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산후출혈 프로토콜2025.01.041. 산후출혈 Fatima sanogo 환자는 41주 4일 된 태아를 질식분만 후 산후출혈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분만 과정에서 2도 회음부 열상이 있었으나 즉시 교정되었고 태반도 자발적으로 만출되었습니다. 하지만 분만 후 출혈이 다시 시작되어 혈압이 낮고 맥박이 높은 상태였으며, 많은 양의 오로와 출혈이 있어 moderate rate bleeding으로 판단되었습니다. 또한 복부 통증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산후출혈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1. 산후출혈 산후출혈은 산모의 생명을 위협할...2025.01.04
-
[낙상/회음부 열상] 초산 산모 케이스2025.01.201. 낙상 위험성 대상자는 분만 후 실혈과 금식으로 인해 기력이 저하되어 낙상 위험이 높은 상태입니다. 간호사는 낙상 위험 요인을 사정하고, 철분제와 영양 보충을 통해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며, 낙상 예방 교육을 실시하여 대상자가 퇴원 시까지 낙상 사고를 겪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2. 회음부 열상으로 인한 급성 통증 대상자는 분만 시 회음부 4도 열상이 발생하여 심한 통증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간호사는 통증 사정, 냉요법, 습열요법, 건열요법, 진통제 투여 등의 중재를 통해 통증을 관리하고, 회음부 간호 교육을 실시하여 대상...2025.01.20
-
분만간호 요약2025.05.051. 분만간호 분만은 여성과 가족에게 중요한 사건이며 기대되고 흥분되지만 염려스러운 시기이다. 이 기간동안에 일생에서 가장 심로한 변화 중 하나를 경험하고 극적인 순간을 맞이한다. 따라서 간호사는 산부와 가족들이 분만에 대해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통증 완화 및 지지적 간호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산모의 즉각적인 회복을 도모하고 모아 유대, 모유 수유 권장과 신생아 출생으로 인한 새로운 가족의 형성을 축하하고 수용하도록 도와야 한다. 2. 분만 1기 규칙적인 자궁수축 ~ 자궁경관의 완전 개대 (10cm) = 개대기 3. 분만...2025.05.05
-
아두골반 불균형(CPD) 환자의 제왕절개 수술 및 간호2025.01.041. 아두골반 불균형(CPD) 아두골반 불균형(CPD)은 분만 시 아두가 너무 크거나 모체 골반이 너무 작아서 아두가 골반을 완전히 통과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이로 인해 분만이 중단되는 경우가 많으며, 제왕절개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이 환자의 경우 CPD로 인해 제왕절개 수술을 받았으며, 수술 전후 간호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수술 전 교육, 수술 준비, 수술 후 간호 등 CPD 환자의 간호 과정을 잘 설명하고 있다. 1. 아두골반 불균형(CPD) 아두골반 불균형(CPD)은 임신 및 출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2025.01.04
-
2024년 모성간호학 Case study NSVD(자연분만) A+ 자료입니다. 진단 3개 간호과정 2개2025.01.241. 정상 분만의 정의 및 단계 정상 분만은 수술을 하지 않고 질을 통해 태아가 만출되는 것을 말한다. 정상 분만은 4단계로 구성되는데, 1기는 진통이 시작되고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는 단계, 2기는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고 태아가 만출되는 단계, 3기는 태반이 만출되는 단계, 4기는 태반 만출 후 1시간 동안의 회복기이다. 2. 분만 기전 분만 기전은 진입, 하강, 굴곡, 내회전, 신전, 원상회전과 외회전, 만출의 7단계로 이루어진다. 태아가 골반입구를 통과하고 골반출구를 향해 내려가며, 태아의 머리가 회음부에 닿으면 후두가 먼저...2025.01.24
-
제왕절개(C sec)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2025.01.131. 제왕절개 분만 제왕절개 분만(cesarean section delivery)은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외과적 술법으로 제왕절개술이라고도 한다. 제왕절개 분만율은 국내의 경우 최근 수년간 35~40% 수준이며, 미국의 경우 32% 정도이다. 제왕절개 분만의 주요 원인은 반복 수술 증가와 고령출산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제왕절개 분만에 대한 간호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제왕절개 분만의 문헌고찰과 사례연구를 통해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2. 제왕절개 분만의 유형 제왕절개 분만의 유형에...2025.01.13
-
산욕기 산모 사례 간호과정2025.01.171. 유방울혈과 관련된 급성 통증 대상자는 유방울혈로 인한 급성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간호사는 4시간마다 유방을 촉지하여 단단한 정도와 열감을 사정하고, NRS 척도를 이용하여 통증 정도를 사정하였다. 또한 수유나 모유를 짜내기 전 유방에 따뜻한 물수건을 적용하고, 통증 호소 시 유방에 얼음주머니를 적용하였다. 대상자에게 올바른 유방마사지, 유축기 사용, 수유자세와 젖 물리는 법을 교육하였다. 그 결과 2일 이내에 유방의 단단함과 열감이 사라졌고, 통증도 감소하였다. 2. 분만으로 인한 조직 손상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대상자는 N...2025.01.17
-
[A+모성간호학실습] 분만진행기록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기록지 2개 포함되어있음!!!)2025.01.121. 분만진행 기록지 분만진행 기록지는 매 30분마다 간호 내용을 기록하는 것으로, 대상자 소개, 산과력, 진단명, 날짜, 시간, 태아심음, 자궁수축, 분만과정, 산부 행동 및 반응, 간호 행위(투약, 활력징후, 증상완화)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분만 과정을 상세히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2. 분만 과정 분만 과정에서는 진통, 자궁수축, 분만 진행 상황, 산모의 행동과 반응, 간호사의 중재 등이 기록된다. 진통이 시작되면 점차 자궁수축이 강해지고 분만이 진행되며, 간호사는 산모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증상 완화를 위한 간...2025.01.12
-
여성간호학 자연분만 case2025.01.141. 자연분만의 정의 자연분만은 가장 일반적인 분만 방법으로, 자연적으로 진통이 올 때까지 기다려 진통 시작 시 정신적 분만하여 질을 통해 출산하는 방법이다. 1~4기로 나뉘고 양막파열 또는 이슬이 나타날 수 있다. 2. 자연분만의 요소 자연분만의 요소에는 태아와 부속물, 산도, 만출력, 산부자세, 심리적 반응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요소들이 잘 조화를 이루어야 원활한 자연분만이 가능하다. 3. 자연분만 기전 자연분만 기전에는 진입, 하강, 내회전, 신전, 복귀 및 외회전, 만출 등의 단계가 포함된다. 태아의 위치와 자궁의 변화에 ...2025.01.14
-
제대탈출 환자의 간호과정2025.04.301. 제대탈출 제대탈출은 아두만출 전에 제대가 선진부 앞부분으로 밀려 내려온 것을 말한다. 제대탈출의 원인으로는 비정상적으로 긴 제대, 조산아, 다태임신, 양수과다증, 전치태반, 아두골반 불균형, 자궁 내 종양 등이 있다. 제대가 탈출되면 제대의 압박으로 인해 태아의 혈액공급이 차단되어 태아가 질식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간호중재로는 체위변경, 제대 압박 완화, 산소공급 증가, 수액 투여 등이 있다. 2. 간호과정 간호사정에서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입원 관련 정보, 산과력, 과거력, 신체검진, 검사 소견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