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개
-
말기 유방암 환자의 통증 관리 보건 교육 계획2025.01.131. 말기 암 환자의 통증 관리 말기 암 환자의 통증 관리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통증 사정 방법과 진통제 사용법, 비약물적 요법 등을 교육한다. 통증 조절을 위해 적절한 진통제 선택, 규칙적인 복용, 부작용 관리 등의 원칙을 설명한다. 2.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 방법과 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서방형과 속효성 마약성 진통제의 차이, 부작용 관리 방법 등을 교육한다. 3. 통증 관리를 위한 비약물적 요법 진통제와 함께 활용할 수 있는 비약물적 요법으로 심상요법, 마사지, 냉/온찜질, 휴식, 심호흡 및 이완요법 등...2025.01.13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마약 및 항 정신성 약물의 이해 및 작용기전과 부작용 관찰2025.05.091. 마약 및 항 정신성 약물의 이해 마약성 진통제는 척수의 흑질인 아교질(substantia gelatinosa), 뇌간, 망상체, 시상, 그리고 변연계내의 통증성 자극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각 부위에 있는 아편계 수용체들은 자율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과 상호작용하여 통증성 자극에 대한 반응을 변동시킨다. 약물의 마약성 작용은 동통의 완화, 진정, 도취감, 정신의 혼탁, 호흡 억제, 축동, 연동운동의 감소, 기침 반사의 억제, 기립성 저혈압 등을 통해 나타난다. 2. 마약성 진통제의 작용기전과 부작용 마약성 진통제의 부작...2025.05.09
-
실제 임상에서 사용하는 중요 기본 약물2025.01.131. 마약성 진통제 마약성 진통제인 morphine과 pethidine은 중추신경 억제로 인해 호흡 저하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morphine은 po, sc, iv 투여가 가능하며, pethidine은 sc or im, iv 투여 시 천천히 주입해야 합니다. 2. 진정제 진정제인 midazolam은 수술이나 처치 전, 수면 장애 시 효과적이지만 빠르게 iv 주입하거나 과량 투여 시 호흡 억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3. 진통 및 해열제 진통 및 해열제인 propacetamol은 ...2025.01.13
-
응급실 약물보고서2025.01.241. 케토롤락주(ketorolac) 해열, 진통, 소염제로 중등도 및 중증의 급성통증 치료에 사용됩니다. 성인은 근육주사 또는 정맥주사로 초회용량 10 mg을 투여하며, 2세 이상 소아는 체중 kg당 0.5~1.0 mg을 단회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구역, 위장장애, 설사, 부종, 가려움, 두통, 발한, 졸음이 있으며, 소화성궤양 또는 위장관 궤양 환자는 금기됩니다. 2. 파세타주(propacetamolHydrochlonde) 해열, 진통, 소염제로 외과 수술 후 통증 및 발열 치료에 사용됩니다. 성인은 1회 1~2 g을 4시간 ...2025.01.24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고위험,고주의 약물의 관리2025.05.091. 고위험 의약품 관리 고위험 의약품은 사용 오류 시 환자와 직원의 안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잠재적 위험성이 높은 의약품입니다. 이러한 의약품은 처방, 조제, 투약 시 오류 가능성이 높아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보관 시에는 라벨링하여 분리 보관하고, 약품명 라벨 표기를 차별화하거나 스티커를 이용하여 처방, 조제, 투약 시 한 번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또한 냉장 보관약은 전용 냉장고에 보관하고, 차광 보관약은 차광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2. 고농도 전해질 안전관리 고농도 전해질 제제(황산마그네슘, 염화칼륨, 염...2025.05.09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통증관리2025.05.091. 통증관리 통증 관리는 암 환자, 수술 환자 및 모든 환자의 통증을 존중하고 임상 근거에 기반하여 대상자의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입니다. 통증 관리 과정에는 간호 진단, 약물 중재, 비약물 중재, 통증 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간호 진단은 급성 통증 또는 만성 통증으로 수립되며, 약물 중재는 WHO 3단계 진통제 사다리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됩니다. 비약물 중재에는 마사지, 온냉요법, 심호흡 및 이완요법 등이 있으며, 통증 교육을 통해 대상자와 보호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2. 간호 진단 간호 진단은 손상 요인(생물학적, ...2025.05.09
-
마약성 진통제 오남용 현황과 배경 및 해결방안2025.05.131. 마약성 진통제 유형과 부작용 마약성 진통제에는 약한 마약성 진통제와 강한 마약성 진통제가 있습니다. 약한 마약성 진통제에는 코데인, 트라마돌 등이 있고 강한 마약성 진통제에는 모르핀, 펜타닐, 옥시코돈, 하이드로몰폰 등이 있습니다. 마약성 진통제를 장기간 사용하면 내성과 신체적 의존성이 생길 수 있지만, 이를 마약 중독과 혼동해서는 안됩니다. 마약성 진통제는 부작용으로 변비, 구역/구토, 진정/졸림, 호흡 억제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마약성 진통제 오남용 현황 마약성 진통제 처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펜타닐의 경...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