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개
-
신생아 간호학 실습 가이드2025.11.131. 신생아 사정 및 검사 신생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Apgar 점수, 신체 계측, 활력징후 측정, 신경반사 검사 등을 시행한다. 심박동수, 호흡능력, 근육긴장, 피부색, 반사능력을 1분과 5분에 평가하며, 신장 49-51cm, 체중 3.2-3.4kg, 두위 33-35cm, 흉위 31-33cm가 정상 범위이다. 정상 신생아의 활력징후는 심박동 120-160회/분, 호흡 30-60회/분, 체온 36.4-37.0℃, 혈압 65-95/30-60mmHg이다. 2. 신생아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 신생아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는 페닐케톤...2025.11.13
-
아동간호학: 신생아 건강문제 및 질환 정리2025.11.151. 고위험신생아의 분류 신생아의 건강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출생체중과 재태기간에 따라 분류합니다. 저체중출생아(2,500g 미만), 극소저체중출생아(1,500g 미만), 초극소저체중출생아(1,000g 미만)로 구분되며, 재태기간에 따라 미숙아(37주 미만), 후기조산아(34~36주), 만삭아(37~41주), 과숙아(42주 이상)로 분류됩니다. 또한 재태기간에 비한 출생체중으로 부당중량아, 적정체중아, 부당경량아로 구분되어 각각의 건강관리 전략이 수립됩니다. 2. 미숙아의 주요 합병증 미숙아는 모든 신체계통이 미성숙하여 다양한 합...2025.11.15
-
총담관 낭 신생아 황달 사례 연구2025.11.131. 총담관 낭 (Choledochal Cyst) 총담관 낭은 간 외 담관 또는 간 내 담관이 원형 또는 타원형 모양으로 확장되는 선천성 질환이다. 40~60%가 10세 이하의 소아에서 발견되며 여성과 동양인에서 더 흔하다. 5가지 형태로 분류되며, 제1형이 가장 많다. 주요 증상은 폐쇄성 황달, 무담즙성회백색변, 간비대 등이다. 진단은 복부 초음파, CT, MRI, ERCP 등으로 가능하며, 수술적 치료가 필수적이다. 합병증으로 담관염, 담석증, 췌장염, 간경변증, 담낭암 등이 있다. 2. 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2025.11.13
-
아동간호학 확인학습(20~23장)2025.05.101. 위장관 장애 탈수가 있는 아동의 치료와 간호관리는 치료의 심각도에 따라 다르며, 수액과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하고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초점이 된다. 오심과 구토가 탈수의 원인이라면 진토제를 투약하여 구토를 감소시키고 수액은 구강으로 보충되어야 하지만 구강음료 마시기를 거부할 때는 비위관을 통한 재수화를 시도해야 한다. 간호관리에는 피부, 온감, 아동의 피부긴장도 사정, 점막 상태 확인, 전신적 관류 측정,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등이 포함된다. 탈수에서 회복된 아동을 가진 간호제공자에 대한 퇴원교육계획에는 소변배설 확인...2025.05.10
-
2023 간호사 국가고시 아동간호학 요점정리2025.11.131. 아동의 발달단계별 특성 아동의 발달은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로 구분된다. 영아기는 구강기와 신뢰감 발달, 감각운동기를 거친다. 유아기는 항문기와 자율감 발달, 전조작기를 경험한다. 학령전기는 남근기와 솔선감, 학령기는 잠재기와 근면성을 보인다. 청소년기는 생식기와 정체감 확립, 형식적 조작기를 거친다. 각 단계별로 신체, 인지, 정서, 사회성 발달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진다. 2. 신생아의 정상 생리 및 반사 신생아의 호흡은 분당 30-60회의 얕고 불규칙한 호흡이 정상이...2025.11.13
-
Atresia, Stenosis, Obstruction의 의료용어 정리2025.11.141. Atresia (폐쇄증) Atresia는 신체의 정상적인 개구부나 관이 닫히거나 없는 비정상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의학적으로는 Esophageal Atresia(EA)와 Distal Tracheoesophageal fistula(TEF)가 있으며, 이는 식도의 일부분만 발달하여 기도와 연결되는 질환이다. 신생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선천성 질환으로 호흡 및 섭식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2. Stenosis (협착증) Stenosis는 신체의 통로나 개구부가 비정상적으로 좁아진 상태를 말한다. 대표적인 의학용어로 Aortic S...2025.11.14
-
수두증: 정의, 원인, 임상적 특징2025.11.151. 수두증의 정의 및 뇌척수액 수두증은 뇌척수액이 뇌와 척수 주변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뇌압이 상승하는 질환입니다. 뇌척수액은 맥락총 혈관에서 생성되며 뇌실을 통해 순환하다가 지주막하 공간을 거쳐 상시상 정맥동으로 흡수됩니다. 정상적으로 하루 약 500ml가 생성되며, 신생아 50ml, 소아 100ml, 성인 150ml 정도가 뇌척수액 총량입니다. 뇌척수액은 충격 완충, 두개강 내 압력 분산, 영양분 및 노폐물 운반의 역할을 합니다. 2. 수두증의 원인 수두증의 원인은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으로 구분됩니다. 선천적 원인으로는...2025.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