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1개
-
신장 및 비뇨기계 정리2024.12.311. 신장 및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 비뇨기계는 두 개의 신장, 두 개의 요관, 하나의 방광, 하나의 요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신장에서 소변을 생성하면 방광은 소변을 모으는 창고 역할을 하고, 요관과 요도는 소변을 흘러 보내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신장의 일차적 기능은 세포외액의 양과 구성성분을 조절하며, 신체로부터 노폐물을 배설하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혈압조절, 적혈구생성인자(erythropoietin)의 생성, vit D의 활성화 및 산-염기 균형을 위한 조절작용 등의 기능이 있습니다. 신장은 제 12흉추와 제 3요추 수준에서...2024.12.31
-
심폐소생술2025.01.281. 심폐소생술 교육 심장의 박동이 정지되어 발생하는 상태로, 조직으로의 혈류가 중단되고 산소와 영양소의 공급이 중단되어 세포가 괴사되고 각 기관의 기능이 비가역적으로 상실되어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심폐소생술의 중요한 2가지 요소는 순환(심장을 비롯한 여러 장기에 혈액 공급)과 호흡(산소 공급 및 이산화탄소 배출)입니다. 각 단계별 행동요령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심정지 상태에서의 심전도 리듬 구분 심정지 상태에서 관찰되는 심장리듬에는 Ventricular fibrillation, Pulseless ventricular ...2025.01.28
-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 교육자료(수업자료)2025.01.131. 심폐소생술의 필요성 우리 몸의 20분의 1에 해당하는 뇌는 전체 산소 소모량의 10분의 1을 사용하는 기관으로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불가능하고, 10분 이상 산소 공급이 안 될 경우 사망에 이르게 된다. 이때 실시되는 정확한 심폐 소생술은 뇌의 손상을 막고 정상 생활로 복귀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다. 2. 심폐소생술의 주요 단계 1) 심장 압박: 최소 100회 이상의 속도와 5cm 깊이로 빠르고 강하게 가슴압박을 30회 한다. 2) 기도 유지: 의식이 없는 사람의 경우 혀와 후두개가 기도를 막아 숨을 쉴 수가 없다. 이마를...2025.01.13
-
성인간호학2 사례보고서_위궤양 환자 간호과정2025.01.171. 위의 구조와 기능 위는 복강의 좌상부에 위치하며 식도와 연결되고 소장과 연결된다. 정상적으로 위의 길이는 약 25cm로 용적은 1500ml이며 약 4L의 음식과 수분을 보유할 수 있을만큼 확장 가능한 팽창성 기관이다. 위는 분문부, 위저부, 몸체, 유문부로 나눌 수 있으며 유문괄약근은 소장의 십이지장부분으로 위가 비워지는 것을 조절한다. 위는 음식을 저장하고, 기계적으로 잘게 부수며, 단백질 소화를 시작하고 미즙이라 불리는 진한 액체로 만든다. 위의 안쪽은 원주상피세포와 점액생산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 분비샘은 위액으로부터...2025.01.17
-
성인간호학 근골격계, 신경계 구조와 기능 및 주요 질환2025.01.201.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주요 질환인 연조직 손상과 탈구, 골절과 합병증, 어깨, 무릎, 손, 발의 장애, 염증성 장애, 대사 및 구조적 장애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신경장애 대상자 간호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주요 건강문제 및 질환인 뇌혈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퇴행성 질환, 신경근육계 질환, 뇌종양, 발작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1.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는 매우 중요한 분야입니다. 이들은 통증, 운동 제한, 일상생활 수행 능력 저하 등의 문제를 겪기 ...2025.01.20
-
심폐소생술2025.01.271. 환자의 반응 확인 환자에게 접근하기 전에 현장 상황이 안전한지 우선 확인한다. 안전하다고 판단되면 환자에게 다가가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괜찮으세요?'라고 물어본다. 의식이 있다면 대답을 하거나 움직이거나 소리를 낸다. 확인하는 동안 쓰러져 있는 환자의 머리나 목의 외상이 의심되면 손상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2. 119 신고 및 제세동기(자동심장충격기) 도움 요청 쓰러진 환자가 반응이 없으면 주변 사람에게 즉시 119에 신고해달라고 요청하고 제세동기를 가져오도록 요청한다. 환자가 반응이 없고 호...2025.01.27
-
단백질의 변성과 응집2025.01.171. 단백질의 구조 단백질은 1차, 2차, 3차, 4차 구조가 존재하며, 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한 구조가 존재한다. 단백질의 구성단위 물질은 아미노산이며, 아미노산들이 펩타이드 결합을 통해 여러 구조를 형성한다. 단백질의 구조는 매우 중요하며, 단백질이 어떤 구조를 형성하냐에 따라서 단백질이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가 결정된다. 2. 단백질의 변성과 응집 단백질의 변성은 단백질이 열, 강산, 강염기, 알코올이나 클로로폼 같은 유기 용매, 방사선, 높은 염 농도, 압력 등에 의해 원래 가지고 있던, 2차, 3차, 4차 구...2025.01.17
-
시편개요2025.01.141. 시편의 명칭 시편의 히브리 명칭은 "세페르 테힐림(찬양들의 책)" 또는 "테힐림(찬양들)"이다. 신약에서는 "비블로 프살몬: 시편의 책"이라고 한다. 헬라어로는 "프살테리온(현악기, 노래들의 수집)"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체로 "프살모이"로 되어 있다. 라틴어로는 "리베르 프살모룸(Liber Psalmorum)"으로 번역되었고, 이에서 영어 명칭 "Psalms"가 유래했다. 2. 시편의 저자 유대인 전통에 따르면 다윗이 10명의 장로들의 협조를 받아 시편을 기록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다윗이 기존의 시들을 수집한 것으로 이...2025.01.14
-
고전적 합리주의(Classical Rationalism of Architecture)에 대해서 (어거스트 페레를 중심으로)2025.01.291. 합리주의의 집성 배경 토목기술의 발전, 지나친 장식에 대한 부정, 시대적 상황 등이 합리주의 건축의 배경이 되었다. 토목 분야의 발전과 건축-토목의 결합, 장식 중심의 건축에 대한 반성, 이성에 의한 정당화 등이 합리주의 건축의 등장에 영향을 미쳤다. 2. 합리주의의 정의 합리주의자들은 건축의 본질을 구조적 형태로 보며, 건축을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것으로 간주했다. 건축물의 각 부분들은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구성되어야 하며, 전체 구조의 붕괴를 막기 위해 모든 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3. 고전적 합리주의 ...2025.01.29
-
CPR case study2025.01.221. 응급간호 (emergency care) 돌발적이고 예기치 못한 긴급 상황에 처한 대상자에게 생명을 구하고 유지하며, 질병이나 손상의 악화 방지를 막고 통증 경감을 위하여 신체적 심리적인 문제를 즉시 사정하고 진단, 치료를 제공하는 인명 구조술 2. 응급환자 분류 1)긴급 환자(red) : 위기 혹은 생명 위험 - 즉각적인 치료를 받아야 생존 가능 - 기도폐쇄, 심장마비, 심한 쇼크, 의식 불명 등 2)응급환자(yellow) : 중함 - 초기 응급치료를 받은 후 후송을 기다릴 수 있는 대상자 - 고열, 경증의 화상, 열상, 뇌졸...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