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맞벌이 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복지 대책2025.01.031. 맞벌이 가족의 현황 우리나라 전체 유배우자 가구 중 맞벌이 가구 비율은 2021년 기준 절반이 되지 않는 수준이며, 이러한 비율은 2011년부터 큰 변화가 없었다. 지역별로는 제주도가 가장 높고 서울, 부산은 상대적으로 낮다. 맞벌이 가구 중 약 12%는 주말부부 등 부부가 함께 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 나이대별로는 30대와 40대에서 맞벌이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구주 직업별로는 농림어업, 서비스, 판매 종사자에서 맞벌이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맞벌이 가구 중 미성년 자녀가 있는 경우는 약 40%로 나타났...2025.01.03
-
맞벌이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및 복지대책2025.01.211. 맞벌이가족의 특성 맞벌이가족의 주요 특성으로는 부부 모두 학력이 높고 수입이 많은 편이며, 높은 수준의 직업 기술을 가지고 있고 비슷한 가치관을 공유하고 있다. 또한 상대 배우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통제하고자 하는 욕구는 작고 상대방의 직업적 요구에 대해 이해하고 존중한다. 출산을 늦추려는 경향이 있고 주로 1명에서 2명의 자녀가 있으며, 직업적 역할과 부모역할을 위해 노력한다. 취업모는 자녀양육시간이 부족하고 충분히 자녀를 돌보지 못하는 것에 대한 죄의식을 가지고 있다. 2. 맞벌이가족의 현황 2021년 통계청 자료에 따...2025.01.21
-
가족의 기본 속성과 주요가설 및 본인 가족의 독특한 규범2025.05.121. 가족의 기본 속성과 주요가설 현대사회에서 가족은 전통적인 혈연관계뿐만 아니라 비혈연관계인 동거인까지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그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는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한 핵가족화가 가속화된 결과이다. 그러나 여전히 대다수의 사람들은 결혼을 통해 형성된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정을 이상적인 가족으로 생각한다. 가족은 구성원 간의 정서적 유대감과 사회적 결속력 강화라는 점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저출산·고령화 추세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가족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2. 본인 가족의 ...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