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5개
-
성인간호학 ventilation 보고서(호흡기 모드 다있음)2025.01.241. 기계환기(mechanical ventilation) 기계환기(mechanical ventilation)란 산소가 풍부한 공기를 기계적으로 환자의 폐 내로 이동시키는 과정으로 환자가 독립적으로 자발호흡을 시작하는 능력이 생길 때 까지 그에 대한 지지간호가 필요하다. 적응증으로는 FIO2 60% 이상 제공 시 SaO2가 90% 이상 넘지 않을 때, ABGA상의 PCO2 농도가 50mmHg 이상이면서 pH가 7.30 이하일 때, 그리고 self respiration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등이 있다. 2. 산소전달체계 산소전달체계는 ...2025.01.24
-
성인간호학실습 워드클래스 - Ventilator의 목적, 적응증, 종류와 기전2025.01.101. 기계환기(mechanical ventilation) 기계환기는 산소가 풍부한 공기를 기계적으로 환자의 폐 내로 이동시키는 과정이다. 환자가 독립적으로 자발호흡을 시작하는 능력이 생길 때까지 그에 대한 지지 간호가 필요하다. 2. 기계환기의 목적 기계환기의 목적은 폐포 환기를 유지 및 개선시키기 위함, 호흡운동의 부담을 줄여 주고 심근의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함, 동맥혈 산소화를 유지 및 개선시키기 위함, 호흡에 드는 노력을 감소시키고 안위증진을 도모하기 위함, 호흡근육의 긴장도를 증가시키고 폐순환을 증가시키기 위함, 적절한 가습...2025.01.10
-
ICU 폐렴 환자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2025.11.121. 가스교환장애 85세 여성 폐렴 환자로 염증으로 인한 환기감소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진단. 양측 폐에 GGO, consolidation 확인되었으며 ABGA상 respiratory acidosis 소견(pH 7.21, pCO2 65, pO2 58). E-tube 삽관 후 ventilator PC mode(PIP 16, PEEP 8, RR 18, FiO2 60%)로 유지 중. 폐렴으로 인한 객담 배출로 2시간마다 suction 시행. 간호중재로 토닥이, 반좌위, 기관지확장제 투여, suction 등 시행하여 3월 30일 SpO2 ...2025.11.12
-
지주막하출혈 환자의 간호과정: 기도청결 및 뇌조직 관류2025.11.151.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SAH) 45세 남성 환자가 두통과 의식변화로 응급실 내원. CT 검사에서 좌측 전교통동맥(ACA a-com) 부위에 약 5mm 크기의 뇌동맥류와 유의한 혈관경련이 관찰됨. GDC 색전술, EVD 및 뇌실내 카테터 삽입 시행. 입원 후 의식수준은 기면에서 혼수로 악화되었으나 진정제 감량 후 점진적 호전 보임. 혈압 관리(목표 150-160mmHg)와 두개내압 강하제 투여로 신경학적 상태 안정화. 2.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진단 의식저하로 효과적인 객담배출 곤란하며 과량의...2025.11.15
-
신생아집중치료실(NICU) 극소 미숙아 케이스 스터디2025.11.151. 호흡곤란증후군(RDS)과 가스교환장애 재태기간 23주 4일의 극소 미숙아로 폐 계면활성제 부족으로 인한 호흡곤란증후군이 주진단이다. ABGA 검사에서 pCO2 상승, pO2 저하, pH 저하로 대사성 산증이 확인되었다. 흉부 함몰, 청색증, 비익확장 등의 호흡곤란 증상이 관찰되었으며, 고주파 진동환기(HFOV)와 기계환기를 통한 호흡 지원이 필요하다. 폐부종도 동반되어 있어 이뇨제 투여와 수분 제한이 시행되었다. 2. 심박출량 감소와 순환계 합병증 미성숙한 심장 기능과 심장 기형(심방중격결손, 동맥관개존)으로 인해 심박출량이 ...2025.11.15
-
ARDS 케이스2025.04.271. ARDS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급성호흡곤란증후군) ARDS는 폐 손상이나 다양한 중증 질환으로 인해 비심인성 폐부종이 유발되는 급성 진행성 폐질환으로, 폐의 기능이 수일 내에 저하되어 동맥혈 내 산소분압이 떨어지거나 이산화탄소가 축적되는 상태이다. 사망률은 50~80%로 높으며 ARDS 예방은 ARDS 고위험 대상자의 조기발견이 중요하다. 원인은 폐에 직접 손상을 가져오는 질환이나 전신작용으로 폐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이 있으며, 흔히 관찰되는 원인은 패혈증, 외상, 흡인이다. 병태생...2025.04.27
-
미숙아 호흡곤란증후군(RDS) 간호사례 연구2025.11.111.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RDS) 미성숙한 폐로 인해 폐포-모세혈관막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제거가 결핍되는 질환이다. 본 사례의 27주 6일 극저체중 신생아는 RDS, PDA, 무호흡증을 동반하였으며, 출생 시 APGAR score 2점으로 CPR 시행 후 intubation을 통한 기계환기(SIMV+PRVC)로 치료를 시작하였다. 이후 weaning 과정을 거쳐 NCAP, HFNC, incubator 산소공급으로 단계적으로 진행되었으며, 혈액가스분석검사를 통해 산소화 상태를 모니터링하였다. 2. 극저체중 신생아(ELBWI) 간호...2025.11.11
-
호흡부전 respiration failure2025.05.131. Respiratory Failure 호흡부전은 호흡계의 필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의 기능 장애로 인한 부적절한 가스 교환 증후군입니다. PaO2가 60mmHg 미만이거나 PaCO2가 50mmHg를 초과하는 경우 호흡부전으로 정의됩니다. 호흡부전에는 저산소성 호흡부전과 고탄산혈증성 호흡부전의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2. Indications for Mechanical Ventilation 기계 환기가 필요한 경우는 심폐 정지, 빈호흡 또는 서호흡과 호흡 피로, 난치성 저산소혈증, 의식 저하로 인한 기도 보호 능력 상실, ...2025.05.13
-
Mode of Mechanical ventilation, 인공호흡기 모드2025.05.141. CMV (Continuous Mandatory Ventilation) CMV는 흡기 시 목표하는 기도내압을 정하여 정해진 흡기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기도내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환기 모드입니다. 일회 환기량(tidal volume)은 일정하지 않지만, 압력에 의한 폐 손상(barotrauma)을 예방할 수 있어 ARDS 환자에게 유리합니다. 2. VCV (Volume Controlled Ventilation) VCV는 흡기 시 목표하는 일회 환기량을 정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일정한 유량으로 설정된 용량을 전달하는 환기 모드입니...2025.05.14
-
인공호흡기 문헌고찰 및 간호2025.11.161. 인공호흡기 정의 및 분류 기계환기는 산소가 풍부한 공기를 기계적으로 환자의 폐 내로 이동시키는 과정입니다. 침습적 방법은 기관삽관과 기관절개관을 통해 기도 내로 양압을 적용하여 환기시키며, 비침습적 방법은 의식이 있는 환자에게 양압을 가해 호흡을 보조합니다. 침습적 기계환기는 폐 조직 손상 위험이 있어 가능한 한 빨리 제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2. 인공호흡기 모드 및 설정 용량 조절 환기(VC)는 설정된 환기량을 폐로 이동시키며 ARDS 환자에 적용되지만 폐손상 위험이 있습니다. 압력 조절 환기(PC)는 설정된 압력이 기도에...2025.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