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받침 제외) 발음과 관련된 오류 예시와 교육 방안2025.05.131. 한국어 자음 발음 관련 오류의 예 한국어 자음은 소리를 내는 자리와 소리를 내는 방법 및 힘에 따라 발음이 달라진다. 학습자가 자음 분화 조건을 지켜서 발음하지 못할 경우 잘못된 발음이 되고 오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긴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자음 발음 오류는 자음 분화 조건 가운데서 다른 조건은 같고 한 가지 조건이 다른 경우인 공통점이 많은 자음 사이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바다'를 [바라]와 같이 혀를 굴려서 발음하는 오류, '시다'를 [지다]와 같이 혓바닥을 입천장에 붙여 발음한 오류, '비다'와 '삐...2025.05.13
-
제4주 2차시 수업에서 다룬 교재의 분석과 평가 기준에 대해 정리하고, 현재 출판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한 권 선택하여 분석해 보세요2025.01.141. 교재 분석 기준 교재 분석의 기준으로는 교재 연구의 절차, 항목, 요소, 교수-학습자 상황, 교재 구성물, 교재의 내용 등이 있다. 교재의 내용 분석에 비중을 두어 학습지도의 절차와 내용을 기준으로 분석하기도 한다. 2. 교재 평가 기준 교재 평가의 기준으로는 교육과정에의 적합성, 구성의 적절성, 교수의 적합성, 언어적 적합성, 교수-학습 활동 유형, 실용성 등이 있다. 3. 다문화가정과 함께하는 즐거운 한국어 초급 교재 분석 이 교재는 2017년 다문화가정 교재 개발 사업의 결과물로,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이 한국문화를 이해하고...2025.01.14
-
세종한국어3의 14단원 듣기 전 활동 개발2025.01.021. 세종한국어3 14단원 듣기 전 활동 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 페이지의 1,2,3번 듣기 전 활동을 개발했습니다. 이 활동들은 학생들의 언어 능력 향상과 더 효과적인 듣기 활동 수행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첫 번째 활동은 핵심 어휘를 미리 익히고 문장을 만드는 것이며, 두 번째 활동은 대화 내용을 예측하는 것, 세 번째 활동은 문장을 완성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활동들은 학생들의 언어 능력 향상과 학습 동기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세종한국어3 14단원 듣기 전 활동 ...2025.01.02
-
한국어교원 레포트 _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2025.01.111. '-느라고'의 의미· 형태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 및 활동 교수방법 '-느라고'는 앞 절의 사태가 뒤에 이어지는 절의 사태에 의도 및 목적, 원인 혹은 이유가 됨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이다. 즉, 이는 선행절에서의 시간 및 노력이 후행절의 행위 혹은 상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나타낸다. '-느라'와 '-고'를 결합하여 형성된 연결어미로서, 동작동사 가운데 시간을 필요로 하는 동사와만 붙여서 쓰인다. '-느라고'는 후행절에 명령형이나 청유형이 오는 경우 사용되지 않는다. 더불어 시상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와는 결합하지 않는다는 특징...2025.01.11
-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자모의 제시 순서와 의도2025.05.071. 한국어 발음 교육 한국어는 한국인의 음성적 의사소통의 도구이며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문자로 1443년 조선 세종 25년에 창제되었다. 한글은 모든 계층이 쉽게 읽고 쓸 수 있도록 소리를 내는 원리와 자연의 형태를 이용하여 기본 글자를 만들었기 때문에 우수한 문자로 평가받는다.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기존 이론이나 교재에서의 자모 제시 순서를 살펴보고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을 중심으로 습득하기 쉬운 순서로 자모를 제시하는 것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효율적인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2. 자모 제시 순서 모음은 성절성이...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