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쿠싱증후군 진단 및 수술 후 통증 관리2025.01.121. 쿠싱증후군 류OO 환자는 점진적인 체중 증가, moon face, Buffalo hump, hoarseness 등의 쿠싱증후군 증상이 나타나 00병원 내분비내과에서 Pituitary Cushing syndrome 진단을 받고 뇌하수체 종양 제거 수술을 받았다. 그러나 수술 후에도 전신 근육통과 관절통이 지속되어 섬유근육통, 다발성 관절증, 골다공증 등이 추가로 진단되었다. 2. 통증 관리 류OO 환자는 관절, 근육, 손가락 관절 등의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고 있다. 이를 위해 진통제 투약, 물리치료 등의 중재가 필...2025.01.12
-
시낙텐 검사2025.01.151. 시낙텐 시낙텐(냉장보관)은 테트라코삭트린 0.25mg이 포함된 합성 ACTH 성분이 들어있는 약물입니다. 부신 피질 기능 부전의 진단을 위해 코티졸(cortisol) 분비 능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쿠싱증후군, 부신 종양, 뇌하수체 종양 등과 같은 뇌하수체나 부신 문제를 판별하기 위한 검사에 활용됩니다. 2. 시낙텐 검사 절차 1. 오전에 코티졸 분비가 활발하므로 오전에 검사를 시행합니다. IV line을 20G or 18G로 잡고 basal ACTH, Cortisol, Aldosterone을 측정한 후 합성 부신 피질자...2025.01.15
-
쿠싱증후군 환자의 체액과다, 상황적 자존감 저하, 감염의 위험에 대한 간호2025.01.041. 체액과다 쿠싱증후군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체액과다 증상을 관리하기 위해 활력징후 모니터링, 체중 및 복부둘레 측정, 수분 및 전해질 균형 관찰, 나트륨과 수분 제한, 이뇨제 투여 등의 간호중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체액과다 증상을 완화시키고자 하였다. 2. 상황적 자존감 저하 쿠싱증후군으로 인한 외모 및 신체변화로 인해 대상자의 자존감이 저하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상자의 자존감 정도를 사정하고, 자기비하 행동을 확인하며, 긍정적인 자기인식을 증진시키는 간호중재를 제공하였다. 3. 감염의 위험 쿠싱증후군 환자는 면역기능...2025.01.04
-
쿠싱증후군 환자의 간호과정2025.01.101. 근육소실과 손상 위험 근육허약이 심해져 계단 오르기가 힘들어진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낙상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를 제공하고 활동과 휴식을 조절하여 더 이상의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감염 위험 코르티코이드 호르몬 투여로 인한 면역 저하로 감염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감염 예방을 위한 철저한 무균술 준수, 영양 섭취 증진, 감염 징후 관찰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합니다. 3. 체액과다 코르티코이드 호르몬의 수분-전해질 균형 작용으로 인한 체액과다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체중 및 활력징후 모니터링, 수분 섭취 제한, ...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