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8개
-
철학의 이해: 플라톤의 '향연'에 나타난 사랑의 본질2025.01.261. 플라톤의 '향연' 플라톤의 '향연'은 소크라테스의 사랑학을 다루고 있다. 이 작품에서 소크라테스는 사랑의 본질이 인간의 결핍을 채우려는 욕망이라고 주장한다. 에로스는 아름답지도 않고 추하지도 않으며, 선하지도 않고 악하지도 않은 중간자적 존재로, 지혜와 절제, 용기를 지배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인간은 좋아하는 것을 영원히 소유하려는 욕구를 가지며, 이러한 간교한 사랑이 진정한 사랑이 되기 위해서는 에로스가 필요하다. 1. 플라톤의 '향연' 플라톤의 '향연'은 사랑의 본질에 대한 깊이 있는 철학적 탐구를 담고 있는 작품...2025.01.26
-
철학의 이해: 에우튀프론 내용 요약 및 감상2025.01.261. 경건함의 정의 소크라테스와 에우튀프론의 대화를 통해 경건함의 정의를 찾아가는 과정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에우튀프론은 처음에는 자신이 경건함을 잘 안다고 자부하지만, 소크라테스의 질문에 따라 경건함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 과정에서 경건함과 정의로움의 관계, 신들의 사랑과 경건함의 관계 등이 논의됩니다. 2. 소크라테스의 대화법 소크라테스는 에우튀프론과의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무지를 깨닫게 하고 지식으로 나아가게 하는 교육 방식을 보여줍니다. 그는 에우튀프론의 고정관념과 논리적 오류를 지적하며, 경건함에...2025.01.26
-
소크라테스의 '무지의 자각'2025.01.041. 소크라테스의 철학 소크라테스는 특별한 사상이나 저서를 남기지 않았지만, 그의 철학함으로 인해 서양철학에서 유명한 인물로 남을 수 있었다. 그는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잘못된 믿음을 없애고 자신의 주장에 모순이 있음을 깨닫게 하여 상대의 무지를 드러내고자 했다. 이러한 '논박술'을 통해 윤리적 가치를 전제로 하여 더 훌륭한 삶을 추구하고자 했다. 소크라테스는 인간이 무지하다는 자각으로부터 출발하여 참된 앎, 지식을 갈구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철학을 했다고 볼 수 있다. 2. 소크라테스의 주지주의 소크라테스는 덕은 좋은 것과 나쁜 것...2025.01.04
-
고대 서양윤리(철학) 학자 및 사상 정리2025.01.161. 윤리적 상대주의 개인적 상대주의의 기본 주장은 인간은 보편·절대·영원한 것에 대한 지식을 가질 수 없으며, 인간이 가진 모든 앎은 가변·상대적이라는 것입니다. 또한 도덕은 개인의 주관적 앎·의견에 기초하므로, 도덕판단은 객관적 타당성이 없으며 도덕적 가치는 주관에 따라 상대적입니다. 사회·문화적 상대주의(관습주의, 관례주의)의 기본 주장은 각 사회는 고유한 도덕규범·관습을 가지므로, 모든 사회에 적용되는 보편적인 도덕체계, 또한 여러 도덕체계의 우열을 판별하는 보편적 기준은 없다는 것입니다. 윤리적 상대주의의 장점은 윤리적 절...2025.01.16
-
플라톤의 『향연』 내용 요약 및 감상2025.01.221. 플라톤의 『향연』 『향연』은 아폴로도스가 오래 전 아가톤이 비극경연에서 우승한 것을 축하하기 위한 축하연 자리에서 참석자들이 에로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것을 다룬다. 이 작품은 액자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인물들의 에로스에 대한 견해를 보여준다. 소크라테스의 에로스에 대한 견해가 핵심을 이루며,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사상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 작품은 대화체로 쓰여 있어 연극적 느낌을 주며, 플라톤은 구전의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내용의 변화를 그대로 담고자 했다. 또한 에로스에 대한 논의가 가장 중요한 주제라고 생각하...2025.01.22
-
철학의 이해(기말)_플라톤 파이돈 전헌상 옮김. 아카넷. 2020_감상문 (1)2025.01.241. 플라톤의 저서 '파이돈' 이 책은 플라톤이 소크라테스가 했던 대화들을 엮어 낸 저서로써 소크라테스가 사형을 받는 날이 배경으로 되어있다. 소크라테스는 사형을 받는 그 날 저녁까지 두 사람과 대화를 나누었는데 그 때의 대화를 파이돈이 에케크라테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으로 전개된다. 이 책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철학 사상이 잘 드러나는데, 그는 죽음에 다가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하고 영혼을 가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영혼은 불사하며 육체와 분리되어 존재한다고 설명한다. 2. 소크라테스의 죽음에 대한 태도 소크라테스는 ...2025.01.24
-
행복에 이르는 지혜 기말 2, 3, 4, 5장 공부 및 행복론 요약2025.01.251. 소크라테스의 행복론 소크라테스는 정의로운 삶이 행복을 찾는 길임을 강조한다. 그는 정의로운 국가와 개인의 퇴락 과정을 통해 정의의 중요성을 설명하며, 정의를 포기하는 행위가 곧 행복을 잃게 되는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정의로운 사람은 욕구를 제어하고 다른 이의 이익을 고려함으로써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행복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며, 그것을 외적인 성공이나 성품의 덕만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그는 인간이 신적인 차원까지 넘어선 행복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2025.01.25
-
플라톤의 파이돈 내용요약 및 감상2025.01.251. 플라톤의 파이돈 파이돈은 소크라테스의 죽음에 관한 대화편으로, 소크라테스는 죽음이 몸으로부터 영혼이 해방되는 것이며 순수한 사고와 추론은 오직 영혼이 몸의 영향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된 상태에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주장은 영혼의 불멸을 전제로 하며, 케베스의 지적에 따라 영혼의 불멸에 대한 논증이 이어집니다. 소크라테스는 순환 논증, 상기 논증, 유사성 논증 등을 통해 영혼의 불멸을 논증하고, 영혼이 사후에 겪게 되는 일에 관한 신화적인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이를 통해 영혼을 돌보고 정화시키도록 하며, 죽음 후의 영혼...2025.01.25
-
사회복지정의론 강의 1강에서 6강 중 가장 인상적인 두 장면2025.01.251. 통과 사람 이 장면은 사회를 통에 비유하여 계층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통 안에서 적응하며 살아가는 기득권층과 부유층, 어느 정도 경제력과 자활력을 갖춘 중산층, 그리고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탈선하는 비행 청소년이나 범죄자들을 각각 묘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회 계층화의 문제와 소외계층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2. 소크라테스의 죽음 이 장면은 소크라테스가 진리를 추구하다 반대파들에 의해 숙청당해 죽음에 이르는 것을 보여준다. 소크라테스는 강직하고 정직하며 진리에 입각해 살아가는 인물로 묘사되며, 이를 통해 진...2025.01.25
-
(철학의이해) 다음 세 권의 책 중 하나를 읽고 내용요약 A4지 2매 + 본인의 감상 A4지 1매를2025.01.261. 플라톤의 저서 《향연》 《향연》은 플라톤의 대화편 중 하나로, 고대 그리스를 대표하는 철학자 플라톤의 스승인 소크라테스가 등장하여 사랑의 본질에 대해 토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은 각자의 관점에서 사랑의 의미와 본질에 대해 이야기하며, 특히 소크라테스의 견해가 두드러진다. 소크라테스는 아가톤의 주장을 반박하며 사랑이란 결핍된 것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를 통해 자신이 생각하는 사랑, 즉 '좋은 것을 영구적으로 소유하고자 하는 욕망'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이 책은 고대 ...2025.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