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심방중격결손(ASD)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2025.05.031. 심방중격결손(ASD) 심방중격결손(atrial septal defect, ASD)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중간 벽(심방중격)에 한 개 혹은 여러 개의 구멍이 있는 비교적 흔한 선천성 심장 질환 중의 하나입니다. 구멍의 크기가 작거나 중간 크기일 때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아동이 성장한 이후 발견될 수 있습니다. 아동은 놀 때 쉽게 지치고, 땀을 많이 흘리며, 호흡곤란, 잦은 호흡기 감염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치료는 구멍이 작고 증상이 없을 경우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구멍이 커지거나 우심실이 비대해지는 등...2025.05.03
-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심방중격결손(ASD)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2025.01.041. 심방중격결손(ASD) 심방중격결손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벽(심방중격)에 구멍이 있는 선천성 심장병입니다. 태아기에는 정상적으로 난원공 부위에서 좌우 심방 사이가 열려있지만, ASD는 그 난원공이 닫히지 않고 우심방과 좌심방사이의 벽(심방 중격)의 결손(구멍)을 통해서 혈류가 새는 기형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폐순환을 지나서 좌심방으로 돌아온 동맥혈의 일부가 심방 중격 결손을 통해서 우심방으로 유입되고, 우심실을 거쳐서 다시 폐순환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우심방과 우심실의 부담이 커지게 되며 폐혈류량이 증가합니다. 결손 부위가 ...2025.01.04
-
성인간호학 심방중격결손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A+2025.01.131. 심방 중격 결손(Atrial septal defect) 심방 중격 결손은 우심방과 심방 중격 결손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벽(심방 중격)의 결손('구멍')을 통해 혈류가 새는 기형을 의미한다. 동맥혈은 폐순환을 지나서 좌심방으로 돌아오는데, 그중 일부가 심방 중격 결손을 통해 우심방으로 유입되고 우심실을 거쳐서 다시 폐순환으로 들어간다. 그 결과 우심방과 우심실의 부담이 커지며 폐혈류량이 증가한다. 결손 부위가 크고, 나이가 많아질 때까지 결손을 수술하지 않으면 폐동맥 압력이 높아지는 폐동맥 고혈압이 생길 수 있다. 심하면 ...2025.01.13
-
신생아 심혈관계 질환2025.05.051. ASD (심방중격결손) 심방중격결손은 두 심방 사이에 비정상적인 개구가 있는 것으로, 산화된 혈액이 우심으로 흐르게 되어 우심방과 우심실이 비대해지게 됩니다. 하지만 단순 ASD의 경우 심부전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증상으로는 무증상, 울혈심부전, 폐혈류 증가로 인한 폐색성 폐혈관질환, 색전 형성 위험 등이 있으며, 치료로는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가 있습니다. 2. VSD (심실중격결손) 심실중격결손은 우심실과 좌심실 사이에 비정상적인 개구가 있는 것으로, 좌심실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결손부위를 통해 폐동맥으로 혈액이 유입...2025.05.05
-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케이스 스터디) _ 설사, 난원공 개존증, 동맥관 개존증, 심방중격결손2025.05.131. 설사 설사는 변이 무르거나 물기가 많은 상태로 배설되는 것이다. 그러나 대변의 무른 정도는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워 보통 배변 횟수나 대변 무게로 설사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배변 횟수가 하루 3회 이상이거나 대변 무게가 200g 이상인 경우를 설사로 정의하고 있다. 설사는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음식, 약물, 의학적 상태에서의 치료, 면역결핍, 스트레스 시에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 경증 설사의 경우 대변의 횟수가 약간 증가하고 액체가 좀 더 있는 농도의 대변을 보며 중증도 설사의 경우 아동이 여러차례 묽거나 물이 섞...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