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6개
-
조선후기의 문화2025.05.011. 민화 조선후기에 백성들 사이에서 민화가 크게 유행하였습니다. 민화는 백성들이 직접 그린 그림으로 대부분 작가를 알 수 없는데, 매일 보고 접하는 것을 소재로 하였으며 까치나 호랑이 등과 같은 동물도 소재로 많이 활용되었습니다. 민화는 악귀를 물리치고 복을 비는 의미에서 사용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2. 탈놀이 조선 후기에는 서민들 사이에서 탈놀이도 크게 유행하였습니다. 탈놀이는 주로 시대를 풍자하는 가운데 세상을 해학적으로 비판하였으며, 현재까지 남아 있는 대표적인 탈놀이로는 봉산 탈춤, 송파 산대놀이, 하회 별신굿 탈놀이, ...2025.05.01
-
조선후기의 장편시가2025.05.061. 조선후기 장편시가 조선후기에는 길이가 매우 긴 장편시가들이 많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장편가사인 '일동장유가'와 '연행가', 그리고 장편창가인 '경부철도가', '한양가', '세계일주가' 등이 있습니다. 2. 일동장유가 일동장유가는 김인겸이 일본에 통신사의 일행으로 다녀온 후에 지은 기행문 형식의 시가입니다. 3. 연행가 연행가는 홍순학이 청나라의 연경을 구경하고 난 후에 지은 작품으로, 당시 청나라가 서양세력의 침략을 받고 있던 상황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4. 조선후기 연행록 조선후기에는 연행록도 많이 나오...2025.05.06
-
조선후기의 문학과 예술2025.05.081. 사설시조 조선후기에는 형식과 격식에서 벗어난 시조인 사설시조가 유행하였습니다. 사설시조는 익살스러운 내용이 많고 신분제의 허상을 폭로하는 내용들과 풍자적인 작품들이 많았습니다. 사설시조는 작자미상인 경우가 많고 민간에서 입으로 많이 전해졌습니다. 2. 한글 소설 조선의 3대 도적은 임꺽정, 장길산, 홍길동이었는데 홍길동이 소설로 쓰였습니다. 홍길동전은 허균이 광해군 때 쓴 작품으로 한글로 쓰인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입니다. 조선시대에 나온 한글소설로는 홍길동전, 구운몽, 사씨남정기, 심청전, 흥부전, 춘향전 등이 있습니다. 춘향...2025.05.08
-
한국고전문학 작품 선정(박씨전)2025.05.021. 『박씨전』을 선정한 이유 박씨전이 쓰인 조선시대는 가부장적 사회로 여성의 사회진출이 제한되어 있었는데, 이 시기에 창작된 소설의 주인공이 박색인 외모 때문에 남편과 주변 사람들에게 미움을 받지만 훌륭한 재능을 가지고 있어 모든 일을 해결하는 주체적인 여성상을 그리고 있다. 이 소설을 통해 조선 후기 변화하는 여성상을 살펴보고, 한편으로 현대 사회에서 여성의 미와 재능을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서도 조명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이 소설을 조제로 채택하게 되었다. 2. 『박씨전』의 작품 특징과 인물 설명, 사회문화적 배경 박씨전은 고전...2025.05.02
-
조선 후기의 학문과 문화2025.05.061. 조선후기의 예술 조선후기의 그림분야에서는 진경산수화가 발달을 했는데요 우리나라의 산천을 사실적으로 표현 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진경산수화 작품에는 정선의 그림인 인왕제색도가 있습니다. 조선후기에는 서민들 사이에서 민화도 크게 유행을 했는데요 민화는 작자 미상의 그림으로 서민들의 생활공간을 장식 하였습니다. 조선후기에는 풍속화도 발달을 하였는 데요 생활모습을 생동감 있게 표현한 풍속화 분야에는 김홍도와 신윤복이 크게 활약을 하였습니다.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는 김정희인데요 김정희는 추사체를 확립 하였습니다. 김정희는 금석학에도...2025.05.06
-
조선후기의 실학자2025.01.221. 중농학파 실학자 조선후기 실학자 중 농업을 중시하고 토지 제도 개혁을 주장한 중농학파에는 반계 유형원, 이익, 정약용 등이 있습니다. 유형원은 균전제를 제시했고, 이익은 농가에서 대대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토지를 주자고 주장했습니다. 정약용도 농지의 공동 소유와 공동 경작, 수확물의 공동 분배를 주장했습니다. 2. 중상학파 실학자 조선후기 실학자 중 상공업 활동과 기술 개발을 주장한 중상학파에는 유수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상공업의 발달을 통한 사회 번영을 주장했고, 청나라의 문물 도입을 주장한 ...2025.01.22
-
조선후기에 편찬된 역사서2025.01.181. 조선후기 역사서 조선후기에 편찬된 주요 역사서로는 해동역사, 동사강목, 발해고 등이 있습니다. 해동역사는 고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다루었고, 동사강목과 발해고는 각각 조선 역사와 발해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였습니다. 이들 역사서는 조선 후기 실학 경향을 반영하며, 한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 발해고 발해고는 유득공이 저술한 역사서로, 발해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발해고는 총 5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기(考紀), 지리고(地理考), 관고(官考), 물산고(物産考), 풍속고(風俗考...2025.01.18
-
조선후기 서민문화 수업 지도안2025.01.141. 조선후기 서민문화의 등장 배경 조선 후기에 농업과 상공업의 발달로 일반 백성들의 생활에 여유가 생겼습니다. 이에 따라 서민들이 자신들만의 문화를 즐기기 시작했는데, 대표적으로 한글소설, 민화, 풍속화, 판소리, 탈춤 등이 발달했습니다. 2. 한글소설 한글소설은 다양한 신분의 인물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사회의 잘못된 점을 비판하거나 서민들의 감정을 그대로 표현했습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홍길동전』, 『흥부전』, 『춘향전』, 『심청전』 등이 있습니다. 3. 민화와 풍속화 민화는 서민이나 무명 화가가 그린 그림으로, 해, 달,...2025.01.14
-
한국문학통사 3권 요약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 / 대학과제용)2025.01.171.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에 대한 문학적 대응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은 조선에 큰 수난을 안겨주었지만, 이를 통해 실학이 대두되고 하층예술이 극도로 부흥하는 등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가 시작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 시기 문학에서는 실기, 시가, 설화, 소설 등 다양한 갈래에서 이러한 수난을 다루었다. 2. 정통 한문학의 동요와 지속 임진왜란 직전 시기에 정통 한문학이 가장 발달했지만, 전란의 충격으로 인해 문학의 아성도 뒤흔들리기 시작했다. 젊은 지식인들이 한문학의 관습을 근본적으로 비판하면서 새로운 문학관이 등장했다. 3. 소...2025.01.17
-
조선 후기 불전의 변화2025.05.101. 조선 후기 불전의 변화 조선 후기 불전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와 비교하여 조선 후기에 나타난 변화로는 첫째, 다포계의 도입과 용머리 장식, 꽃창살 등 화려한 외형의 변화, 둘째, 경사지를 이용한 산지가람의 등장, 셋째, 마당을 중심으로 한 배치의 변화, 넷째, 불단의 위치 변화, 다섯째, 왕실과 관련된 복합용도의 건물 등이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당시 사회적 혼란과 왕실의 영향, 상인들의 투자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1. 조선 후기 불전의 변화 조선 후기 불전의 변화는 당시 사회적, 문화적 변화와 밀접한 관련...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