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32개
-
[A+, 에리카] 2022-2학기 회로이론응용및실험레포트 1. Multimeter(멀티미터)의 사용법 및 기초 회로 이론2025.05.151. Multimeter Multimeter는 전압, 전류, 저항, 전기용량 등 전기회로의 특성들인 물리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디지털 값으로 보여주는 다중 전기량 측정 장치이다. 각종 아날로그양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A-D변환기에 의해 부호화한 펄스 신호로 변환 후, 10진수로 변환하여 디지털값으로 나타낸다. 외부 저항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멀티미터 내부에 저항을 삽입하여 전압을 얻어 ADC을 통해 수치화 한다. 액정 디스플레이가 있는 멀티미터 기기와 검은색과 빨간색 탐침으로 이루어져있으며, 멀티 미터를 작동시키기전에 반드시 ...2025.05.15
-
[A+, 에리카] 회로이론응용및실험레포트 6. RL과 RC회로(교류 회로)2025.05.151. 축전기(capacitor) 축전기(capacitor) 또는 콘덴서(condenser)란 마주 보는 두 장의 전극 판 사이에 유전체가 들어있는 부품으로 전하를 저장, 즉 전기 회로에서 전기 용량을 전기적 퍼텐셜 에너지로 저 장하는 장치이다. 각 판의 표면과 절연체의 경계 부분에 전하가 비축되고, 양 표면에 모이는 전하량의 크기는 같지만 부호는 반대이다. 즉, 두 도체 판 사이에 전압을 걸면 음극에는 (-) 전하가, 양극에는 (+)전하가 유도되는데, 이로 인해 전기적 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인력에 의하여 전하들이 모여 있게 ...2025.05.15
-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 RC회로의 시정수 측정2025.05.151. DMM 내부 저항 측정 22M 저항과 DMM을 직렬로 연결하여 DMM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고, 전압분배 법칙을 사용하여 DMM의 내부 저항을 약 10mohm으로 계산하였다. 높은 저항값을 사용할 때는 DMM의 내부 저항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RC 시정수 측정 2.2uF 커패시터와 DMM을 직렬로 연결하여 RC 시정수를 측정하였다. 이론적으로 예상한 값은 22.21초이지만, 실험 결과 평균 19.5초로 약 12%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오차의 원인은 커패시터의 완전한 방전 실패와 스탑워치 사용의 한계로 인...2025.05.15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1.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결과보고서2025.05.151. 저항 측정 30개의 저항을 측정한 결과 모든 저항이 5%의 오차 범위를 만족하였고 평균값은 9.82kΩ, 표준편차는 0.0308kΩ이었다.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면 표준편차가 32.4%로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2. 전압 측정 6V 건전지의 출력전압은 2.83V로 내부 저항이 매우 컸으며, DMM으로 측정한 전압에 대한 DC power supply에 표시된 전압의 오차는 유효숫자 내에서는 0.0978%이었다. 3. 전류 측정 측정된 값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KVL, KCL의 오차는 유효숫자 내에서 각각 0%, 0.509%였다. ...2025.05.15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2025.05.151. DMM의 내부저항 측정 DMM의 내부저항을 측정하여 10.05의 값을 얻었다. DMM으로 큰 저항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에 유의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2. RC회로의 시정수 측정 타이머를 이용하여 RC회로의 시정수를 측정하였는데 오차가 -5.68%이었다. DMM의 응답속도와 사람의 반응속도 때문에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후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시정수를 측정하였고 이론값과 정확히 일치하였다. 3. 오실로스코프 사용법 Function generator(+), 저항, 커패시터, Function generator(접지)의 순서...2025.05.15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32025.05.151. 분압기(Voltage Divider) 설계 이 보고서는 부하효과(Loading Effect)를 고려한 분압기(Voltage Divider)를 설계, 제작하고 설계와 실험값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분압기 설계 시 부하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잘못된 설계와 부하를 고려한 현실적인 설계를 비교하고 있습니다. 잘못된 설계의 경우 부하가 연결되면 출력 전압이 크게 변하지만, 부하를 고려한 설계에서는 출력 전압이 목표치에 근접하게 유지됩니다. 1. 분압기(Voltage Divider) 설계 분압기는 전자 회로에서 매우 중...2025.05.15
-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 실험하기2025.05.091.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KVL, Kirchhoff's Voltage Law)은 다음의 명제를 만족한다. '닫힌 하나의 루프안의 전압(또는 전위차)의 합은 0이다.' 이는 전자기학 전체에 널리 통용되는 옴의 법칙인 V = IR과 관련이 있다.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은 전기회로에서 전하량과 에너지 보존을 다루는 이론식 중 하나이다. 2. 저항 측정 실험에서는 디지털 멀티미터(DMM)을 사용하여 저항을 측정하였다. 저항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요인으로는 DMM 내부의 저항, 접촉 저항, 도선의 저항, ...2025.05.09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려저항 측정회로 설계(예비) A+2025.01.271. 건전지의 내부저항 측정 건전지의 내부저항은 수Ω 정도로 작으며 새 건전지의 경우 0.05Ω의 출력저항을 가진다. 따라서 내부저항은 0에 가까운 아주 작은 값일 것이라 예상한다. 건전지(6 V)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회로와 절차를 설계하여 제출하였다. 10Ω 저항과 Pushbutton을 사용하여 측정에 의한 전력소비가 최소가 되도록 하였다. 10Ω 저항에 0.6A 전류가 흐르고 6V 전압이 걸리므로 10Ω 저항에 소비되는 전력은 3.6W이다. 2. 옴의 법칙과 전류 계산 10Ω의 저항에 1V를 인가하면 전류는 100mA이다. D...2025.01.27
-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 실습 9. LPF와 HPF 설계2025.05.131. LPF(Low-Pass Filter) 설계 본 실험에서는 RC회로를 이용하여 LPF를 설계하고 주파수 응답을 실험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커패시터 전압의 위상을 측정한 결과 lagging 현상이 확인되었고, 이론값과 비교했을 때 오차율은 -7.5%였습니다. 또한 입력과 출력의 크기와 위상차가 타원형의 리사주 패턴을 출력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이 낮아지는 LPF의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2. HPF(High-Pass Filter) 설계 본 실험에서는 RL회로를 이용하여 HPF를 ...2025.05.13
-
전기및디지털회로실험 실험 8. 숫자표시기와 응용 예비보고서2025.05.101. 7 세그먼트 표시기 7세그먼트 표시 장치는 7개의 선분(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와 아래에 사각형 모양으로 두 개의 가로 획과 두 개의 세로 획이 배치되어 있고, 위쪽 사각형의 아래 획과 아래쪽 사각형의 위쪽 획이 합쳐진 모양이다. 7개의 획은 각각 꺼지거나 켜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라비아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LED로 구현된 7세그먼트 표시 장치는 각 획 별로 하나의 핀이 배당되어 각 획을 끄거나 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 공통 캐소드와 공통 캐노드 공통 캐소드는 다이오드의 모든 캐소드들이 공통으로 묶여 있는...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