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5개
-
성인간호케이스스터디2025.01.211. 심방세동 심방세동은 비정상적인 심방 내외 전기적 파형(이소성 P파)이 불규칙하게 분당 400~600회의 매우 빠른 파형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맥박도 불규칙하게 감지되어 부정맥 질환의 일종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심계항진, 흉통, 호흡곤란, 전신 무기력감, 피로, 어지러움증, 현기증 또는 실신 등이 있다. 진단을 위해 심전도, 활동심전도 검사, 흉부방사선 검사, 경흉부 심장초음파 검사 등이 사용되며, 치료로는 뇌졸중 예방을 위한 항응고제 투여, 심박동수 감소를 위한 약물 투여, 정상 심장 리듬 회복을 위한 약물 요법 및 전기 충격...2025.01.21
-
성인간호학 24시간 심전도(홀터검사) 정리2025.01.031. 부정맥 부정맥은 어떤 원인에서든지 맥박이 정상적으로 뛰고 있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부정맥에는 서맥성 부정맥과 빈맥성 부정맥, 그리고 조기 박동이 있습니다. 서맥성 부정맥에는 동기능부전과 방실전도차단이 있고, 빈맥성 부정맥에는 심방성 빈맥, 방실접합부 의존성 빈맥, 심실성 빈맥이 있습니다. 조기 박동은 심장 박동이 정상적으로 나와야 할 때보다 더 빨리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1.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의 정상적인 리듬이 깨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심장이 규칙적으로 뛰지 않고 빨리 뛰거나 느리게 뛰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정맥...2025.01.03
-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심전도, 부정맥, 고관절골절 관련 간호2025.01.021.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급성 관상동맥증후군은 허혈로 인한 흉통이 장기화되고 즉시 회복되지 않으면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은 안정된 죽상경화성 플라크의 악화이며, 조절 불가능한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유전, 가족력이 있고, 조절 가능한 요인으로는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 운동 부족, 비만, 당뇨 등이 있습니다. 병태생리는 관상동맥의 부분 또는 완전 폐색으로 인한 심근의 허혈 및 경색입니다. 증상으로는 흉통, 피로, 숨참, 소화불량, 불안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심전도, 심장효소검사, 관상동맥조영술 등이 사용됩니다. 치료는 약물...2025.01.02
-
엔클렉스, 유월드, 이화, nclex, uworld, nclexrn 전과목 총정리2025.05.051. Mitral valve 성인의 경우 5번째 늑간 중앙선에서 가장 잘 들리며, S1 심음이 가장 잘 들리는 곳은 심첨부입니다. 7세 미만 아동의 경우 3번째 늑간에서, 7세 이상 아동의 경우 4번째 늑간에서 가장 잘 들립니다. 환자는 10-15도 상체 거상 자세로 누워있어야 합니다. 심잡음이 들리는 경우 왼쪽 측면으로 기울여 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심음이 잘 들리지 않는 경우 환자에게 앞으로 기울여 앉거나 왼쪽으로 누워있게 하면 심장이 가슴벽에 더 가까워져 청진하기 좋습니다. 2. Atrial fibrillation & fl...2025.05.05
-
부정맥 보고서2025.01.121.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장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부정맥의 원인은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혼합장애 등이 있으며, 동심방결절, 심방, 방실접합부, 심실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증상으로는 불규칙한 맥박, 흉부 통증, 어지러움, 실신 등이 있다. 부정맥의 치료로는 약물 투여, 인공 심장박동조율기 사용, 전기충격, 부정맥 절제술 등이 있다. 1.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의 정상적인 리듬이 깨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심장이 규칙적으로 뛰지 않고 불규칙하게 뛰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정맥은 다양한 원...2025.01.12
-
A+ AF케이스, 심방세동케이스(간호과정5, 간호사정, 진단검사결과, 근거 등)2025.04.271. Atrial Fibrillation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대상자의 주증상인 호흡곤란은 Atrial Fibrillation으로 인한 심박출량 감소와 관련이 있다. 대상자의 V/S와 EKG monitoring을 통해 심전도 양상을 파악하고, Multaq 투여로 심장 근육에 작용하여 심장의 수축 간격을 연장하고 심장 박동수를 감소시켜 부정맥을 치료하고자 하였다. 또한 불안 완화 중재와 함께 퇴원 후 처방된 약물 복용의 중요성을 교육하였다. 2. 호흡곤란 대상자의 주증상인 호흡곤란은 Atrial Fibrillation으로 인한 심박...2025.04.27
-
생리학 심장, 호흡, 소화 정리2025.01.221. 소화계의 구조 소화계는 입에서 시작하여 항문에 이르는 약 8~9m의 긴 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구조로는 온쓸개관, 작은창자, 큰창자 등이 있으며, 위장관벽은 장막층, 근육층, 점막밑층, 점막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신경과 내재신경이 분포하여 위장관의 운동과 분비를 조절한다. 2. 소화 및 흡수 소화 과정에서 입안에서는 씹기와 침 분비가 일어나고, 인두와 식도에서는 삼킴 반사가 발생한다. 위에서는 위산 분비와 꿈틀운동이 일어나며, 이자와 간에서는 소화효소와 쓸개즙이 분비된다. 작은창자에서는 소화와 흡수가 이루어지고, 큰창...2025.01.22
-
부정맥 및 천식 치료 약물2025.01.051. 부정맥 치료 약물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미오다론은 상심실 및 심실성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며, 부작용으로 서맥, 심장차단,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있습니다. 도로네다론은 발작성 심실성 빈맥, 심방조동, 심방세동 치료에 사용됩니다. 리도카인은 심실세동 조절 및 예방에 효과적이며, 프로카인아미드는 심실부정맥 및 심방세동 치료에 사용됩니다. 프로프란놀롤은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며, 퀴니딘은 심방 및 심실 빈맥 치료에 사용됩니다. 2. 천식 치료 약물 천식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은 다음...2025.01.05
-
심정지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의 평가 및 응급치료2025.05.071. 서맥의 치료 서맥의 치료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분당 50회 이하의 서맥 환자에 대한 혈역학적 안정성 확인과 약물 치료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아트로핀, 도파민, 에피네프린 등의 약물 투여 용량과 주요 부작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심장박동조율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하거나 아트로핀에 반응하지 않는 서맥 환자에 대한 경피 심장박동조율술과 경정맥 심박동조율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3. 빈맥 치료 분당 150회 이상의 빈맥 환자에 대한 치료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심실상성 빈맥과 심실성 빈맥을 구분하고, 각각의 치료 ...2025.05.07
-
HIV 전염 예방 비밀유지와 간호사 의무의 충돌2025.01.211.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박동장애라고 하며,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입니다. 심근의 전기적 전도와 흥분 전달 장애, 충분한 혈액을 공급받지 못하는 허혈상태로 인해 초래되고 흉통,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느끼기도 합니다. 2. 고혈압 고혈압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뇌심혈관질환과 같은 주요 사망 질환의 중요한 위험인자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고혈압 조절은 보정된 혈압 수치를 이용 140/90mmHg를 기준으로 고혈압 조절군과 비조절군으로 분류 되고 있습니다. 고혈압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는 가족력, ...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