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개
-
대조분석, 오류분석, 중간언어 가설의 차이점과 공통점2025.04.271. 대조분석 대조분석 가설에는 전이와 간섭이 있다. 전이는 모국어가 학습대상 언어의 습득에 미치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말하며, 간섭은 부정적 전이를 의미한다. 대조분석 가설에서는 학습의 장애 요인이 되는 간섭을 중요하게 다룬다. 언어 간 간섭은 모국어에 없는 요소로 인한 학습의 어려움이며, 언어 내 간섭은 이미 학습한 외국어의 규칙이 다음 학습에 장애가 되는 경우를 말한다. 대조분석 가설은 제1언어와 제2언어 간의 유사성 및 상이성을 발견함으로써 외국어 교수법 개선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였으나, 1970년대 이후 한계가 드러...2025.04.27
-
특정 언어권에서 발음할 수 없는 한국어의 자음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이를 어떻게 교육시킬지 그 방안을2025.05.141. 한국어 자음 /ㄹ/과 중국어의 대조 분석 한국어 자음 /ㄹ/은 자음 중 유음에 속하며 한국어의 유음은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첫째는 혀의 끝을 윗잇몸에 대서 기운데 쪽의 숨 통로를 막고 양쪽으로 기류를 내보내는 소리인 설측음으로 이러한 경우 /ㄹ/은 받침이 된다. 다른 하나는 혀의 끝을 잇몸에 한 번 또는 연속적으로 대거나 떨어뜨리거나 하며 내는 소리로 이는 설타음, 탄설음이라고 한다. 이 경우 모음 앞의 자음으로 실현된다. 중국어는 /I/이 한국어 탄설음과 대응하는 데 단지 한국어 /ㄹ/은 중국어보다 잇몸에 대었다가 떨...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