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1개
-
낙상 응급재난보고서2025.01.241. 낙상의 정의와 발생현황 낙상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몸을 다치는 것으로 노인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모든 나이에서 발생이 가능하다. 특히 노인 낙상의 발생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심각한 손상을 동반하거나 낙상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에까지 이르게 된다. 낙상은 손상으로 인한 응급실 내원 및 입원의 주요한 원인으로 의료비 부담이 큰 손상이다. 낙상 사망자는 2011년 인구 10만 명당 4.3명에서 2022년 5.3명으로 증가하였으며, 낙상으로 인한 입원환자도 꾸준히 증가하여 2021년 손상 입원환자 중 47.2%를 차지하였다. 2. ...2025.01.24
-
응급 및 재난 사례에 대한 건강력 사정 및 간호과정 보고서2025.01.161. 폐렴 안씨는 19세의 여자로, 2일간 흉통이 왼쪽 부위에 있고, 호흡곤란, 좌위호흡, 간헐적인 병력과 오한 그리고 누런 객담을 내뱉었으며, 어제는 객담의 색이 갈색에 가까웠다. 그리고 오늘 아침에 목이 붓는 것을 경험했는데, 지금은 없다고 한다. 안씨는 어린 시절 폐렴으로 입원한 적이 2번 있다고 한다. 2. 고혈압 안씨의 아버지는 현재 49세로 고혈압을 진단받았다. 관상동맥질환, 천식, 당뇨, 암에 대한 가족력은 없다. 3. 호흡곤란 안씨는 2일간 흉통이 왼쪽 부위에 있고, 호흡곤란, 좌위호흡, 간헐적인 병력과 오한 그리고 ...2025.01.16
-
응급재난간호 뇌전증 발작 환자 사정 및 간호2025.01.031. 뇌전증 발작 환자 사정 뇌전증 발작 환자 사정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작이 시작되면 중지가 힘들므로 자동으로 멈출 때까지 안전하게 보호하며 가만히 두어야 합니다. 팔다리를 억지로 잡거나 주물러 주는 등의 물리적 압박은 하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침이나 바늘로 손을 찌르거나 입안에 헝겊을 넣거나 약물을 투여하는 것도 금지됩니다. 발작 시 시작 시간, 지속 시간, 전조증상, 의식상실, 신체 증상 등을 자세히 관찰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2. 응급환자 사정 응급환자 사정은 1차 평가와 2차 평가로 이루어집니다. 1...2025.01.03
-
응급 및 재난간호 케이스(4개 간호진단, 1개 과정)2025.01.171. 흉부외상(관통상) 흉부외상은 둔상과 관통상으로 나눌 수 있다. 관통상(자상)은 못, 바늘, 철사, 혹은 총알 등으로 살을 찔리거나 뚫고 지나간 상처로 상처 입구가 좁고 깊으므로 소독이 곤란하여 출혈이 많지 않아도 감염의 위험성이 크다. 관통상의 주원인은 자상과 총상이며, 한국에서는 자상으로 인한 관통상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경미한 흉부외상과는 달리 장기의 심한 손상을 받은 흉부외상 시에는 저산소증과 대사성산증을 동반한 조직 관류의 장애가 초래될 수 있다. 중상으로는 흉통, 호흡곤란, 해수, 혈담, 피하기종, 심장압전, 의식장애...2025.01.17
-
응급간호요약, 시험대비요약2025.01.281. 재난의 정의와 유형 재난의 정의는 뜻밖에 일어난 재앙과 고난, 뜻밖의 불행한 일을 의미하며, 재해는 자연재난, 재난은 인적재난을 말한다. 재난의 유형은 피해규모, 발생 과정의 시간적 차이, 발생 지역, 발생 원인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자연재난에는 태풍, 홍수, 지진 등이 있고, 사회재난에는 교통사고, 화재, 화학물 유출 등이 있다. 2. 재난관리체계 재난관리체계는 재난 유형별로 관리 소관부처가 다르지만, 긴급구조와 상황수습은 행정안전부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나라의 재난상황 관리체계는 행정안전부 장관 중심의 중앙재난안전...2025.01.28
-
응급과 재난간호 건강요구도2025.01.171. 자연재난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호우, 태풍, 대설 등 자연재난으로 인하여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연평균(2009~2018) 인명피해(사망/실종)는 19명, 재산피해는 3,628억 원(2018년도 환산 가격기준임)에 달한다. 자연재난 중 가장 빈번히 일어나고 인명 및 재산피해가 큰 것은 풍수해이며, 익수, 호흡기질환, 지진, 파상풍균, 폭염, 한파 등의 건강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응급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2. 사회재난 방사선 재난, 화학사고, 대규모 사고 및 테러사고 등의 사회재난 상황에서는 피부중독, 쇼크, ...2025.01.17
-
사회재난간호학- 사회재난간호 ppt2025.01.201. 재난의 이해 재난의 개념, 사회재난의 정의, 우리나라 사회재난 발생현황, 국가 재난관리체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재난은 원인이나 규모와 상관없이 생활환경이 불리한 방향으로 급작스럽게 변화하거나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로 기존의 질서와 기능이 상실되고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현상입니다. 우리나라의 사회재난 발생현황을 보면 2006년부터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2014년에 최대 16건에 이르렀습니다. 국가재난관리체계는 심의기구인 위원회와 수습기구인 재난안전대책본부, 긴급구조기구인 긴급구조통제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 ...2025.01.20
-
응급재난보고서 낙상 (교수님 극찬 !!)2025.01.121. 낙상 예방 및 관리 낙상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노인에서 발생률이 높으며, 노인 인구 비율이 늘고 의료기술이 발전하여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노인 낙상의 발생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낙상은 환자에게 심각한 신체적 손상뿐 아니라 불안, 우울, 자신감 상실 등을 유발한다. 따라서 낙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를 예방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최선의 예방에도 불구하고 낙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그 손상정도를 최대한 낮추는 것이 중요한 목표이다. 낙상 예방을 위해서는 환자간호 환경에서의 외적 위험요인을 정기적으로 사정하고 위험...2025.01.12
-
A++ 영화[판도라] 재해간호 간호과정(급성통증, 낙상의 위험, 불안) 수행까지 완벽 포함!2025.01.131. 급성통증 다량의 방사능 피폭으로 인해 피를 토하고 전신 통증이 발생한 대상자에 대한 간호과정을 수행하였다. 통증 사정, 진통제 투여, PCA 적용, 비약물적 중재 등을 통해 단기적으로는 통증 점수를 5점 이하로 감소시키고 장기적으로는 퇴원 시 통증 점수를 1점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 낙상의 위험 방사능 피폭으로 인한 대량 대피로 인해 낙상의 위험이 높은 대상자에 대한 간호과정을 수행하였다. 낙상 위험 요인 사정, 낙상 위험 평가, 낙상 예방 중재(고위험군 표시, 침상 난간 및 높이 관리, 자주 사용하는 물...2025.01.13
-
재난 간호와 중증도 분류 보고서2025.01.131. Triage 분류 Triage는 프랑스어로 '선별'을 뜻하며, 재난상황에서 재난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Triage 분류는 제한된 의료인력으로 많은 환자를 구조하고 치료하기 위해 시행되며,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한 환자를 신속히 분류하고 이송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Triage 유형에는 일상 중증도 분류, 사고 중증도 분류, 재난중증도 분류, 군대 중증도 분류, 특수상황 중증도 분류 등이 있습니다. 2. 재난관리 재난관리란 재난의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를 위한 모든 활동을 의미합니다. 재난은 인위재난과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