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6개
-
체육과 지도안 - 씨름2025.01.131. 씨름의 기본 자세 씨름의 기본 자세는 오른손으로 상대의 허리샅바를 잡고, 왼손으로는 다리 샅바를 잡는 것이다. 두 손으로 샅바를 잡은 후 오른쪽 어깨를 서로 맞대고 허리를 수평에 가깝게 편다. 이때 중심이 앞으로 기울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 다리는 어깨너비 정도로 벌리고 오른발은 왼발보다 약간 앞으로 내디딘다. 2. 씨름의 손 기술 씨름의 손 기술에는 앞무릎치기, 뒷무릎치기, 옆무릎치기 등이 있다. 앞무릎치기는 맞닿은 어깨를 떼고 상대의 중심이 앞으로 쏠리게 한 후, 앞으로 나오는 상대방의 앞무릎을 손으로 치면서 윗몸을 오른쪽...2025.01.13
-
체육과 지도안 - 육상2025.01.131. 육상 경기의 특성과 효과 육상 경기는 속도, 높이, 거리를 경쟁하는 운동으로 달리기, 뜀뛰기, 던지기의 기초 기능과 체력을 향상시켜 경기 기능을 높인다. 개인에게 알맞은 연습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습관을 기른다. 2. 달리기, 뜀뛰기, 던지기의 기본 동작 달리기, 뜀뛰기, 던지기 등의 각 운동의 특성과 기본 동작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개인 능력에 따라 그룹을 편성하여 수준별 학습이 되게 한다. 자율적인 연습 방법을 관찰하여 시정방안을 제시해 주며, 여러 가지 트레이닝 방법의 원리를 이해시키도록 한다. 3. 단...2025.01.13
-
체육과 지도안 - 줄넘기2025.01.131. 줄넘기 운동의 기원 줄넘기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아이들의 놀이로서 널리 알려져 왔으나 의외로 그 기원에 대하여 정설은 없는 것 같다. 하지만 수세기 전 극동아시아 및 유럽 등지에서 남녀노소가 가리지 않고 즐겼다고 여러 문헌에서 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말엽에 한시인 최영연이 쓴 해동죽지 중편에 여러 가지 민속놀이가 적혀져 있는데, 그 가운데에 오늘날의 짧은 줄넘기의 보습은 정확히 묘사하고 있다. 조중봉 의병 대장이 어린이들의 다리 힘을 키우고 각기병을 막기 위해 새끼줄로 아이들이 새끼줄의 양쪽 끝을 잡아 넘고 또 뛰어 ...2025.01.13
-
체육과 지도안 - 체력운동2025.01.131. 체력운동의 의의 및 구조 체력운동의 개념, 구성요소, 특성 및 효과, 기본원리 등을 설명하였다. 체력운동은 사람이 생명을 유지하며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의미하며, 행동체력과 방위체력으로 구성된다. 운동의 특성과 효과, 체력육성의 기본원리 등을 자세히 다루었다. 2. 근력운동 근력의 의미와 증강 트레이닝법을 설명하고, 정확한 동작으로 근력운동을 시범하였다. 근력 측정 방법과 수준별 트레이닝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상지, 어깨/가슴, 복근, 다리근, 팔가슴근 등 부위별 강화 트레이닝을 소개하였다. 3. ...2025.01.13
-
체육과 지도안 - 축구2025.01.131. 축구의 지식 구조 축구를 지도하기 위해서는 실제 경기 상황에 나타나는 현상들을 분석하여 하나의 지식 체계로 구조화 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축구의 지식 구조'라 한다. 축구의 지식 구조를 만드는 목적은 실제 축구 경기에 사용되는 각 기술들을 분석하고 분류함으로써 축구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이 보다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축구를 가르치거나 배우기 위해서는 각 기술들에 대해서 인지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이론적 지식과 이러한 이론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수많은 반복 연습을 통해서 몸으로 익혀야 하는 기술적 지식이...2025.01.13
-
체육과 지도안 - 탁구2025.01.131. 탁구의 역사 탁구는 1898년에 영국의 제임스 기브가 셀룰로이드로 만든 공을 사용하면서 널리 보급되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우리나라는 1873년 사라예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고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2개의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다. 2. 탁구의 특성 탁구는 연령에 관계없이 좁은 장소에서도 가능하며, 규칙이 간단하고 기술 향상도 쉬운 운동이다. 또한 간단한 시설과 용구로 즐길 수 있는 운동이다. 3. 탁구의 효과 탁구는 정확한 판단력 및 신경의 발달과 신체 발...2025.01.13
-
체육과 지도안 - 테니스2025.01.131. 테니스 경기의 역사 테니스는 13세기경 프랑스의 라 폼이라는 게임에서 유래되었으며, 19세기 중엽부터 영국에서 오늘날과 같은 경기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1912년 국제 테니스 연맹이 창설되면서 크게 발전하였고, 1988년 서울 올림픽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우리나라에는 1900년대 초 미국인 선교사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되었으며, 현재는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평생 스포츠 종목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다. 2. 테니스 경기의 특성 테니스는 상대방에 대한 예의와 경기 태도를 중요시하는 운동이며,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2025.01.13
-
체육과 지도안 - 투기종목2025.01.131. 씨름 씨름은 인류 역사와 함께 존재해 왔던 자기 방어의 본능에서 발생된 운동으로, 기본 기술과 응용 기술을 익히며 수련 과정을 통해 주체성 확립 및 민주 시민의 자질을 기르는 것이 목표이다. 씨름의 경기 방법, 기능, 규칙 및 심판법을 학습한다. 2. 태권도 태권도는 예의 규범을 익히고 기초 기능인 서기, 막기, 지르기 등을 연습하여 강인한 의지와 투지력, 자제력, 판단력, 용기, 예의바른 태도 등을 기르는 것이 목표이다. 3. 유도 유도는 후방 낙법, 한팔 업어치기 등의 기술을 익히며 부드러움이 강함을 제압하는 '유능제강'의...2025.01.13
-
체육과 지도안 - 티볼2025.01.131. 티볼의 이해 티볼은 청소년기의 체력향상과 경기 룰을 통하여 사회성을 키울 수 있는 운동입니다. 티볼 경기의 기본 룰과 기초기능을 배워 티볼 경기를 즐길 수 있습니다. 티볼 경기는 남녀혼성학급 경기가 가능하여 서로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습니다. 티볼 경기로서 야구경기에 대한 이해와 게임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티볼 경기를 통하여 학생들의 건강증진과 여가선용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2. 티볼의 스트레칭과 경기규칙 티볼 경기에서는 스트레칭이 필요합니다. 스트레칭을 통해 부상을 예방하고 경기에 필요한 유연성과 근력을 기를 수 ...2025.01.13
-
체육학개론2025.01.141. 놀이 놀이는 인간의 본능에 가까운 행동이나 신체 활동을 통하여 만족이나 즐거움을 얻고자하는 것이다. 자발성이 부여되고 놀이는 보통 인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이러한 놀이는 아기의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에 영향을 주며 신체적인 활동의 하나로써 인간이 운용할 수 있는 대근육과 소근육 등을 이용하여 인체를 움직이려는 동기와 함께 많은 것들을 학습하게 된다. 놀이는 그 자체의 즐김거리이지 특별한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고 자발적 참여하고 자발적으로 놀이는 즐기는 것을 바탕으로 한다. 2. 생활체육 생활체육은 전문...202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