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6개
-
시조의 시기별 전개2025.01.281. 고려 말 회고가 고려왕조를 회고하는 회고가는 길재를 비롯하여 이존오와 원천석, 이색, 이조년 등이 지었는데, 고려 멸망 후 고려 왕조의 지난날을 되새기면서 지은 작품입니다. 원천석은 고려의 멸망을 바라보면서 한시를 지었고, 길재는 고려를 회고하면서 회고가를 남겼습니다. 2. 조선 초창기의 시조 고려 말 조선 초에 사대부들은 관념적 유교이념을 형상화하는 시조들을 주로 지었습니다. 여말선초에는 고려 왕조에 대한 회고가와 절의가를 통해 자신들의 감흥을 표현하였는데, 사대부 시조는 조선에 대한 절의를 표현하는 작품들이 많았습니다. 3...2025.01.28
-
3장 6구의 시조2025.05.011. 시조 시조는 3장 6구로 되어 있는 정형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조의 각 구는 2소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평시조는 모두 12소절로 되어 있습니다. 한국문인협회에서는 시조 분과에서 현대시조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평시조는 모두 12소절이며, 연시조는 여러 수의 시조로 구성됩니다. 양장시조는 초장과 종장으로만 이루어진 2장 시조이며, 장시조는 3장으로 이루어진 시조입니다. 대표적인 현대시조 작가로는 김영남과 서숙희가 있습니다. 2. 평시조 평시조는 3장 6구 12소절로 이루어진 정형시입니다. 단시조 또는 단수 시조라고도 하며...2025.05.01
-
시조의 분류2025.05.011. 시조의 분류 시조는 길이에 따라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시대별로는 갑오개혁을 기준으로 고시조와 현대시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조선전기에는 평시조가 많이 나왔고, 조선후기에는 사설시조가 많이 나왔습니다. 사설시조는 길이가 긴 장시조이며, 작가가 알려지지 않은 작품이 많고 조선후기의 사회적 모순과 양반사회의 허상을 비판하는 내용이 많습니다. 시조의 기본 형식은 3장 6구이며, 조선초기까지는 정형시적 특징을 잘 지켰지만 임진왜란 이후 다양한 형식이 등장했습니다. 현대시조는 장별 배열이 아닌 구별 배열의 ...2025.05.01
-
조선시대 속에서의 한글의 특징2025.05.091. 평시조의 특징 평시조는 3장 6구, 4음보, 45자 내외의 정형화된 형식이다. 주된 향유 계층은 양반 사대부와 기생이며, 유교적 이념, 자연 친화, 남녀간 사랑을 주제로 쓰여졌다. 2. 사설시조의 특징 사설시조는 평시조에서 중장이 10글자 이상으로 늘어난 형식이다. 주된 향유 계층은 서민과 몰락한 양반이며, 남녀 간 사랑, 삶의 고달픔, 양반에 대한 비판과 풍자를 주제로 쓰여졌다. 3. 사설시조의 발달 배경 사설시조는 평시조보다 자유로운 형태이며, 한자를 사용하던 평시조와 달리 한글을 사용하여 시조의 진입장벽을 낮췄다. 또한 ...2025.05.09
-
동국통감 삼국기2025.05.101. 신라 시조 혁거세왕 동국통감 삼국기에서는 신라의 시조인 혁거세왕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혁거세왕은 하늘에서 내려온 백마가 낳은 알에서 출생했다고 전해지며, 그의 성은 박씨로 지어졌습니다. 혁거세왕이 태어날 때 짐승들이 몰려와 노래하며 춤추었고, 하늘과 땅이 울렁이며 태양과 달의 빛이 더욱 밝아졌다고 합니다. 2.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 동국통감 삼국기에서는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성왕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동명성왕은 졸본 부여에 도읍을 정하고 고구려라는 국호를 사용했으며, 토착세력인 송양을 제압하고 말갈을 복속시켰습니다. ...2025.05.10
-
조선후기에 편찬된 가집2025.05.111. 조선후기 가집 편찬 조선후기에는 가집의 편찬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대표적인 시조집인 청구영언을 비롯하여 해동가요, 고금가곡, 남훈태평가, 여창가요록, 가곡원류, 정선조선가곡 등이 편찬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가장 많이 구전된 시조는 '태산이 높다 하지만'이었으며, 이 작품은 여러 가집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2. 여창가요록 여창가요록은 편자와 편찬 연대가 미상인 가집으로, 총 182수의 작품이 순국문으로 쓰여져 있습니다. 이 가집은 가곡원류의 이본인지 아닌지 논란이 많은데, 가곡원류에서 여창만 떨어져 나와 따로 유통됨으로써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