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개
-
결혼과 가족 - 자신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유형과 그 이유2025.01.061. 사랑의 유형 사랑의 유형에는 에로스(낭만적 사랑, 열정적 사랑), 루두스(유희적 사랑), 스토르게(동료적 사랑), 프래그마(논리적 사랑), 마니아(소유적 사랑), 아가페(이타적 사랑) 등이 있다. 각각의 유형은 개인의 어린 시절 경험과 사회적 경험에 따라 선호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2. 가장 바람직한 사람의 유형 저자는 아가페(이타적 사랑)와 스토르게(동료적 사랑)를 가장 바람직한 사랑의 유형으로 꼽았다. 사랑에는 희생적인 면모와 지속적인 유대감이 필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사랑의 유형이 더 바람직한지는 개인의 ...2025.01.06
-
플라톤 향연: 사랑에 대한 철학적 탐구2025.01.021. 에로스(사랑)의 개념과 본질 향연에서는 다양한 인물들이 에로스(사랑)의 본질과 기원, 기능 등에 대해 각자의 견해를 피력한다. 파이드로스는 에로스를 명예심과 용기의 덕을 고취하는 힘으로 여겼고, 파우사니아스는 육체의 쾌락이 아닌 혼의 덕을 함양하는 에로스를 찬양했다. 에뤽시마코스는 에로스를 우주적 원리로 설명했으며, 아리스토파네스와 아가톤은 에로스를 인간의 상실한 본성을 치유하는 것으로 보았다. 소크라테스는 에로스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욕망으로 정의하며, 이를 통해 불사를 얻는 방법이라고 밝혔다. 2. 동성애와 에라스테스-파이...2025.01.02
-
철학의 이해(기말) - 플라톤 '향연' 감상문2025.01.241. 에로스(사랑)에 대한 다양한 관점 이 책은 기원전 416년경 비극 경연에서 처음 우승한 아가톤의 집에 있었던 향연의 참석자가 나누었던 '사랑(에로스)'에 대한 여러 관점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파이드로스, 파우사니아스, 에뤽시마코스, 아리스토파네스, 아가톤 그리고 소크라테스가 순서대로 에로스를 찬양하는 연설을 하며, 각자의 관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에로스의 좋은 점을 이야기합니다. 이를 통해 사랑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2. 아리스토파네스의 인간 기원 설화 아리스토파네스는 원래 인간은 현재 인간...2025.01.24
-
플라톤의 '향연' 철학적 고찰2025.01.251. 에로스(사랑)의 개념 플라톤의 '향연'에서 에로스는 단순한 육체적 사랑이나 성적 욕망을 넘어서, 아름답고 훌륭한 인간의 행동과 관습 등을 포함하는 더 넓은 의미로 다루어진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에로스, 즉 아름다움을 사랑하는 것에서 그 진의를 탐구하였으며, 이는 현대적 의미의 사랑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2. 사랑의 다양한 형태 향연에서는 이성에 대한 사랑 외에도 동성애에 대한 사랑에 대한 관점이 나타나 있다. 아르스토파네스는 인간이 본디 남성, 여성, 남녀가 결합된 성, 이렇게 3종류가 있었다고 말하며, 서로 부족한 점을 채...2025.01.25
-
플라톤의 향연: 에로스와 인간의 완성2025.01.261. 에로스의 개념 향연에서 등장인물들은 에로스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한다. 파이드로스는 에로스를 가장 오래되고 존경받을 만한 존재로 칭송하며, 파우사니아스는 에로스를 육체적 욕망과 정신적 사랑으로 구분한다. 에뤽시마코스는 에로스를 세상 만물을 유지하고 조화롭게 하는 원리로 보았다. 아리스토파네스는 에로스를 잃어버린 반쪽을 찾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으로 설명했다. 2. 소크라테스의 에로스 관점 소크라테스는 에로스가 아름다움 자체가 아니라 아름다움을 갈망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에로스에는 여섯 단계가 있는데, 육체적 아름다움에...2025.01.26
-
플라톤 '향연'을 읽고2025.01.251. 에로스(사랑)의 본질 향연에서 등장인물들은 에로스(사랑)의 본질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한다. 파이드로스는 에로스가 가장 오래된 신이자 최고의 선을 가져다주는 존재라고 말하고, 파우사니아스는 천상의 에로스와 범속의 에로스를 구분한다. 에뤽시마코스는 에로스가 모든 것에 내재해 있다고 주장하며, 아리스토파네스는 인간의 원초적 형태와 에로스의 관계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소크라테스는 에로스가 신과 인간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자이자, 불멸을 추구하는 존재라고 말한다. 이를 통해 에로스의 다양한 측면과 그 본질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2025.01.25
-
사랑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탐구2025.01.251. 사랑의 정의 플라톤의 '향연'에서 7명의 철학자들이 사랑을 뜻하는 에로스에 대해 각자의 견해를 펼치고 있다. 파이드로스는 에로스가 용기와 덕을 고취하는 힘이 있다고 말하고, 파우사니아스는 육체적 욕망을 목표로 하는 범속의 에로스와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천상의 에로스를 구분한다. 에뤽시마코스는 에로스가 세상만사에 영향을 주는 능력이 있다고 말하며, 아리스토파네스는 인간이 본래 남성과 여성 외에 세 번째 성이 있었는데 이들이 둥글게 만들어져 있다가 제우스에 의해 반으로 갈라졌기 때문에 인간은 평생 자신의 반쪽을 찾아 ...2025.01.25
-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이 생각한 사랑의 의미와 현대적 관점2025.01.251.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사랑관 플라톤의 저서 '향연'에서 파이드로스, 파우사니아스, 에뤽시마코스, 아리스토파네스, 아가톤, 소크라테스 등 다양한 철학자들이 에로스와 사랑에 대해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였다. 이들은 사랑을 완전성, 아름다움, 가치 실현 등의 관점에서 바라보았으며, 사랑을 통해 영원성과 불멸성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2. 현대적 관점에서의 사랑관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사랑관과 비교하여, 현대에는 자기중심적이고 소유욕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서로를 좋아하고 헌신하는 태도가 더 이상적인 사랑으로 여겨진다. 스턴버그의 '사랑...2025.01.25
-
플라톤의 '향연'에 대한 내용 요약 및 감상2025.01.251. 플라톤의 '향연' 이 작품은 아가톤의 비극 경연대회 우승을 축하하기 위해 모인 참석자들의 대화를 담고 있습니다. 아폴로도로스가 전해 듣고 전달하는 이야기 속 이야기 구성을 통해 향연장 모습을 직접 묘사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플라톤이 자신이 직접 경험한 것이 아니라 전해 들은 이야기를 바탕으로 작품을 구성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또한 이데아론을 주장한 플라톤이 이데아에 대한 내용을 소크라테스의 말을 통해 전달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이며, 극적인 구성과 마무리를 위해 액자 구성을 선택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전반적으로 플라톤의 ...2025.01.25
-
플라톤의 '향연'에 나타난 에로스의 의미2025.01.261. 플라톤의 '향연' 플라톤의 '향연'은 잔치에 참석한 사람들이 사랑의 신 에로스에 대해 토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등장인물들은 에로스의 다양한 측면을 논하는데, 그 중에서도 소크라테스의 견해가 가장 중요하다. 소크라테스는 에로스를 '좋은 것'이 아닌 '좋음'을 영구적으로 소유하고 싶어하는 욕구라고 정의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육체적이고 정욕적인 사랑과는 거리가 멀다. 소크라테스는 정신적 출산을 통해 좋음이 무엇인지 깨달을 수 있다고 말한다. 2. 에로스의 의미 플라톤의 '향연'에서 에로스는 단순한 육체적 사랑이 아니라 ...2025.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