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개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 형태 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를 가르쳐야 하는지 알아봅시다.2025.01.231. '-지 말다' '-지 말다'는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하는 표현입니다. 의미 정보로는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며, 행위의 금지를 나타냅니다. 형태 정보로는 동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유무와 상관없이 '-지 말다'로 사용되며, 주로 '-지 마세요' 또는 '-지 마십시오'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제약 정보로는 형용사와 결합하지 않으며, 주로 명령문과 청유문에만 사용됩니다. 유사 문법 표현으로는 '-지 못하다', '-지 않다'가 있습니다. 교수 방법으로는 학습자와 함께 예문을 만들어 말하기와 쓰기 연습을 하고, 듣기 ...2025.01.23
-
Should Have PP. 표현을 배울 수 있는 팝송 학습지2025.01.231. Should Have 표현 과거에 그렇게 했어야 했는지 하지 못한 아쉬움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문법 표현입니다. 구어에서는 should've 형태로 더 많이 쓰입니다. 2. Never + 과거 분사 절대 ~를 해 본 적이 없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You've never heard of ~'는 '넌 ~를 절대 들어본 적이 없다'는 뜻입니다. 3. Have you ever + 과거 분사 ~를 해 본 적이 있습니까?라는 의미로, ever를 사용하여 한 번이라도 그런 경험이 있었는지 강조합니다. 4. Would you ...2025.01.23
-
한국어 문법 표현의 이해와 교육 방법2025.01.041. 부정 표현 '-지 않다' '-지 않다'는 한국어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되는 부정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긍정문을 부정문으로 바꾸는 기능을 하며, 문장의 뜻을 완전히 반대로 만듭니다. '-지 않다'의 형태통사적 특성은 문장의 주어와 시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다'는 '하지 않다'로, '가다'는 '가지 않다'로 변환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어의 일관된 문법 규칙을 따릅니다. 학습자들은 듣기와 말하기 활동을 통해 이 문법 표현을 연습할 수 있습니다. 2. 사동 표현 '-게 하다' 사동 표현 '-게 하다'는 누...2025.01.04
-
[한국어교원2급]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교육론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들어 어떤 정보를 가르쳐야하는지 기술2025.01.181. -게 하다 '-게 하다'는 사동의 뜻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동사/형용사/명사/부사/형용사/분사/명령형 동사] + '-게 하다'의 형태를 가진다. 이 표현에서 '-게'는 동작의 방향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보조사이고, '하다'는 동작을 하는 동사이다. '-게 하다'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등 다양한 문장 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존대와 평어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게 되다'와 '-게 하다'는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전자는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결과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고, 후자는 의도적으로 특정한 상태나 결과를...2025.01.18
-
한국어 문법 항목의 등급화를 위한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 기준에 대하여2025.01.141. 문법 항목 등급화의 필요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는 모어 화자를 위한 문법 체계가 아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체계가 필요하다. 문법은 단어, 구, 절과 같은 문장의 단위와 문장 단위들의 결합 규칙이며,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문장과 문법 구조를 정확하게 습득하고 활용해야 한다. 표준화된 문법 체계와 함께 기본 문법 항목의 선정이 중요하다. 2. 문법 항목의 선정 및 배열 기준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난이도와 사용 빈도를 문법 항목의 선정 및 배열 주요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 외에도 일반화 가능성, 학...202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