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5개
-
성인간호학 15장 심장장애 대상자 간호2025.01.16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무게가 약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심장의 위치는 종격동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에 위치하며, 심장은 좌우 사이막, 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심장은 1분간 약 72회 정도 박동하며, 1회 약 70mL 정도의 혈액을 박출합니다. 심장의 전도체계는 동방결절, 방실결절, 히스속, 푸르킨예섬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심장의 기계적 특성 심박출량은 박동량과 심박동수의 곱으로 계산되며, 정상 범위는 4~8L/min입니다. 심장지수는 심박출량을 체표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정상...2025.01.16
-
사례별 간호(업무조정)2025.01.201. 요붕증 환자 간호 요붕증이 심해 복수천자 후 2L 배액하기로 한 간경화 환자가 200cc에서 더이상 배액되지 않고 환자는 의식변화와 간성혼수 증상을 보이는 상태. 체위변경을 해보고 의식을 사정하며 증상을 관찰하여 v/s 결과와 함께 의사에게 알린다. 암모니아 수치 확인을 위한 lab 진행 여부를 묻고, 관장 오더 시 관장 세트를 준비한다. 다른 간호사의 도움을 받아 의사 오더에 따라 투약 및 검사를 진행하며 모든 내용을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2. 부정맥 환자 간호 부정맥이 있는 환자가 EKG monitoring 중 HR 90...2025.01.20
-
HIV 전염 예방 비밀유지와 간호사 의무의 충돌2025.01.211.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박동장애라고 하며,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입니다. 심근의 전기적 전도와 흥분 전달 장애, 충분한 혈액을 공급받지 못하는 허혈상태로 인해 초래되고 흉통,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느끼기도 합니다. 2. 고혈압 고혈압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뇌심혈관질환과 같은 주요 사망 질환의 중요한 위험인자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고혈압 조절은 보정된 혈압 수치를 이용 140/90mmHg를 기준으로 고혈압 조절군과 비조절군으로 분류 되고 있습니다. 고혈압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는 가족력, ...2025.01.21
-
심방세동 간호사정, 간호과정2025.04.281. 심방세동 심방세동은 여러 개의 이소성 전기충동 발생으로 심방의 전기적 활동이 완전히 무너지는 것이 특징이며 그 결과 심방의 효과적 전도가 상살하는 것이다. CAD, 판막 심장질환, 심근병증, 고혈압성 심장질환, 심부전, 심낭염 같은 기존의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보통 발생한다. 갑상선 중독증, 알코올 중독, 카페인 사용, 전해질 불균형, 스트레스, 심장 수술과 같은 요인에서 급성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심방세동은 심박출량 감소를 유발하여 혈액정체를 일으켜 심방에서의 혈전 생성 가능성을 높인다. 색전화된 혈전은 뇌를 지나면서 뇌...2025.04.28
-
성인간호학 24시간 심전도(홀터검사) 정리2025.01.031. 부정맥 부정맥은 어떤 원인에서든지 맥박이 정상적으로 뛰고 있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부정맥에는 서맥성 부정맥과 빈맥성 부정맥, 그리고 조기 박동이 있습니다. 서맥성 부정맥에는 동기능부전과 방실전도차단이 있고, 빈맥성 부정맥에는 심방성 빈맥, 방실접합부 의존성 빈맥, 심실성 빈맥이 있습니다. 조기 박동은 심장 박동이 정상적으로 나와야 할 때보다 더 빨리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1.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의 정상적인 리듬이 깨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심장이 규칙적으로 뛰지 않고 빨리 뛰거나 느리게 뛰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정맥...2025.01.03
-
성인간호학 순환기계2025.01.14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좌측 제3~5늑골 사이 가슴의 중앙에 위치하며, 심내막, 심근, 심외막 등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폐순환과 체순환으로 구분되며, 좌심실의 펌프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심장의 자극 전도체계는 동방결절, 방실결절, 히스다발-푸르키네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관상동맥에 의해 심장 혈액공급이 이루어지며, 심박출량과 심장박출지수로 순환계를 평가할 수 있다. 2. 순환계의 조절 심근의 특성으로는 율동성, 흥분성, 불응성, 전도성, 수축성, 신장성, 자동성이 있다. 신경성 조절은 압력수용기와 화학수용체에 의해...2025.01.14
-
부정맥 치료제 및 부정맥의 원인, 종류, 증상, 치료제 투여 환자 간호과정2025.05.101. 부정맥 치료제 부정맥 치료제는 심장의 박동 이상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들은 심근세포의 전기적 신호 전달 과정을 조절하여 정상적인 심장 리듬을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주요 부정맥 치료제에는 Class IA, IB, IC, II, III, IV 약물들이 있으며, 각각 다른 작용기전으로 부정맥을 치료합니다. 이 약물들은 부작용 관리가 중요하므로 간호사는 환자의 심장 상태, 약물 농도, 신장 기능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 2. 부정맥의 원인 부정맥은 심장의 자극 생성 이상, 전도 이상, 또는 비정상적인 ...2025.05.10
-
심맥관계 응급환자 관리2025.05.101. 환자 사정 환자의 호흡곤란, 경정맥 사정, 심음청진 등을 통해 심장 문제를 확인하고 진단할 수 있다. 호흡곤란은 울혈성 심부전과 관련이 있으며, 경정맥 사정을 통해 우심부전을 의심할 수 있다. 심음청진에서 특정 심음이 들리면 다양한 심장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2. 심맥관계 문제의 응급처치 협심증과 급성 심근경색의 증상과 처치 방법을 구분할 수 있다. 급성 심근경색 시 5% D/W 정맥 주입, atropine sulfate 투여, 심부정맥이나 심정지 시 즉시 구급처치 등의 응급 처치 방법을 알 수 있다. 3. 울혈성 심부전 ...2025.05.10
-
A++ 응급약물 14가지 및 간호중재2025.05.071. epinephrine epinephrine은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관상동맥 및 뇌혈류량을 증가시키고, 기관지 평활근에 직접 작용하여 강력한 기관지 확장 효과를 나타냅니다. 심정지 환자에게 투여되며, 기관지 경련 및 녹내장 치료에도 사용됩니다. 정맥 외로 주사할 경우 조직 괴사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vasopressin vasopressin은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으로, 콩팥에서 수분 재흡수를 촉진하고 모세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이는 작용을 합니다. 심정지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며, 뇌하수체성 요붕증 및 식...2025.05.07
-
심전도 판독 방법2025.04.281. 심전도(EKG) 정의 및 구성 요소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파형으로 나타낸 것으로, P파, PR간격, QRS파, ST분절, T파 등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근육의 전도를 평가하는 데 가장 효율적인 진단 방법이다. 2. 심전도 시행 과정 표준 심전도에 따라 전극을 사지와 흉부 6개 부위에 부착하여 기본 12 유도(양극 사지 유도, 중폭 단극 사지 유도, 흉부유도)로 심전도를 시행한다. 이 중 Lead II 유도에서 QRS파가 가장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주로 사용한다. 3. 심전도 판독 방법 심박동수 계산,...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