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7개
-
응급약물 및 심폐소생술 CPR 관련 PPT 컨퍼런스 자료2025.01.121. 약물 투여 경로에 따른 효과 약물의 투여 경로에 따라 생체 내에서의 효과가 달라진다. 경구 투여는 문맥순환을 거치므로 효능이 제한되지만, 설하 투여는 모세혈관으로 직접 전달되어 간대사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직장 투여는 간대사 제거율을 최소화하고, 정맥 투여는 신속한 최대 농도 도달이 가능하다. 근육 및 피하 투여는 서서히 용해되어 지속성 효과가 있으며, 흡입 투여는 기도점막을 통해 신속한 흡수가 가능하다. 2. 심폐소생술 중 약물 투여 경로 심폐소생술 중에는 혈액순환이 주로 심장과 뇌에 국한되므로 정맥 투여가 가장 이상적이다...2025.01.12
-
간호 술기- intubation, extubation, CPR, cardioversion, defibrillation2025.04.301. Intubation Intubation은 환자의 입이나 코를 통하여 기관 삽관 튜브를 삽입하여, 성대 사이의 후두를 통해서 기관에 삽입하는 방법입니다. 주요 목적은 기도의 개방성 유지, 흡인 방지, 분비물 제거 용이, 양압적 인공호흡 가능, 산소화와 환기 용이, 응급 투약 경로 확보 등입니다. 적응증으로는 상기도 폐쇄, 무호흡, 분비물 제거 비효율, 흡인 위험, 호흡 부전, 기계적 환기 요구, 전신마취 등이 있습니다. Intubation 시 준비물품으로는 laryngoscope, endotracheal tube, stylet,...2025.04.30
-
NCLEX 요약정리 (+NGN 포함) - 아동간호 Cardiovascular2025.01.061. Cardiovascular 영아 CPR 시 상완 맥박을 10초 이상 확인하지 않고, 최소 100회/분의 속도로 약 2분간 가슴압박을 실시한다. 선천성 심장 결함 중 청색증이 없는 결함(acyanotic defect)에는 빠른 호흡, 빠른 심박수, 발한, 심잡음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치료는 수술적 교정이 필요할 수 있다. 가와사키병은 전신 혈관염을 유발하는 원인 불명의 염증 상태로, 고열, 결막염, 딸기 혀, 손발 홍반 및 피부 벗겨짐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IVIG와 아스피린 치료가 필요하다. 1. Cardiovascular ...2025.01.06
-
중환자실 실습일지_2018_6일치2025.01.091. 수혈 수혈은 외상이나 수술로 인한 다량의 실혈, 용혈성 질환과 같이 혈액의 성분을 파괴하는 질환과 백혈병이나 혈우병과 같이 혈액 내 필요한 성분을 만들지 못하는 질환 등 여러 이유로 다른 사람의 혈액을 받는 치료이다. 수혈을 위해 혈액형 검사 및 항체 선별 검사, 교차 적합 시험 등을 실시한 뒤, 혈액 제제를 출고하여 환자에게 수혈한다. 수혈 부작용으로는 용혈성 수혈 부작용, 비용혈성 수혈 부작용, 수혈 전파성 감염, 이식편대숙주병 등이 있다. 2.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심정지가 발생된...2025.01.09
-
인공신장실 반영일지2025.05.061. 혈액투석 혈액투석은 만성신부전 환자들이 신장 기능이 악화되어 혈액 내에 노폐물이 많이 축적된 경우 혈액 내의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이다. 혈액투석을 하기 위해서는 동맥과 정맥을 연결한 동정맥루가 필요하며, 이는 수술적으로 만들어진다. 동정맥루에는 AVF(자가혈관)와 AVG(인조혈관)의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혈액투석 시 혈액의 응고를 막기 위해 헤파린이 사용되며, 혈액응고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생리식염수 세척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2. 투석 중 합병증 혈액투석 중 또는 후에 ...2025.05.06
-
성인간호학 실습 - ER 응급실 실습 사전학습2025.05.071. Emergency cart 약물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들의 작용기전, 용량 및 투여경로, 부작용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Atropine, Epinephrine, Sodium bicarbonate, Tropin, Cordarone, Norpine 등의 약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Emergency Kit 장비와 기구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장비와 기구들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기관내 튜브, 기도유지기, 마스크, 수액 관련 기구 등 응급처치에 필요한 다양한 장비와 기구들의 용도와 사용방법을...2025.05.07
-
vSim 브이심 Carl Shapiro 5,6 단계 (Documentation Assignments, Guided Reflection Questions)2025.04.291. 심실세동 Carl Shapiro의 경우 갑작스러운 심실세동이 발생하였다. 이는 비만, 흡연, 고혈압 등의 위험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심실세동 발생 시 신속한 CPR과 제세동기 사용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자발순환회복(ROSC)을 달성할 수 있다. ROSC 달성 후에는 지속적인 활력징후와 심장리듬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2. 응급처치 Carl Shapiro의 심실세동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필요했다. CPR과 제세동기 사용, 산소공급 등의 응급처치를 적절히 수행하여 ROSC를 달성할 수 있었다. 응급상황에서는 체계적...2025.04.29
-
A+ 성인간호학실습 CPR 자료 정리2025.01.181. 심폐소생술(CPR) 심폐소생술(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CPR)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입니다. 심정지 발생 후 4~6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시작하여 제세동과 병원 치료가 이루어질 때까지 중단 없이 계속하면 생존율을 3배까지 높일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의 방법에는 반응 확인, 119 신고, 호흡 확인, 가슴압박 30회, 인공호흡 2회 등이 포함됩니다. 전문소생술(ACLS)은 기본 소생술과 전문심장소생술 술기, 심전도 리듬 판독, 약물 투여 등...2025.01.18
-
심폐소생술2025.01.231. CPR의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정지 환자의 멈추어진 심장의 자발순환을 회복시켜 환자의 사망을 방지하는 일련의 응급처치 과정을 말합니다. 2. CPR의 목적 심폐소생술의 주된 목적은 우리 몸에 가장 기본이 되는 장기인 심장, 뇌, 그리고 그외의 장기에 산소를 공급하자는 데 있습니다. 심장마비가 발생하면 온몸에서의 혈액순환이 중단되기 때문에, 바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손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3. 최초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심장이 멎었을 때 5분 이내에 심장이 다시 뛰게 되다면 뇌손상 없이 완...2025.01.23
-
성인간호학 실습 심정지 CASE STUDY 간호과정 2개(비효율적 호흡양상, 신체 기동성 장애)2025.01.271. 심정지 심정지(Cardiac arrest)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이 갑자기 중단되어 효과적인 혈액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이로 인해 환자는 의식을 잃고 호흡이 멈추거나 비정상적으로 약해진다. 재빠르게 응급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르게 될 수 있는 상태이므로, 빠른 응급조치와 더불어 후유증이 남지 않을 빠른 상태 회복이 중요하다. 중증도가 높은 환자들이 오는 중환자실에서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는 사례이며, 생명을 위협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이번 성인간호학 실습을 나간 강동경희대병원 ICU에서 비슷한 사례...2025.01.27