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톤별 이미지 특징(12톤)에 대한 이론 및 사진2025.01.201. 비비드(vivid) 원색의 톤으로 선명한 색상이다. 강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의 주목을 이끌기가 쉽다. 무채색과 배색을 하면 강렬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자유분방함을 강조하는 캐주얼이나 팝 스타일과 잘 어울린다. 시각적으로 강렬한 이미지를 주기 때문에 자기주장을 강하게 나타내는 연출을 할 때 사용하기 적합하다. 2. 딥(deep) 비비드에 검은색이 약간 가미된 색상이다. 자극이 강한 비비드보다 명도와 채도가 약간 낮아서 깊고 짙은 톤으로 중후하고 침착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원색이 주는 생동감이 ...2025.01.20
-
자신이 생각하는 좋은 사진의 예시를 들어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론을 바탕으로 생각을 서술하세요2025.01.201. 좋은 사진의 요소 사진 촬영에서 구도, 빛, 심도, 색상, 그리고 감정 전달은 사진의 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여기에서는 삼등분법, 황금 시간대, 깊이감, 색채 이론 및 이들이 사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론적인 배경과 함께 사진의 예술성을 어떻게 극대화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2. 구도 사진의 구도는 주제와 배경, 그리고 사진 속 요소들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 좋은 구도는 사진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시각적인 균형을 맞추며, 보는 이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대표적인 구도 원칙으로는...2025.01.20
-
사진의 특성: 카메라와 눈의 차이2025.01.041. 카메라 렌즈와 눈의 차이 카메라 렌즈와 인간의 눈은 모두 빛이 굴절되어 상(image)이 맺어질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동일합니다. 그러나 인간의 눈과 카메라 렌즈는 렌즈의 교환 여부, 자동 조절 여부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카메라는 인간의 눈으로 담아내는 상(image)과는 다른 카메라 고유의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됩니다. 2. 사진적 요소: 노출, 원근법, 시간적 표현 카메라 렌즈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사진 이미지의 특성 내지 사진적 요소에는 노출, 원근법, 시간적 표현이 있습니다. 노출은 카메...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