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3개
-
말하기 능력 분석: 화법의 맛과 요소2025.11.161. 화법 분석의 기준 말하기 능력을 분석하기 위해 내용, 형식, 태도의 세 가지 기준을 설정했다. 내용은 화제의 흥미성과 범위, 형식은 사용하는 어휘와 문장 구조, 태도는 대화 상황에서의 외적 행동과 심리적 자세를 포함한다. 이 기준들은 관계적 말하기, 즉 일상생활에서의 대화를 중심으로 적용되며, 학술적 말하기보다는 친구나 지인과의 일상적 대화에 초점을 맞춘다. 2. 부정적 화법의 특징 말을 못하는 화자의 특징으로는 이기적인 화제 선정, 불충분한 문장 성분 사용, 불안정한 말하기 태도가 있다. 자신의 관심사만 이야기하고 상대의 반...2025.11.16
-
9가지 화용론의 원리와 각 원리가 적용된 예2025.01.191. 협력의 원리와 적합성, 문법성의 원리 협력의 원리는 화자와 청자의 대화에서 논리적 함축이 아니더라도 둘이 협력할 경우에 의미 전달이 가능하다는 원리를 말하며, 예를 들어 '이 주제는 시험에 안 나온다고 하셨어'라고 친구가 말한다면 청자는 '이 주제는 중간시험에 안 나온다고 교수님이 말씀하셨어'로 공유하고 있는 인지 환경에 따라 이해할 것이다. 적합성의 원리는 모든 발화, 즉 비록 우리가 문법을 준수하며 대화하지 않을지라도 나름대로 엄연한 규칙이 존재한다는 화용적 원리이다. 예를 들어 '날고 있는 비행기는 위험할 수 있다.'라는...2025.01.19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 평가 문항 분석 및 개선방안2025.01.121. TOPIK 듣기 평가 문항 분석 TOPIK 듣기 평가 문항 중 문제가 있는 10개 문항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대화의 흐름이 자연스럽지 않거나 대화 배경이 다양하지 않은 문항들을 검토하였으며, 실생활을 반영하지 못하는 대화 내용을 개선할 필요성을 제안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흥미를 높이고 실제 듣기 이해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1. TOPIK 듣기 평가 문항 분석 TOPIK 듣기 평가 문항 분석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이 평가...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