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4개
-
한국어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2025.01.061. 동사의 특성과 분류 동사는 의미 범위에 따라 넓은 의미에서는 형용사를 포함하며, 좁은 의미에서는 형용사와 구별된다. 동사는 형태론적으로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는-/ -ㄴ-'과 현재시제 관형사형 어미 '-는'을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고, 현재진행형 '-고 있다'의 결합도 자유롭다. 또한 명령형, 청유형, 연결어미 등과 결합할 수 있다. 통사론적으로는 목적어 유무에 따라 타동사와 자동사로 나뉘며, 피동사, 사동사, 본동사, 보조동사 등으로 세분화된다. 의미론적으로는 이동동사, 심리동사, 수행동사, 단언동사, 대칭동사, 수혜동사,...2025.01.06
-
한국어와 영어 품사 분류의 차이 설명2025.05.061. 품사 분류의 기준 품사란 성질상 비슷한 낱말이나 단어들을 모아서 분류해 놓은 것으로서 그 기준은 단어가 나타내고 있는 의미, 문장 안에서 담당하고 있는 기능들, 단어의 형태 변화에 따라 분류하게 된다. 한국어는 9가지의 품사(동사, 형용사,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로 나누며, 영어는 명사, 대명사, 동사/형용사, 부사/접속사, 전치사/감탄사로 나누어진다. 2. 한국어 품사 분류 기준 한국어 품사는 형태 변화(가변어, 불변어)와 문장 안에서의 단어 역할(용언, 체언, 관계언, 독립언, 수식언)에 따...2025.05.06
-
한국어문법론2025.01.211. 한국어의 품사 분류 한국어 품사 분류의 기준은 크게 통사론적 특징, 형태론적 특징, 의미론적 특징으로 나눌 수 있다. 통사론적 특징은 문장 구성에서 단어의 기능을 기준으로 하며, 체언과 용언으로 구분된다. 형태론적 특징은 단어의 어형변화 여부에 따라 가변어와 불변어로 구분된다. 의미론적 특징은 단어가 나타내는 개념의 범주에 따라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한국어 품사는 체계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2. 텍스트 원본의 품사 구분 제시된 텍스트에서 각...2025.01.21
-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 차이 설명2025.01.231. 품사 분류의 기준 품사란 단어들을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갈래 지어 놓은 것을 의미한다. 언어마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나누어놓은 품사 체계가 있고 이들 품사는 분류기준에 따라 차이를 가진다. 한국어 품사 분류는 형태, 기능, 의미에 따라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 등 9개로 나뉘며, 영어 품사 분류는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 등 8개로 나뉜다. 2. 한국어와 영어 품사 분류의 차이 한국어와 영어는 품사의 갯수부터 체계까지 다르다. 영어에는 있...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