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소설의 이론: 총체성의 개념과 서사 양식의 변화2025.11.131. 전근대적 총체성 루카치의 이론에 따르면 고대 그리스는 개인의 내면과 세계의 절대적 규범이 완벽하게 통일된 사회였다. 사회 구성원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삶의 방향과 운명을 인식하고 의심 없이 수용하며 살았다. 이러한 굳건한 총체성은 호메로스의 서사시나 비극 같은 당대 서사 문학에 고스란히 반영되어, 절대적 가치를 재확인하고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2. 근대적 총체성과 소설의 탄생 근대에 이르며 더 이상 모든 사회 구성원이 동일한 절대적 가치를 지키며 살 수 없게 되었고, 총체성이 붕괴되었다. 소설은 이렇게 삶의 좌표와 방향...2025.11.13
-
책과 독서의 문화사 서평 - 역사학의 위기와 대중화2025.11.181. 인쇄술의 역사와 근대성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은 15세기 후반 유럽에서 제1차 커뮤니케이션 혁명을 일으켰다. 인쇄술의 '확산', '표준화', '보존', '고정성'이라는 특성은 대중 독서 전성시대를 이끌었으며, 지적 재산권의 법률화와 근대적 독자의 탄생을 동반했다. 이는 대의제 민주주의와 시장 자본주의 같은 근대성을 밑받침했으나, 동시에 획일적 소비자 창출이라는 부정적 측면도 존재한다. 2. 아날학파와 책·독서의 역사 연구 뤼시엥 페브르는 1958년 '책의 출현'을 출판하여 책과 독서의 역사 분야를 개척했다. 샤르티에는 아날학파 4...2025.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