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9개
-
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2 등전위선 측정 결과 A+2025.01.121. 등전위선 측정 실험 실험을 통해 등전위선의 특성을 관찰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 원형 전극과 막대 전극을 사용하여 등전위선의 모양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도체 표면의 등전위 특성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 요인들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2. 전기장 내 도체의 등전위 특성 전기장 내에 놓인 도체 표면은 등전위를 이루고 있으며, 도체 내부의 임의의 지점 간에는 전위차가 없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도체 내부의 전위가 표면과 등전위를 이룬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2025.01.12
-
한양대 일반물리학실험2 <등전위선과 전기장> A+레포트2025.04.301. 등전위선과 전기장 실험을 통해 막대 전극, 원형 전극, 실린더 모양의 전극과 점 전극의 등전위선 그림을 얻을 수 있었고 대체적으로 전극의 중심 지점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등전위선이 그려졌고 전극에 가까울수록 등전위선의 모양이 더 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극의 모양에 따라 등전위선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극의 표면에서 외부로의 전기장의 방향은 전극의 표면에 대해 수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장의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등전위선은 전극의 표면과 평행하게 그려지게 된다고 할 수 있다. 2. 오차 분석 ...2025.04.30
-
물리학및실험 등전위선 결과 보고서2025.05.031. 등전위선 실험에서는 전극의 모양에 따라 직선-원, 원-원, 직선-직선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등전위선은 검침봉 사이의 전위 차가 0이 되는 지점을 이어 그렸다. 직선-원 전극에서는 원형 전극 주변에 원 모양의 등전위선이, 직선 전극에 가까워질수록 곡률이 낮아지는 등전위선이 그려졌다. 원-원 전극에서는 원형 모양의 등전위선이, 직선-직선 전극에서는 직선 모양의 등전위선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등전위선이 완벽한 모양으로 그려지지 않았는데, 이는 Conductive paper의 구멍과 분필, 전극 고정의 불안정, 멀티미터의 내부 저항 ...2025.05.03
-
쿨롱의 법칙(Coulomb's law)_결과레포트2025.01.131. 쿨롱의 법칙 이번 실험은 쿨롱의 법칙을 확인하고자 평행판 극판을 활용하여 두 전하 사이의 전기적 힘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이론적인 개념을 직접 확인하고 전기적 상호작용의 원리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실생활에서 적용되는 쿨롱의 법칙 사례를 알아보았는데, 천둥번개 발생과정이 쿨롱의 법칙과 연관이 있다는 사실이 흥미로웠다. 2. 전기장 실험 과정에서 7000V로 전압을 올릴 때 스파크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공기중에서 판 사이의 전기장이 절연 파괴 전압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E=V/d의 식에 따르면, 10mm ...2025.01.13
-
[일반물리학및실습] 등전위면 측정 실험 결과 레포트2025.01.211. 등전위면 전위차를 가진 두 전극 사이에는 항상 전기장이 존재하며, 전기장 내에서 전위가 같은 연속분포를 갖는 점들로 이루어진 면을 등전위면이라고 한다. 이번 실험에서는 막대전극과 원형전극의 등전위면을 실험적으로 관찰하고 이해하고자 진행되었다. 2. 전기장 전하량 q의 대전입자가 전기장 내에서 전기력을 받을 때, 그 지점에서의 전기장은 F/q로 정의된다. 전기력선과 마찬가지로 등전위면은 전기장 내에서 무수히 많이 그릴 수 있다. 3. 등전위면의 특성 등전위면을 따라 전하가 이동한다면, 전기장이 전하에 한 일은 0이므로, 그 면에...2025.01.21
-
중앙대 일반물리실험2 등전위선 측정2025.01.111. 등전위선 측정 실험을 통해 등전위선의 특성을 관찰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 전극의 모양에 따라 등전위선의 모양이 달라지며, 도체 표면에서 등전위를 이루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실험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 요인들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2. 전기장 내 도체의 특성 전기장 내에 놓인 도체의 표면은 등전위를 이루며, 도체 내부의 임의의 지점 간에는 전위차가 없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도체 내부의 전위가 표면과 등전위를 이룬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1. 등전위선 측정 등전위선 측정은 전기장 내에서 전...2025.01.11
-
등위전선 보고서2025.01.231. 등전위선 도체 상의 모든 점에서 전위가 같으며, 속이 빈 도체의 내부 공간에서도 등전위를 이루게 된다. 전기장의 방향은 V/cm로 측정한 최대값 방향의 음의 절댓값이 가장 큰 값의 방향이다. 등전위선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전기장의 크기가 증가하며, V/cm 단위와 N/C 단위는 100의 비율로 환산할 수 있다. 2. 실험 결과 분석 실험 결과에서 탄소종이의 중심에서 등전위선의 간격이 가장 좁게 나타났고, 전기장의 크기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막대와 원 사이의 등전위선은 직선에 가까운 모양을 보였는데, 이는 전극 중앙에 위치...2025.01.23
-
전기전자 공작발 실험보고서2025.01.231. 등전위선 실험을 통해 점전하가 존재하면 전위가 같은 등전위선이 형성되고, 등전위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기장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등전위선은 전하를 기준으로 같은 거리에 있는 지점들을 연결한 선으로, 전기장은 등전위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됩니다. 2. 전기장 실험을 통해 등전위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전기장은 시험전하가 느끼는 힘을 시험전하량으로 나눈 물리량으로, 전하로부터 발생하는 장입니다. 전기장은 등전위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됩니다. 3. 전위 실험을 통해 점전하를 기준으로...2025.01.23
-
[A+] 밀리컨 기름방울 실험 (Millikan's Oil Drop Experiment, 결과보고서)2025.05.011. 밀리컨 기름방울 실험 밀리컨의 기름방울 실험은 대전된 기름방울을 균일한 전기장 속에서 운동시켜 관찰된 운동으로부터 기름방울의 전하를 직접 측정하는 실험이다. 실험 결과 대부분의 데이터에서 기름방울의 전하량이 기본전하량의 정수배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데이터에서 정수배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는 실험 환경과 시간 측정의 오차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1. 밀리컨 기름방울 실험 밀리컨 기름방울 실험은 전자의 전하량을 측정하는 중요한 실험이었습니다. 이 실험을 통해 전자의 전하량이 일정하다는 것이 밝혀졌...2025.05.01
-
전자기파에 대해서2025.05.131. 전자기파의 개요 19세기 중반까지 과학자들은 오로지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만을 전자기파로 인식했다. 하지만, James Clerk Maxwell은 빛이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행파동임을 밝혔으며 그의 연구에 자극받은 Heinrich Hertz는 추가적인 연구 끝에 오늘날 라디오파(radio wave)로 불리는 파동을 발견했다. 이후 과학자들은 라디오파 외에도 X선, 감마선과 같은 다양한 파장을 갖는 빛 또한 전자기파의 범주에 들어갔으며 전자기파의 범주에 들어가는 모든 빛은 진공에서 모두 광속 c의 속도로 움직인다는 것을 알게 ...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