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5개
-
지역사회간호학 산업보건관련 이슈 문제점, 대안 및 해결방안2025.05.081. 도시가스 배관 작업 중 산소결핍으로 질식사고 2022년 6월 7일 경기도 OO시 소재 OOO 현장에서, OOO 소속 재해자가 굴착 내부에서 도시가스 배관 작업 중 배관 내 불활성기체가 굴착 내부로 역류 및 체류되어 재해자가 산소결핍으로 쓰러진 뒤, 의식불명 후 사망한 사고이다. 재해자를 구출하러 굴착에 들어간 동료 2명 또한 차례로 쓰러지면서 총 사망 1명, 부상 2명 발생하였다. 문제점으로는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수립 · 시행 미실시 및 특별안전교육 미실시, 산소 · 유해가스 농도 미측정, 환기 미실시, 감시인 미배치, 대...2025.05.08
-
안전교육 엘리베이터 사고와 대처 방법2025.04.271. 국내 엘리베이터 설치 현황 국내 엘리베이터 설치 대수는 2022년 기준 80만대를 돌파했으며, 엘리베이터 설치 112년 만에 세계 7위를 달성했다. 이는 한국이 엘리베이터 강국으로 자리잡았음을 보여준다. 2. 국내 엘리베이터 사고 현황 최근 5년간 전체 승강기 안전사고 분석 결과, 사고 원인 중 47.2%가 이용자 과실로 발생했다. 이에 따라 안전문화 정착 및 안전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3. 엘리베이터 문에 기대어 추락한 사고 엘리베이터 문을 흔들거나 기대는 등 준수사항을 지키지 않아 발생한 사고로, 승강기 사고를 일...2025.04.27
-
사회복지사의 열악한 업무환경과 안전 대책2025.11.141. 사회복지사 직장 폭력 및 안전 위협 사회복지사는 상담 중 클라이언트로부터 폭력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2019년 한국 사건에서 상담센터의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가 휘두른 칼에 찔려 중태에 빠진 사례가 있습니다. 이는 사회복지사들이 업무 수행 중 신체적 위험에 직면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상담센터와 사회복지기관에서 충분한 안전 대책이 부족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위험 상황 대비책, 대응 절차, 보호장비 등의 강화가 필요합니다. 2. 사회복지기관의 안전 시스템 구축 사회복지기관과 상담센터는 사회복지사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체계...2025.11.14
-
각 위험물의 분류에 따른 저장 및 취급 대책2025.01.121. 제1류 위험물 (산화성 고체) 제1류 위험물은 대부분 무색의 결정 또는 백색의 분말이며, 일반적으로 불연성물질이다. 가열 등에 의하여 분해하여 함유하고 있는 산소를 발생하며, 가연물, 유기물, 그 밖의 산화되기 쉬운 물질과의 혼합물은 가열, 충격, 마찰 등에 의하여 폭발할 위험성이 있다. 저장 및 취급 시 가열, 충격, 마찰을 피하고 화기와의 이격, 분해를 일으키는 물질과의 접촉 회피, 통풍이 양호한 곳에 저장하며 용기를 밀봉해야 한다. 소화 시 알칼리 금속 등의 과산화물은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므로 건조사로 질식 소화하고, 분...2025.01.12
-
휴먼에러 정리2025.05.081. Human Error 분류 과실, 위반, 착오 등 인적 실수의 유형별 분류와 원인별 분류, 모드별 분류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과실은 부주의로 의도와 다른 행동을 하는 것이고, 위반은 시간 단축이나 편의를 위해 절차를 생략하는 것입니다. 착오는 상황 해석이나 목표 이해를 잘못하거나 착각하는 것입니다. 2. Three Mile Island 원전사고 분석 Three Mile Island 원전사고에서 발생한 다양한 인적 오류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과실, 비의도적 오류, 지발 오류, 착오, 예외적 위반, 숙련기반 오류, 지식기반 오...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