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9개
-
법인세의 손금에 관련하여 결산조정사항과 신고조정사항에 대하여 그 차이를 설명하시오2025.05.021. 결산조정사항 결산조정사항은 결산 당시 법인이 장부에 회계처리를 해야 세법상 인정받을 수 있어 공제비용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법적으로 청구가 소멸되지 않았지만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돼 회계로 인정되면 '결산일'이 발생한 사업연도에 대한 차감금액에 정산조정이 포함된다. 결산조정에 해당하는 대손충당금을 포함하기 위해서는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장부의 회계처리를 필수요건으로 설정한다. 2. 신고조정사항 신고조정사항이란 결산 당시 장부에 비용으로 기록되지 아니하였더라도 신고과정에서 정산서에 기록하였을 때 공제비용에 포함될 수 ...2025.05.02
-
비영리회계의 정의와 특성2025.01.061. 회계영역의 분류 회계영역은 정보이용자와 특수목적에 따라 분류된다. 정보이용자에 따른 분류로는 외부 정보 이용자를 위한 재무회계와 내부 정보 이용자를 위한 관리회계가 있다. 특수목적에 따른 분류로는 비영리회계와 세무회계가 있다. 2. 비영리회계의 정의 비영리회계는 정부, 각종 기금, 비영리단체 등 특수한 기관의 회계를 다루는 분야로,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기관의 회계를 의미한다. 비영리조직의 회계는 기금별로 독립적인 재무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 특징이 있다. 3. 비영리조직의 특성 비영리조직은 정부로부터 독립되어 있어야 하며...2025.01.06
-
부가가치세법상 과세표준 계산2025.01.031. 과세표준 계산의 일반원칙 부가가치세의 과세표준은 재화 및 용역의 공급가액을 합한 금액이 된다. 공급가액은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지 않은 금액이며, 공급대가는 부가가치세가 포함된 금액이다. 특수관계인 거래에서 공급가액이 시가보다 낮은 경우 시가를 과세표준으로 한다. 외상 및 할부 판매, 지속적 용역 공급 등의 경우 각각의 거래 유형에 맞는 과세표준을 적용한다. 과세표준에서는 에누리, 재화 및 용역 공급가액에 대한 할인액, 공급 전 훼손된 재화 및 용역의 가액 등이 제외된다. 2. 재화의 공급의제에 대한 과세표준 자가 공급, 개인적 ...2025.01.03
-
법인세의 손금에 관련하여 결산조정사항과 신고조정사항의 차이2025.01.041. 법인세 손금 법인세는 법인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법인세법에 따라 과세됩니다. 법인세 손금은 자본이나 출자 환급, 잉여금 처분과 법인세법에서 특별하게 규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해당 법인의 순자금을 감소시키는 거래로 발생하는 손비를 의미합니다. 손금산입은 기업회계 기준과 법인세 사이의 비용에 대한 기준이 상이한 데에서 나온 세무조정 사항으로, 손금이 크면 클수록 법인세가 감소하게 됩니다. 2. 결산조정사항 결산조정은 회계상 결산서에 비용으로 계상한 경우에만 인정되는 항목으로, 법인의 의사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대손충당금, 대손금, ...2025.01.04
-
부경대 세무회계 소득세 정리 (중간범위)2025.11.151. 소득세의 정의 및 기본 개념 소득세는 개인의 소득을 과세대상으로 하는 조세입니다. 개인을 과세객체, 국가를 과세주체, 소득금액을 과세표준으로 합니다. 소득세는 직접세, 독립세, 보통세, 국세로 분류되며, 개인단위과세제도와 신고납세제도를 기본으로 합니다. 원천징수는 예납적 또는 완납적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2. 열거주의과세제도 소득세법은 소득의 유형을 소득원천별로 8가지로 구분하여 열거주의 과세를 적용합니다. 열거되지 않은 소득은 담세력이 있더라도 과세하지 않습니다. 다만 이자와 배당소득은 열거되지 않아도 유사한 소득을 포함하는...2025.11.15
-
미국 개인소득세 과제: 공제 및 신고지위 분석2025.11.161. 상위공제와 항목별공제의 차이 상위공제(above the line deductions)는 AGI 계산 시 총소득에서 직접 공제되는 항목으로, IRA, 학자금 이자, 자영업세 등이 포함되며 별도 요건 없이 무조건 공제된다. 반면 항목별공제(itemized deductions)는 AGI 계산 후 적용되는 공제로, 표준공제보다 클 경우에만 공제받으며 주택담보대출이자, 주(State) 세금 등이 해당된다. 납세자는 두 공제 중 더 큰 금액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2. Traditional IRA와 Roth IRA의 세무상 차이 Tradi...2025.11.16
-
세무회계Ⅰ 퇴직소득, 근로소득 연말정산 및 근로소득금액 계산2025.11.161. 퇴직소득산출세액 계산 퇴직소득산출세액은 퇴직소득금액에서 근속연수공제를 차감한 후 환산급여를 산출하고, 환산급여공제를 적용하여 과세표준을 구한다. 이를 기본세율에 적용하여 산출한다. 근속연수 7년 3개월은 1년 미만을 1년으로 보아 8년으로 계산하며, 근속연수공제는 1,500,000원 + 500,000원 × (8년-5년)으로 산정된다. 퇴직소득금액 150,000,000원에 대해 최종 산출세액은 14,467,500원이다. 2. 근로소득 세액공제액 계산 근로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되는 세액공제액은 보험료세액공제, 교육비세액공제, 자녀...2025.11.16
-
회계와 기업경영 사례연구 풀이(9~13강)2025.11.171. 제조원가의 흐름과 계산 제조원가는 직접재료비, 노무비, 제조경비로 구성되며, 이들이 흐르는 과정을 통해 당기총제원가, 제품제조원가, 매출원가를 계산한다. 재료비는 당기 매입액과 재고자산 변동을 고려하여 산출되고, 노무비와 제조경비는 생산부문에서 발생한 비용을 집계한다. 이러한 원가 흐름의 이해는 기업의 영업이익 계산과 원가관리의 기초가 된다. 2. 경영의사결정을 위한 원가분석 직접재료원가차이는 가격차이와 수량차이로 분석되며, 표준원가와 실제원가의 비교를 통해 산출된다. 원가구조 변화 분석에서는 고정제조원가와 변동제조원가의 변화...2025.11.17
-
국세 납세의무와 조세의 기본원칙2025.11.161. 납세의무의 성립, 확정, 소멸 납세의무의 성립은 국세의 종류와 과세기간에 따라 다르며, 소득세 및 법인세는 과세기간이 끝날 때 성립한다. 납세의무의 확정은 세법이 정하는 절차에 따라 납세의무자가 과세표준과 세액을 신고하여 확정되거나, 신고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정부가 결정한다. 납세의무의 소멸은 정부가 세금을 받거나 부과된 세금을 지불하거나 세금 부과가 취소될 때 발생하며, 기본 소멸기간은 5년이다. 2. 조세법률주의 조세법률주의는 조세 부과 및 징수가 반드시 국회에서 제정한 법률에 따라야 한다는 원칙이다. 한국 헌법에서는 '모...2025.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