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개
-
아동기 주요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 및 관리2025.01.161. 울혈성 심부전 울혈심부전은 신체 대사 요구량에 맞는 적절한 양의 혈액을 박출하지 못하는 심장의 기능부전이다. 아동의 울혈심부전은 선천성 심장기형에 의한 증상이며, 심근의 과도한 부담으로 인해 생긴다. 심실중격 결손, 동맥관개존증, 심방중격 결손, 대동맥축착 등의 선천성 심장병의 결과로 대부분 생후 1년 이내에 나타난다. 또한, 심장비대, 부정맥, 전해질 불균형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고, 특히 폐 질병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치료의 목적은 심장의 기능 개선, 축적된 체액 및 나트륨 제거, 심장의 부담 감소, 조직의 산소화 증...2025.01.16
-
인간발달 과목 활로4징 이론적 정리2025.01.231. 활로 4징(Tetralogy of Fallot, TOF) 활로 4징은 심실중격 결손(VSD), 폐동맥 협착, 대동맥 기승, 우심실 비대의 네 가지 병변이 동반된 선천성 심장병입니다. 이 병은 선천성 심장병의 약 10%를 차지하며 가장 흔한 청색증형 심질환입니다. 병태생리는 VSD와 폐동맥 협착이 심하여 일부 정맥혈이 폐동맥으로 나가지 못하고 VSD를 통해 우-좌 단락이 생겨 전신에 정맥혈이 흐르게 되어 폐 혈류량이 감소하고 청색증이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심잡음, 운동 시 호흡곤란, 청색증, 다혈구증, 곤봉형 손가락, 슬...2025.01.23
-
ASD (심방 중격 결손) 간호 관리2025.01.041. ASD (심방 중격 결손) ASD(심방 중격 결손)은 심방 사이의 중격 형성 과정에서 결손이 발생하여 좌심방에서 우심방으로 혈액이 흐르는 선천성 심장병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염색체 이상 등이 있습니다. 병태생리적으로는 심방 간 구멍을 통해 좌심방에서 우심방으로 혈액이 흐르고, 우심방과 우심실을 거쳐 폐로 가는 혈류가 증가하며, 폐를 거쳐 좌심방으로 들어온 혈액 일부가 다시 결손을 통해 우심방으로 새어나가게 됩니다. 이에 따라 심장과 폐에 부담이 증가하게 됩니다. ASD는 이차공 결손, 일차공 결손...2025.01.04
-
대혈관전위(TGA) 환아 사례보고2025.01.051. 대혈관전위(Transposition of Great Arteries, TGA) 대혈관전위는 대동맥과 폐동맥이 원래의 위치가 아닌 서로 위치가 바뀐 선천성 심장병이다. 이로 인해 폐순환과 체순환이 연속순환이 아닌 병렬순환을 하게 되어 조직에 산소 공급 부족과 좌우 심실 부하를 유발한다. 출생 직후 청색증, 호흡곤란, 수유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진단은 출생 전 태아 초음파나 출생 직후 심잡음 청진을 통해 이루어진다. 치료는 초기에 프로스타글란딘 투여와 풍선 심방중격절개술을 시행하고, 이후 동맥치환술을 통해 대동맥과 폐동맥의...2025.01.05
-
형성저하성 우심증후군 (Hypoplastic right heart syndrome)에 대한 이론적 고찰2025.01.171. 형성저하성 우심증후군 형성저하성 우심증후군은 오른쪽 심장의 발달이 미숙한 상태로, 폐동맥판막의 폐쇄증이나 부재, 작은 우심실, 작은 삼첨판, 우심실 형성부전, 삼첨판의 형성 부전 또는 폐쇄 등의 특징이 있다. 이 중 가장 큰 문제는 폐동맥판막 폐쇄증이다. 심실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이 실패하며 심실 근육 구조가 미흡해지고, 심장이 혈액을 폐로 보내기 위해 폐동맥판막을 밀어내는 데에도 문제가 생긴다. 우심방의 혈액 공급 양은 충분하지 못하고 이러한 이유로 폐로도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다. 또한 관상동맥으로의 혈류도 충분치 ...2025.01.17
-
아동간호실습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질병고찰 HRHS 형성저하성우심증후군2025.01.171. 형성저하성 우심증후군 (Hypoplastic right heart syndrome) 형성저하성 우심증후군은 오른쪽 심장의 발달이 미숙한 상태이다. 이러한 기형은 폐동맥판막의 폐쇄증이나 부재, 아주 작은 우심실, 작은 삼첨판, 우심실 형성부전, 삼첨판의 형성 부전 혹은 폐쇄 등이다. 이 중 가장 큰 문제는 폐동맥판막 폐쇄증이다. 심실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이 실패 하며 심실 근육 구조가 미흡해지고, 심장이 혈액을 폐로 보내기 위해 폐동맥판막을 밀어내는 데에도 문제가 생긴다. 우심방의 혈액 공급 양은 충분하지 못하고 이러한 이유로...2025.01.17
-
팔로4징후(TOF) 간호진단2025.01.031. 팔로4징후(Tetralogy of Fallot, TOF) 2살 여아가 숨이 차고 입술이 파랗게 변한다는 호소로 병원에 왔다. 아이는 38주, 체중 2.8kg, 키 40cm로 태어났으며 1살경부터 울 때마다 입술이 파랗게 변했으며 최근에는 걷다가 숨이 차서 쪼그리고 앉는 자세를 취하곤 했다고 한다. 진찰 결과, 혈압 92/62mmHg, 맥박 110회/분, 호흡 38회/분, 체온 36.7도, 체중 8kg, 키 70cm 였으며 입술과 손톱에서 약간의 청색증이 관찰되었고 청진상 수축기잡음이 들렸다. 맥박산소계측기로 측정한 산소포화도는...2025.01.03
-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심방중격결손(ASD)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2025.01.041. 심방중격결손(ASD) 심방중격결손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벽(심방중격)에 구멍이 있는 선천성 심장병입니다. 태아기에는 정상적으로 난원공 부위에서 좌우 심방 사이가 열려있지만, ASD는 그 난원공이 닫히지 않고 우심방과 좌심방사이의 벽(심방 중격)의 결손(구멍)을 통해서 혈류가 새는 기형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폐순환을 지나서 좌심방으로 돌아온 동맥혈의 일부가 심방 중격 결손을 통해서 우심방으로 유입되고, 우심실을 거쳐서 다시 폐순환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우심방과 우심실의 부담이 커지게 되며 폐혈류량이 증가합니다. 결손 부위가 ...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