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8개
-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마지막 대화 - 플라톤의 '파이돈'2025.01.241. 영혼 불멸 소크라테스는 죽음이 영혼이 육체로부터 해방되는 일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는 육체와 결부된 감각지각 때문에 인간은 참된 지혜와 진리를 추구할 수 없으며, 영혼이 육체의 영향을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만 순수한 사고와 추론에 의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에 대해 심미아스와 케베스는 영혼불멸에 대한 논증과 해명을 지적하며 반론을 제기합니다. 2. 사후 세계 소크라테스는 우리가 사는 지구는 원형인 지구의 우묵한 부분이며, 하늘을 넘어 올라가야 참된 지구의 위에 설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참된 지구는 올바른 삶을...2025.01.24
-
소크라테스와 에우튀프론의 대화: 경건과 불경건에 대한 탐구2025.01.261. 소크라테스의 공소 소크라테스는 젊은이들을 타락시켰다는 이유로 멜레토스에 의해 공소를 당했다. 멜레토스는 소크라테스가 새로운 신들을 만들고 옛 신들을 믿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2. 에우튀프론의 아버지에 대한 고소 에우튀프론은 자신의 아버지에 의해 살인죄로 고소를 당한 상태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에우튀프론의 품꾼이 다른 노예를 죽였고, 아버지가 그를 묶어 놓고 종교문제해석관을 부르러 간 사이 추위와 굶주림으로 그가 죽어버린 것이었다. 3. 경건과 불경건에 대한 대화 소크라테스는 에우튀프론에게 경건한 것과 불경건한 것이 무엇인지 물...2025.01.26
-
세종대 서양철학 고전읽기 점검문제 12025.05.081. 연설술 고르기아스는 연설술이 말에 관계하지만 모든 말에 관계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연설술은 다른 기술과 달리 수작업과 같은 활동이 없고 오직 말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고 정의한다. 고르기아스는 연설술이 사람들을 자유롭게 하고 나라를 다스릴 수 있게 해주는 능력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소크라테스는 연설술을 배운 사람은 정의로움과 그렇지 못함이 무엇인지 알고 있어야 하므로 불의를 행할 수 없다고 반박한다. 2. 불의와 행복 폴로스는 불의를 저지르고도 대가와 처벌이 없다면 행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불의를 행...2025.05.08
-
서양 교육이념(교육철학)이 우리에게 미친 영향2025.01.141. 소크라테스의 교육 방법 소크라테스는 자신도 무지한 자라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이 점에서 그의 인간적 위대성이 근거한다. 소크라테스적 교육은 서양의 정신사에 있어서 처음으로 인간을 자기 혼자로 풀어놓았으며, 자기 삶을 자기 책임적으로 형성시키라고 하였다. 그의 '산파술'은 정교한 질문을 통해 학습자 안에 생산적 사고와 창조적 고안을 '낳는 것'이다. 이는 교육 현장에서 좋은 수업의 기준으로 삼는 '질문이 있는 수업'과 일맥상통한다. 2. 루소의 교육 사상 루소의 교육 사상은 근대 교육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사상에 크게 ...2025.01.14
-
플라톤과 소크라테스의 정의2025.05.161. 소크라테스의 정의 개념 소크라테스는 '미덕과 지식'을 강조했으며, 사람들이 자신의 미덕과 행동에 대해 고민하도록 유도하여 미덕적인 삶을 추구하도록 만들었다. 그는 정의에 대한 정확한 내용의 주장을 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그 개념을 탐구하려 노력했다. 2. 플라톤의 정의 개념 플라톤은 정의를 개인적인 것과 국가적(공동체적) 정의로 구분했다. 개인적인 정의는 자신의 역할과 책임에 충실하며 자신의 내부적인 조화를 바탕으로 스스로 절제하며 양심적으로 올바른 행동을 취하는 것을 의미했다. 국가적 정의는 각 개인이 자신의 역할을 ...2025.05.16
-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와 니체의 너 자신이 되어라2025.05.041.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는 자신의 능력과 사명을 인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자신의 어리석음을 감추지 않았고, 자신의 '무지'를 알고 있었다. 소크라테스는 의식적으로 비판적 성찰을 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이는 성찰하지 않고 함부로 받아들인 의견에 대한 마음의 해방이었다. '너 자신을 알라'를 통해 자신을 변화시켰다. 2. 니체의 '너 자신이 되어라' 니체의 '너 자신이 되어라'는 개인이 자아 수양을 통해 생명의 가능성과 생산성을 충분히 파악하고, 자기부정, 창조와 긍정을 통해 생명력의 ...2025.05.04
-
플라톤의 '에우튀프론'에 대한 내용 요약 및 감상2025.01.251. 플라톤의 '에우튀프론' 『에우튀프론』은 에우튀프론의 아버지가 품꾼이 집안의 노예를 죽인 것을 알고 품꾼을 가둬두었다가 종교적 해석이 도착하기 전에 죽은 것을 두고 아버지가 살인죄를 저지른 것이라며 아버지를 고발하게 된다. 소크라테스와 에우튀프론의 대화를 통해 경건함과 정의로움의 차이를 탐구한다. 에우튀프론은 잘못된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소크라테스는 그의 무지를 깨닫게 하려 노력한다. 1. 플라톤의 '에우튀프론' 플라톤의 '에우튀프론'은 정의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다루는 대화편이다. 이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는 에우튀프론과의 대...2025.01.25
-
소크라테스의 신념 체계와 삶의 방식: 철학적 인간의 탄생2025.04.271. 소크라테스의 아테나 시민 비판 소크라테스는 아테나 시민들이 재물, 명성, 명예를 추구하는 데에는 관심을 쏟지만 슬기와 진리, 자신의 혼이 훌륭해지도록 하는 데에는 관심이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는 이들이 사회 구성원으로 남아있으면서도 전인격적 학문을 이루기 위해 힘쓰기를 바랐습니다. 또한 당대 아테나가 재물에 대한 탐욕으로 전쟁을 벌였으며 이를 바람직하게 여기는 정체성을 형성했다는 점을 우려했습니다. 2. 소크라테스의 탁월함 습득 방법 소크라테스는 단순히 지식을 채우고 이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앎과 모름을 인정하고 구분할 필...2025.04.27
-
경건함과 불경건함에 대한 소크라테스와 에우튀프론의 대화2025.01.261. 경건함의 정의 소크라테스는 에우튀프론과의 대화를 통해 경건함의 정의를 찾고자 한다. 에우튀프론은 처음에는 자신만만하게 대답하지만, 소크라테스의 질문에 점점 어려움을 겪게 된다. 결국 에우튀프론은 경건함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리지 못한 채 대화를 중단한다. 2. 신들의 사랑과 경건함의 관계 소크라테스는 에우튀프론이 주장한 '신들의 사랑을 받는 것과 경건한 것이 동일하다'는 논리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다. 이를 통해 경건함과 신들의 사랑의 관계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한다. 3. 경건함과 정의로움의 관계 에우튀프론은 경건함과 정의...2025.01.26
-
소크라테스 사상을 통해 살펴본 죽음이란 무엇인가2025.01.171. 소크라테스와 죽음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무지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인간적인 지혜'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죽음이 단순한 소멸이 아니라 혼의 이주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는 철학자가 죽음을 연습하는 존재라고 보았으며, 죽음 이후에는 위대한 인물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2. 소크라테스의 죽음 원인 소크라테스의 죽음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그의 제자들 중 일부가 극단적인 행동을 하여 소크라테스에게 비판의 빌미를 제공했다. 둘째, 소...202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