 2. 아유르베다 인도의 전통 의료 체계인 아유르베다는 허브 치료, 요가, 명상, 생활습관 개선 등을 통해 몸과 마음의 균형과 조화를 추구한다. 아유르베다에서 파생된 요가는 병을 분비물이나 감관...2025.01.03
-
비만과 부종에 대한 고찰2025.05.141. 비만의 한의학적 개념 『黃帝內經』에서는 비만을 비(肥), 비반(肥胖), 비인(肥人), 육인(肉人), 비귀인(肥貴人)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 내경은 비만의 병인을 최초로 기재한 의서이며, '肥實人, 膏粱之疾也'라고 하여 비만과 음식섭취의 관계에 대해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유전적인 경우, 과식하거나, 기름지고 단 음식을 많이 먹는 것, 오래 누웠거나 오래 앉아 있고 노동을 적게하는 것, 외감습사 또는 내상칠정으로 인한 기체(氣滯), 담탁(痰濁), 수습(水濕), 어혈(瘀血)을 병인으로 제시하였다. 2. 비만과 부종의 관계 현재까...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