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8개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 설계(예비) A+2025.01.271. DMM의 내부저항 측정 DMM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여 제출하라. 1) DMM의 측정단위를 Ω으로 맞춘다. 2) DMM의 측정치를 10 Ω보다 크게 맞추고, 임의의 수십[MΩ] 정도의 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3) DMM의 측정단위를 Vdc로 바꾼다. 4) DC Power Supply 와 임의의 저항, DMM을 연결한다. 5) DMM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통해 DMM의 내부저항을 구한다. 2. RC time constant 측정 DMM의 내부저항과 2.2 μF의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RC time constant를 ...2025.01.27
-
전기회로설계실습 2장 결과보고서2025.01.201. 건전지 내부저항 측정 실험을 통해 6V 건전지의 내부저항을 1.538Ω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건전지의 내부저항은 생각보다 작은 편이어서 현실적인 회로에서 부하저항이 내부저항보다 훨씬 클 때에는 내부저항을 고려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값이었다. 2. DC Power Supply 최대 전류 설정 DC Power Supply의 최대 전류를 3A로 설정하고 10Ω 저항을 연결했을 때 전압은 1V, 전류는 0.101A가 나왔다. 최대 전류를 50mA로 변경하고 10Ω 저항을 연결했을 때는 전압은 0.5V, 전류는 0.05A로 표시되고 ...2025.01.20
-
전기회로설계실습 실습1 예비 보고서2025.01.201. 저항 측정 DMM을 이용하여 10k, 1/4, 5% 저항 30개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DMM 연결 방법, 측정 범위 설정, 측정 오차 예상 분포도 등을 다루었습니다. 2. 직류 전압 측정 6V 건전지와 DC 전원 공급기의 전압을 DMM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DMM 연결 방법과 내부 저항으로 인한 전압 강하 등을 다루었습니다. 3. 전류 측정 회로에 직렬로 DMM을 연결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전류 측정 시 DMM의 측정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점을 다루었습니다. 1. 저...2025.01.20
-
전기회로설계실습 실습7 예비보고서2025.01.201. DMM의 내부저항 측정 DMM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DMM을 저항 측정 모드로 하여 R의 값을 측정하고, DMM을 전압 측정 모드로 바꾼 후 DMM에서 측정된 전압을 통해 Rd를 구하는 것이다. 이는 voltage division 원리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2. RC time constant 측정 DMM의 내부저항과 2.2μF의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RC time constant를 측정하는 방법은 왼쪽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다. 먼저 왼쪽 스위치를 닫아 커패시터를 충전시킨 후, 왼쪽 스위치를 열고 오른쪽 스위치를 닫...2025.01.20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72025.01.171. RC 회로의 시정수 측정 이 보고서는 전기회로 설계실습의 일환으로 RC 회로의 시정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고 실험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DMM의 내부 저항 측정, RC 시정수 측정, RC 회로의 충전 및 방전 특성 관찰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실험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 RC 회로의 시정수 측정 RC 회로의 시정수 측정은 전자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시정수는 RC 회로의 과도 응답 특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회로의 동작 특성을 이해...2025.01.17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2025.01.171. 건전지의 내부저항 측정 건전지의 내부저항은 매우 작을 것으로 예상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증가할 것이다. 건전지(6V)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회로와 절차를 설계하였다. 10Ω 저항과 Pushbutton을 사용하여 측정에 의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였으며, 내부저항을 0.05Ω으로 가정하여 10Ω 저항에서의 소비전력을 계산하였다. 2. DC Power Supply 출력 특성 DC Power Supply의 Output 1의 출력전압을 1V, 최대출력전류를 10mA로 조정한 상태에서 10Ω 저항을 연결하면 최대전류인 10mA를 넘어...2025.01.17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결과보고서2025.01.171. 건전지의 출력저항 측정 이 실습에서는 건전지의 출력저항과 DMM의 입력저항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 제작, 측정하고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혔다. 실습 결과, 건전지의 내부저항은 약 1.58Ω으로 매우 작은 값이었다. 이는 실습 전에 예상했던 것과 비슷한 결과였으며, DMM으로 측정한 실제값을 대입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었다고 생각된다. 2. DMM의 입력저항 측정 이 실습에서는 건전지의 출력저항과 DMM의 입력저항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 제작, 측정하고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혔다. ...2025.01.17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2025.01.171. DMM을 이용한 접지 전압 측정 DMM의 측정모드를 교류전압 측정모드로 설정하고 측정범위를 220V보다 높게 설정한 후, 실험실 교류전원(220V) power outlet(소켓) 두 개의 접지 사이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2. 계측기 입력 저항 특성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저항은 50Ω이고, DMM의 입력저항은 10MΩ, 오실로스코프의 입력저항은 1MΩ이다. 3. DMM과 오실로스코프의 주파수 특성 비교 DMM은 RMS 값을 측정하므로 {5} over {sqrt {2}}값을 나타내고, 오실로스코프는 최대전압...2025.01.17
-
전기회로설계 및 실습_설계 실습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_결과보고서2025.01.211. 저항 측정 2-wire 측정법과 4-wire 측정법을 통해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고 실습을 통해 확인했습니다. 10 kΩ 저항을 측정한 결과 2-wire 측정법에서는 0.9%의 오차가 있었지만, 4-wire 측정법에서는 1% 이하의 오차를 보였습니다. 또한 저항 값이 낮은 경우 4-wire 측정법이 더 정확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2. 전압 측정 건전지의 양단에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한 결과 6.48V를 얻었고, 극성을 반대로 연결하면 -6.48V가 나왔습니다. DMM으로 측정한 전압 값은 4.504V로 오차가 0.09%였...2025.01.21
-
전기회로설계 및 실습_설계 실습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 측정방법설계_결과보고서2025.01.211. 계측장비 접지 상태 측정 실습에서 주로 사용하는 계측장비인 Digital Multimeter(DMM)과 Oscilloscope, Function generator의 접지 전압을 측정하고 내부 연결 상태와 입력 저항을 유추하였다. 이를 통해 계측장비의 정확한 사용법을 익혔다. 2. 교류 전원 접지 상태 측정 power outlet의 접지 단자 사이 전압을 측정하여 교류 전류의 실효값을 확인하였다. 또한 접지를 포함한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220.0V임을 확인하였다. 3. DMM과 오실로스코프의 주파수 특성 비교 DMM은 ...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