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개
-
[유치산업보호론] 유치산업의 보호2025.01.181. 유치산업의 개념 유치산업(infant industry)이라고 할 때, 그것은 대체로 신흥국의 신흥산업, 특히 제조공업부문을 말한다. 유치산업의 요건을 이론적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그것은 현재 비교열위에 있는 산업이다. 둘째로, 유치산업은 비교적으로뿐만 아니라 절대적으로도 열위에 있는 산업이라고 해석된다. 셋째로, 유치산업은 생산성이 상승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벌지 않는 장래에 비교우위로 전환될 것이라고 기대되는산업이 아니면 안 된다. 2. 밀-바스테이블 검증 유치산업을 보호하는 것은 적어도 당분간은 생산효...2025.01.18
-
무역결제론: 외국환의 개념과 국제무역 환경2025.11.121. 세계화 퇴보와 보호주의 최근 세계화가 퇴보하고 자국 보호주의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일본의 한국 수출 규제 등이 사례이다. 이러한 보호주의 경향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 적자 해소를 위해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글로벌 기업들의 국내 회귀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2. 글로벌 기업의 해외 생산 기지 전략 글로벌 기업들은 값싼 토지, 원자재비, 인건비를 추구하여 개발도상국에 제조 공장을 이전하고 있다. 애플의 아이폰이 중국의 폭스콘에서 생...2025.11.12
-
강대국의 이중성과 공정한 무역 질서 구축2025.11.171. 영국의 자유무역 이중성 영국은 자유방임 경제국가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19세기에 45% 이상의 높은 관세율을 유지했다. 영국은 식민지에 대해 선진 제조업을 금지하고, 인도산 면직물 캘리코 수입을 금지하며, 식민지의 외부 수출을 봉쇄하는 등 보호주의 정책을 펼쳤다. 동시에 1차 산업을 장려하는 수출 보조금과 수입세 폐지 정책으로 식민지를 1차 산업에 종속시키고 자신은 하이테크 산업의 수익성을 추구했다. 2. 미국의 보호주의 모순 미국은 해밀턴 재무장관의 유치산업 보호론을 채택하여 수출 금지령, 관세 리베이트, 특허 부여 등...2025.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