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한국어 불규칙 활용 (기타의 음운 현상)2025.01.111. 불규칙 활용의 개념 용언에서 어간과 어미가 결합할 때,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가 바뀌는 것을 일컫는다. 일정한 환경에서 규칙적으로 변화가 생기는 것은 '규칙 활용'으로 처리한다. 2. 불규칙 활용의 원리 불규칙 활용은 결합하는 어미에 따라 달라지는데, 한국어의 어미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으' 계열 어미로 나눌 수 있다. 불규칙 활용이 일어나는 환경은 어미의 첫소리가 자음이 아닌 모음의 경우에 한한다. 3. 불규칙 활용의 유형 불규칙 활용의 유형에는 어간의 불규칙('ㅅ', 'ㄷ', 'ㅂ', 'ㄹ')...2025.01.11
-
한국어 음운론: 활음 관련 음운 현상2025.01.211. 활음의 정의 활음은 모음과 비슷하지만 혼자 음절을 이루지 못하고 다른 모음으로 옮겨가는 중간적 성질을 가진 소리이다. 활음에는 [j] 계열과 [w] 계열이 있다. 2. 활음의 종류 [j] 계열 활음에는 ㅑ, ㅒ, ㅕ, ㅖ, ㅛ, ㅠ 등이 있고, [w] 계열 활음에는 ㅘ, ㅙ, ㅝ, ㅞ, ㅟ 등이 있다. 활음은 모음과 결합하여 이중모음을 형성한다. 3. 활음화 활음화는 각각의 모음이 겹쳐져 [j] 또는 [w] 활음이 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비어'가 '벼'가 되거나 '보아'가 '봐'가 되는 것이 활음화의 예이다. 4. 활음 ...2025.01.21
-
한국어음운론_한국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일상언어에서 활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2025.01.191. 한국어의 활음화 활음은 반모음, 반자음, 과도음 등으로 지칭되며, 자음, 모음과 같은 분절음의 하나이다. 이러한 활음은 자음과 같이 공기 흐름에 장애를 많이 받는 소리가 아니라는 점에서 모음과 같이 홀로 음절을 이룰 수 없다. 즉, 활음은 자음도 아니면서 모음도 아닌 성격을 지닌다. 이에 한국어의 활음은 모음과 관련된 분절음으로 인식되어 이중 모음의 한 성분으로 이해된다. 2. 한국어의 활음의 종류와 예 j의 특징은 '요드'라고 부르며, 'j'대신 'y'를 사용해서 [와이]라 부르기도 한다. 또한, 'y'를 사용하게 되면 평순...2025.01.19
-
음운첨가와 음운축약, 자음군 단순화에 대한 설명2025.01.151. 음운첨가 음운첨가는 원래 단어에 존재하지 않는 음운이 첨가되어 발음되는 현상으로, 주로 발음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무릎'과 '을'이 결합할 때 '무를'로 발음되며, 이는 발음의 편의성을 위해 'ㄹ'이 첨가된 것이다. 음운첨가는 'ㄹ', 'ㄴ', 'ㅅ'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단어의 형태와 문맥에 따라 다르게 발생한다. 2. 음운축약 음운축약은 두 음운이 결합하여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으로, 발음을 간결하게 하고 시간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일어난다. 예를 들어 '가다'와 '아서'가 결합할 ...2025.01.15
-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일상 언어에서 활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2025.01.181. 활음 한국어의 활음은 언어의 특이한 특성 중 하나로 반모음이나 반자음과 같은 중간적인 소리로 분류된다. 자음과 같이 공기 흐름에 대한 장애가 적으면서 모음과 같이 홀로 음절을 이룰 수 없는 애매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음이나 모음 같은 전형적인 음운 분류에 속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모음과 관련된 분절음으로 인식하며 이중 모음의 한 성분으로 이해하고 있다. 2. 활음화 활음화는 단 모음이 성절성을 잃고 활음으로 바뀌는 음운과정을 일컫는 것으로 'j'활음화와 'w'활음화가 있다. 'j'활음화는 용언 어간 말음이 'ㅣ'인 경...2025.01.18
-
활음과 관련된 한국어 음운 현상2025.01.211. 활음화와 관련된 표준 발음 규정 한국어에서 활음은 크게 'y', 'w', 'j' 세 종류로 구분되며, 이를 활용해 총 10개의 이중모음이 만들어진다. 표준 발음 규정에 따르면 모음의 장단을 구별하여 발음하되, 단어의 첫 음절에서만 긴 소리가 나타나는 것이 원칙이다. 또한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도 긴 소리로 발음한다. 그리고 일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된다. 2. 'y' 활음화 'y' 활음화는 어간이 다음절이면 반드시 일어나는...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