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승모판막폐쇄부전증 질병보고서 및 수술과정2025.01.171. 승모판막폐쇄부전증(mitral regurgitation) 승모판막의 이상으로 인해 수축 시 판막이 잘 닫히지 않아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 혈액이 역류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다양한 선천성, 후천적 원인으로 인해 승모판막에 손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승모판막이 심실 수축기에 완전 폐쇄가 안 되어 혈액이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 역류한다. 이러한 현상은 심장의 효율성을 감소시키고 심박출량을 줄인다. 2. 수술 과정 환자의 승모판막폐쇄부전증과 삼첨판막폐쇄부전증, 심방중격결손을 치료하기 위해 승모판막치환술, 삼첨판륜성형술, 심방중격결손 ...2025.01.17
-
ASD (심방 중격 결손) 간호 관리2025.01.041. ASD (심방 중격 결손) ASD(심방 중격 결손)은 심방 사이의 중격 형성 과정에서 결손이 발생하여 좌심방에서 우심방으로 혈액이 흐르는 선천성 심장병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염색체 이상 등이 있습니다. 병태생리적으로는 심방 간 구멍을 통해 좌심방에서 우심방으로 혈액이 흐르고, 우심방과 우심실을 거쳐 폐로 가는 혈류가 증가하며, 폐를 거쳐 좌심방으로 들어온 혈액 일부가 다시 결손을 통해 우심방으로 새어나가게 됩니다. 이에 따라 심장과 폐에 부담이 증가하게 됩니다. ASD는 이차공 결손, 일차공 결손...2025.01.04
-
NICU 난원공개존증 간호과정2025.05.071. 난원공개존증 (PFO, Patent foramen ovale) 난원공 개존증은 태아 때 우심방과 좌심방을 구분하는 중격에 구멍이 뚫려있는 상태가 출생 후에도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드물게 뇌졸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진단은 심초음파로 가능하며, 작은 경우 일상생활에 문제가 없지만 크기가 크거나 뇌졸중의 원인이 된 경우 시술이나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2. 심방중격결손 (ASD, atrial septal defect) 심방 사이에 비정상적인 개구부가 있어 압력이 높은 좌심에서 압력이 낮은 우심으로 혈류가 ...2025.05.07
-
신생아일과성빈호흡 A+ 케이스 자료(비효과적호흡양상, 불안(산모대상))2025.05.011.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은 출생 직후 나타나는 일시적인 빈호흡 증상으로,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출생 시 폐액의 제거 및 흡수가 지연되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증상은 빈호흡, 경증의 흉골함몰, 경한 청색증 등이며, 대부분 24-72시간 내에 호전됩니다. 치료는 산소 공급, 호흡 모니터링 등이 이루어지며, 대부분 양성 경과를 보입니다. 2. 비효과적 호흡양상 이 신생아의 경우 분만 직후 불규칙한 호흡양상, 흉벽 함몰, Sp...2025.05.01
-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심방중격결손(ASD)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2025.01.041. 심방중격결손(ASD) 심방중격결손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벽(심방중격)에 구멍이 있는 선천성 심장병입니다. 태아기에는 정상적으로 난원공 부위에서 좌우 심방 사이가 열려있지만, ASD는 그 난원공이 닫히지 않고 우심방과 좌심방사이의 벽(심방 중격)의 결손(구멍)을 통해서 혈류가 새는 기형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폐순환을 지나서 좌심방으로 돌아온 동맥혈의 일부가 심방 중격 결손을 통해서 우심방으로 유입되고, 우심실을 거쳐서 다시 폐순환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우심방과 우심실의 부담이 커지게 되며 폐혈류량이 증가합니다. 결손 부위가 ...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