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개
-
생활법률 용어 정의와 권리구제 기관2025.01.241. 법률혼 혼인(법률혼)은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이 정한 바에 따라 행정관청에 신고함으로써 그 효력이 생긴다. 혼인신고를 하지 않으면 실질적 요건을 갖추더라도 사실혼이 된다. 혼인의 신분적 효력은 첫째, 미성년자가 혼인을 한 때에는 민법상 성년자로 본다. 둘째, 배우자의 지위가 생기고 상대방 배우자에 대하여 동거, 부양, 협조, 성적 순결의 의무를 지닌다. 재산적 효력은, 첫째, 혼인당사가 혼인 성립 전에 부부의 재산관계에 관하여 체결한 약정(부부재산계약)의 효력이 발생한다. 2. 이혼숙려기간 협의이혼을 하려는 부부가...2025.01.24
-
(생활법률) 다음의 용어의 뜻을 기본교재에서 찾아 쓰시오2025.01.261. 법률혼 법률혼이란 결혼의 실질적 요건과 형식적 요건을 모두 갖추어 법에 의해 인정된 결혼이다. 우리나라는 혼인신고라는 명시적인 방법에 의해 부부관계를 인정하는 법률혼주의를 채택하는 국가이다. 2. 이혼숙려기간 이혼숙려기간은 말 그대로 이혼결정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시간이다. 이혼서류를 제출한 뒤 자녀가 있다면 영상 교육을 받게 되며 그 다음 법원에서 협의이혼의사확인기일 지정서를 발급 3. 재산분할청구권 재사분할 청구권은 결혼 기간 중에 형성한 부부의 실질적인 공유 재산을 청산하기 위한 것이다. 이혼한 부부 중 한 사람이 다...2025.01.26
-
상속,유류분계산문제2025.01.291. 상속분 및 유류분 계산 피상속인 갑은 7천만원의 재산을 남기고 사망하였다. 갑의 유족으로는 배우자 을, A, B, C의 자녀들이 있다. 갑은 생전에 A에게 아파트(2억원)을 증여하였다. (1) 갑이 사망 당시 아무런 유언 없이 사망하였을 때 각 상속인들의 상속분은 어떻게 되고 생전에 증여한 재산(A의 특별 수익분)과의 관계는? (2) 현행 상속법이 견지하고 있는 상속제도의 유형을 유언상속주의라고 보는 입장의 논거를 이들의 상속과정을 가지고 설명한다면? 1. 상속분 및 유류분 계산 상속분 및 유류분 계산은 상속 절차에서 매우 중...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