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개
-
DDA협상2025.01.221. DDA협상 개요 2001년 11월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제4차 WTO 각료회의에서 출범한 세계무역기구(WTO) 도하개발아젠다 협상(DDA)은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에 이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아홉 번째 시작된 9차 다자 간 무역협상이며, WTO 출범 이후 첫 번째 다자 간 무역협상이다. 'DDA'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앞선 협상들과 달리 개도국의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개도국들의 주장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2. DDA협상 출범 배경 UR협상에서 농업, 서비스뿐만 아니라 공산품분야에서도 무역장벽이 남아있고, UR협상 이후...2025.01.22
-
WTO(세계무역기구)2025.01.221. WTO(세계무역기구)의 협상 배경 WTO(세계무역기구)는 우루과이라운드 다자 간 무역협상의 타결로 마련된 세계무역기구 설립을 위한 마라케시협정(Marrakesh Agreement Establishing The World Trade Organization)에 근거하여 1995년 1월 1일 발족되었다. 기존의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을 흡수, 통합해 명실 공히 세계무역질서를 세우고 UR협정의 이행을 감시하는 역할을 하는 국제기구이다. 그 협상 배경은 국제무역기구(ITO)의 실패, GATT 체제의 문제점, 다자 간 ...2025.01.22
-
GATT, UR2025.01.281. GATT의 설립 및 활동 GATT는 1948년 1월 1일 협정문이 발효되었으며, 자유무역을 통한 세계교역 증대와 인류의 공존 및 공영, 후생 증진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았다. GATT는 관세장벽 경감, 비관세장벽 규범 마련, 개도국 우대조치 등을 통해 자유공정무역과 세계무역 확대에 기여했지만, ITO 설립 실패로 인한 한계와 GATT 체제의 약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2. UR의 추진 배경 1960년대 이후 선진국 경제 성장 둔화, 신흥공업국 부상, 세계경제의 블록화 등으로 GATT 체제가 약화되면서 새로운 국제무역체제의 필요...2025.01.28
-
국제표준화2025.01.181. 세계적 표준화 WTO 체제 출범 이후 국제 무역 환경의 주요한 변화로 세계적 표준화가 대두되었다. 그린라운드, 블루라운드, 경쟁라운드 등에서 표준화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선진국들은 환경권, 노동권, 경제 정책 등의 문제를 무역과 연계하려는 움직임을 강화하고 있다. 2. 그린라운드 1991년 미국 상원의원 막스에 의해 처음 사용된 용어로, 지구 환경 문제를 국제 무역과 연계하는 것이다. 각국이 환경 규제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위반한 제품의 수입을 금지하며, 국제 환경 협약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무역 제재를 가하는 것이...2025.01.18
-
새로운 무역 이슈2025.01.191. UR 협상 UR 협상이 1993년 12월 15일 타결되면서 새로운 다자간무역협상(뉴라운드)이 제시되었다. 이 뉴라운드는 세계무역 확대에 큰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뉴라운드는 선진국의 이해가 반영되어 환경, 노동, 경쟁정책, 기술, 투자 등 각종 기준을 국제적으로 일치시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동일한 조건에서 국제경쟁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2. 환경라운드(GR) 환경라운드(GR)는 국제적 환경기준에 적합한 상품만을 교역대상 품목으로 포함시키려는 국제적 노력으로, 오존층 파괴물질 규제, 이산화탄소 배출규제, 폐기물처리 등 관...2025.01.19
-
인터넷무역2025.01.211. 인터넷무역의 의의 기존 무역이 전화와 팩스, 우편을 이용한 무역이라면 인터넷무역이란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무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무역거래가 일어나는 것도 기존의 무역과 인터넷 무역의 차이점 중의 하나이다. 인터넷무역은 인터넷 전용선을 가진 컴퓨터 한 대만 있어도 시작할 수 있으므로 아주 작은 자본을 가지고서도 창업을 할 수 있다. 2. 인터넷무역의 과제 1/ 인터넷으로 제반 무역업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수출입업체나 공급업자를 검색 등의 마케팅 기법으로 주로 사용되는 차원을 넘...2025.01.21
-
무역학의 발전과 연구 범위2025.01.291. 무역학의 발전 무역거래가 활성화되고 무역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면 클수록 무역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국가에 따라 무역의 중요도가 다르고 거래과정에서도 특수성의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무역학에 대한 관점도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무역이 경제발전에 큰 역할을 하지 못했던 국가의 경우 무역학이 독립 학과나 독립 분야로 개설된 곳은 거의 없으며, 대신 경제학과, 경영학과, 법과대학원 등에서 부분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반면에 한국과 일본처럼 무역이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들에 있어서는 무역학과가 ...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