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중간언어의 개념과 특징, 최종단계에서 학습자 도달 수준 차이 분석2025.01.221. 중간언어의 개념과 특징 중간언어(inter-language)는 학습자가 제2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언어체계를 의미한다. 중간언어는 학습자의 모국어와 목표어 사이에 존재하며, 학습자가 목표어 규칙을 과잉 적용하거나 모국어 전이, 학습 전략 등을 통해 형성된다. 중간언어는 학습자의 모국어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며, 모국어와 목표어의 음운체계 차이로 인해 발음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2. 최종단계에서 학습자 도달 수준 차이 최종단계에서 학습자의 도달 수준 차이는 개인적 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에 의해 나타난다. ...2025.01.22
-
특정 언어권에서 발음할 수 없는 한국어의 자음과 이를 교육시키는 방안2025.05.081. 의사소통과 발음교육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목표는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이며 특히 말하기와 듣기의 비중이 높다. 발음의 정확성은 말하기 능력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효과적인 발음 교육이 필요하다. 2. 한국어 자음과 모음 한국어 자음은 19개이며 입술소리, 혀끝소리, 구개음, 연구개음, 목청소리 등으로 분류된다. 모음은 단모음 10개와 이중모음 11개로 구성된다. 자음과 모음의 조음 위치와 방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3. 자음 발음의 오류 한국어 학습자들은 첫소리 자음, 예사소리와 된소리/거센소리 구별, 받침소리...2025.05.08
-
화석화를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2025.01.191. 한국어 조사 '이/가'와 '은/는'의 사용 오류 한국어 조사인 '이/가'와 '은/는'은 가장 기본적인 문법 요소이며 한국어 학습의 초기 단계부터 학습자에게 가르치는 항목이다. 그러나 '이/가'와 '은/는'는 초급학습자가 완전히 이해하기에는 다소 복잡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어 교과서는 이러한 부분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에 초급학습자가 '이/가'와 '은/는'를 사용할 때 교체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오류의 화석화는 이후 학습 단계에서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문은 초급학...2025.01.19
-
외국인 학습자들의 입장에서 한국어의 어려운 발음 사례2025.01.021.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외국인 학습자들은 자신의 모국어와 한국어의 발음 차이로 인해 다양한 오류를 범하게 됩니다. 영어권, 일본어권,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겪는 자음, 모음, 초분절음 발음 오류 사례를 살펴보면, 영어권 학습자는 격음과 평음, 겹받침 발음에서, 일본어권 학습자는 격음과 평음, 받침 발음에서, 중국어권 학습자는 평음과 격음, 받침 발음에서 어려움을 겪습니다. 또한 모음 발음에서도 모국어와의 차이로 인한 오류가 나타납니다. 이러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모국어와 한국어의 음운 체계 차이를 이해하고...2025.01.02
-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분석2025.01.171.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최근 필리핀, 베트남 인구들 이외 최근 일본, 대만에서도 한류 콘텐츠를 접하고, 한국에 여행을 오거나 학문을 위해 떠나오는 이들이 크게 늘었다. 주변 대학가에서도 대만 학생들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는데, 함께 토익 스터디를 하다가 만나게 된 친한 대만 친구들의 음운에 의한 오류 문제들을 관찰해보고, 그 원인을 분석해보도록 한다. 외국인 학습자가 발음 오류를 발생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그 중 대부분은 학습자의 모국어와 한국어의 음운 체계상 차이로 인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모국어 ...2025.01.17
-
한국어 단모음의 IPA 분류와 발음 교육2025.05.011. 한국어 단모음의 분류 한국어의 단모음은 혀의 높낮이에 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 전설모음, 후설모음으로, 입술의 모양에 따라 원순모음, 평순모음으로 분류할 수 있다. IPA 모음표를 사용하여 한국어 단모음 10개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전설평순고모음 [i], 전설원순고모음 [y], 후설평순고모음 [ɨ], 후설원순고모음 [u], 전설평순중모음 [e], 전설원순중모음 [ø], 후설평순중모음 [ə], 후설원순중모음 [o], 전설평순저모음 [ɛ], 후설평순저모음 [a]. 2. 한국어 단모음 체계의 문...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